-
-
죽여 마땅한 사람들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6년 7월
평점 :
출판사 푸른숲의 서평 이벤트 덕분에 《죽여 마땅한 사람들》의 정식 출간 전에 가제본으로 만났다.
전체 평을 한다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19금 스릴러 소설이다. 조금은 지루한 1부가 끝나고 2부가 시작되는 순간 '이게 뭐야!'라는 생각이 들고, 마지막 장을 덮을 땐 영화로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평소 영화도 스릴러 장르를 즐기는 편이라 책 제목이 살인을 암시해 꽤 기대했었다. 더구나 죽여 마땅한 사람이란 건 상식적으로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중죄를 지었을 경우를 뜻하는 것 아니겠나. 그래서 '뻔한 이야기'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책에서는 테드, 릴리, 미란다, 브래드 그리고 킴볼 이상 다섯 명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중에서 모든 이야기의 중심에는 릴리가 있다.
시놉시스(synopsis)를 짧게 언급하자면 테드와 릴리는 우연히 공항라운지 바에서 만나 같은 비행기를 타게 된다. 테드는 처음 만난 릴리에게 자신의 아내 미란다가 자신의 집을 시공하고 있는 브래드와 불륜 현장을 목격하였고, 그들을 죽이고 싶다는 뜻을 밝힌다. 미란다는 테드가 가지고 있는 재산을 목적으로 결혼하고 테드를 죽이기 위해 테드와 미란다가 함께 살 집을 시공하고 있는 브래드를 이용해 테드를 죽이려는 계획을 실행한다.
한편 릴리는 13살이던 해부터 자신에게 해를 끼치려던 쳇을 살인할 만큼 대담하고 계획적인 여자다. 미란다와는 대학시절 남자친구로 얽힌 좋지 않은 관계이기도 하다. 테드와 만나면서 미란다에 대한 복수를 돕기로 하고 사건의 중심에 서게 된다. 그리고 이 사건을 쫓는 킴볼 형사.
《죽여 마땅한 사람들》에서는 돈과 불륜 그리고 배신이란 키워드에서 탄생하는 살인과 그 살인을 일삼은 살인자의 처벌을 다시 살인이란 방법을 썼을 때 그것은 과연의 정당한 것인가를 묻고 있다.
사람은 누구나 죽어요. 썩은 사과 몇 개를 신의 의도보다 조금 일찍 추려낸다고 해서 달라질 게 뭔가요?
현실세계에서는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법으로 형벌을 규정하고 있고 그에 따라야 하는 것이 법치국가이니 개인이 함부로 형벌을 정할 수는 없을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억울하거나 배신감이 극에 달할 때 혹은 사회에 해를 끼친다고 생각될 때 불쑥 나오는 것이 '저런 건 죽어야 돼'라고 한다.
어쩌면 우리나라 아침드라마의 단골 소재일지도 모를 내용이긴 하지만 반전을 거듭하면서 꽤 재미있게 읽었다.
더운 여름 시원한 냉커피 한 잔 곁에 두고 쓰~윽 읽기 좋은 소설이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