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으로 산다는 건 - 전현직 임원 20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대한민국 임원의 진짜 이야기
고광모 외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원(任員)

임원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단체에 속하여 그 단체에 중요한 일을 맡이보는 사람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의사결정권을 지닌 사람이라 하겠다. 팀장이나 팀원도 권한을 갖고 일부 의사결정을 하기도 하지만 단체나 조직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를 보좌나 지원하는 이들을 일컫는다.

그들에게 주어진 권한에 비해 과한 책무 때문에 우스갯소리로 '임시직원'의 줄임말이라고 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원급으로 시작해 임원이란 위치에 이르는 건 하늘의 별따기라고 한다. 이 책에서도 0.8%라는 수치를 보여주는 것처럼 100명 중 0.8명만이 그 조직에서 임원으로 살아남는다. 그 만큼 어렵게 오른 자리이다.

 

임원으로 산다는 건

『임원으로 산다는 건』 이 책은 임원이 갖는 다양한 모습과 생각을 인터뷰하여 기술한 책이다. 대개의 사람들은 임원이한 위치에 오르지 못해보니 그들의 마음을 헤아릴 길이 없다. 도대체 그들은 어떤 생각일까? 그런 궁금증을 해소해 주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임원이 된 사람들의 공통점은 뚜렷한 목표를 세워 열심히 일했고, 목표에 집중에 성과 중심적으로 행동했고,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준비된 사람들이다. 그럼에도 임원이 되어 느끼는 부족함은 네트워크다. 지위가 높아질수록 사람에 대한 어려움을 느낀다.

임원으로 가져야 할 능력은 크게 7가지라고 말한다. 전문성, 회사와 일에 대한 열정, 폭넓은 관점, 소통역량, 신뢰관계, 정치력, 셀프 마케팅 능력이다. 실무자로서 임원을 꿈꾸는 사람들이면 이러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원의 역할은 첫째, 전략적 의사결정을 하는 역할이다. 둘째,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역할이다. 셋째, 성과를 창출하는 역할이다. 넷째, 전문적으로 리딩(leading)하고 육성하는 역할이다. 다섯째, 지속 가능한 비전과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이다. 각각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반면 권한의 한계, 보이지 않는 임원 사이의 서열, 팀장이나 중간관리자와의 갈등, 실력 부족으로 인한 좌절 같은 능력의 한계를 경험한다고 한다.

크게 보면 중간관리자나 임원이나 갖추어야 할 역량이나 능력 그리고 그들이 경험하는 한계는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권한과 책무에 대한 범위가 다를 뿐이다.

조직이나 단체에서 임원의 자리까지 가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지식, 경험, 역량 등 갖추어야 할 것들이 무궁무진하다. 때가 되면 자연스레 오르는 자리가 아닌 만큼 꾸준히 노력하고 준비해야 한다. 임원을 꿈꾸거나 어떤 임원이 되어야 할지를 고민한다면 이 책에 소개된 내용들을 참고해보면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터로 보는 인사이야기 - People Analytics 가이드북
이중학.Steven Kim 지음, 김성준 감수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사(人事)가 만사(萬事)

오랫동안 경영의 중심에는 인사(人事)가 있었다. 지금도 일은 사람이 하는 것이니 사람을 잘 쓰는 것. 즉 용인(用人)은 경영의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생각한다. 각 분야의 톱니바퀴가 맞물려 잘 돌아가면 더할 나위가 없다. 세상이 변한다고 해도 적재적소에 옳은 인재를 발굴하고 채용해 잘 쓰는 것은 모든 이들의 바람이다.

 

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의 인사

세상이 변하는 건 물리적인 환경의 변화가 가장 눈에 띄는 것이고, 그 다음으로는 사람들의 행동과 사고가 변하는 것이다. 디지털이란 문명도 우리 삶과 뗄 수 없을 만큼 익숙한 환경이 되었다. 이제는 DT(Digital Transformation) 시대가 되어 디지털에도 변화를 요구되는 세상이다.

DT 시대의 HR(Human Resource)은 과거의 사람과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에 집중하던 것이 이제는 사람과 협업하게 될 인공지능과 로봇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쏟아야 한다는 것이다. DT의 핵심적 기술은 3A(Analytics, Automation, Artificial)이다. 기존에 조직 내외부에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모색하거나, 단순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기존에 인간이 인지적 노력을 기울여 수행하단 분류, 평가, 판단 등을 컴퓨터가 학습하여 수행하는 기술이다. DT는 곧 3A 기술을 가지고 고객과 내부 구성원이 보다 나은 경험을 얻을 기회를 부여하고,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DT 시대의 HR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건 People Analytics이다. 기술 발전을 통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속도는 발전했으나, 데이터 분석의 목적 설정과 해석, 적절한 활용은 사람의 역할이다.

 

People Analytics 어떻게 할까?

『데이터로 보는 인사 이야기』의 중심에는 두 가지 키워드가 있다. 데이터와 People analytics이다. 그렇다고 저자는 'people analytics=통계'라는 관념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people analytics는 조직 및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람 관련 이슈를 숫자와 통계를 통해 잘 설명하고 예측하려는 시도이지만 무엇보다 조직, 사회, 사람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외에도 질문과 데이터 분석을 위한 내용들이 담겨있다. 솔직히 말해 HR을 조금 더 깊이 있게 들여보려다 만만치 않은 공부를 해야 한다는 사실에 한 걸음 물러서게 되었다. 비전공자에게 다소 이해가 쉽지 않은 것도 있을 것이다. 최근 HR 트렌드가 이렇게 흘러가고 있다는 것만 이해해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구석 심리학 실험실 - 집에서도 할 수 있는 50가지 초간단 심리실험
마이클 A. 브릿 지음, 류초롱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심리학은 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일반인들에게도 많이 소개가 되어있기도 하고 행동경제학이나 소비자행동론과 같은 학문에서도 연계가 되어 마케팅에도 적용되고 있다.

심리를 안다는 건 대다수 사람들의 일반적인 행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떤 현상에 대해 다수의 사람들은 비슷한 반응을 나타낸다. 심리를 연구하는 자들은 이러한 특징들을 발견해내는 것이다.


방구석 심리학 실험실

심리학 연구는 아주 활발하며 절대로 '상아탑' 안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심리학 연구는 웹사이트나 레스토랑, 법정, 광고는 물론 스마트폰 위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이 책에서 묘사하는 실험을 다 해보지 못해도 인간 행동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실험을 해보면 재미도 있고 배우는 것도 더 많다.

책 속에 나오는 50가지 심리학 용어들과 실험들은 익숙한 것도 있고 낯선 것도 있다. 꼭 실험을 하지 않더라도 용어들과 실험의 과정과 결과들을 보면 사람들의 마음이란 게 어쩌면 다 비슷하다고 느껴진다.

그간 심리학이라고 하면 이론서를 쉽게 떠올렸을 이들에게는 간단한 실험으로 심리 이론들을 접하게 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학 거저보기 : 서양철학 편 한빛비즈 교양툰 13
지하늘 지음 / 한빛비즈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은 어려워!

문학, 사학, 철학을 일컫는 인문학. 그중에서도 철학은 쉽게 넘지 못하는 학문이다. 서양철학에서는 소크라테스를 시작으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줄줄이 철학자들의 이름과 그들이 주장한 이야기들을 외워야만 했다. 이해보다는 암기가 위주이니 철학의 본질에 다가서는 건 뜻있는 이들의 소신 행동이라 보는 게 맞았다.

그럼에도 이제는 인문학은 문과와 이과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이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분야가 되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인문학이 웬말이냐라는 질문을 던질 수도 있겠지만 모든 것은 인간 본연의 모습을 깨닫는 것이 인간이 추구하는 일생의 숙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것을 업으로 생각하는 이들은 철학자라는 길을 걷는 것이고, 그걸로 먹고사는 건 해결이 안 되니 다른 일을 찾아서 자아를 찾고 완성하는 것이 대개의 사람들이 하는 일이라 생각한다. 결국 철학은 멀리 있지는 않는 것이다. 다만 기존 철학자들의 이론을 이해하면 나의 생각을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공부라는 걸 하는 거다.


인문학 거저보기

이 책은 저자가 맺음말에 언급한 것처럼 서양철학사라기보다는 서양철학 인물사라 말하는 게 맞겠다. 서양철학에 빼놓을 수 없는 인물들을 하나씩 중요한 에피소드들로 설명하고 그들의 이론을 설명하고 있다. 요즘 방식의 표현들이 녹아져 독자도 어렵지 않게 웃으며 볼 수 있다. 겉핥기 정도의 수준이 필요한 일반인들에게 어렵게 다가서는 철학은 굳이 필요가 없다. 초급자에게 고급 스킬이 필요없지 않겠나. 웃으며 보다보면 어느새 마지막 장을 넘기는 자신을 만날 수 있다. 대략의 서양철학 사상가들의 모습들을 보면서 그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생각을 읽으며 다양한 인간 내면의 모습을 생각해볼 수 있다.

철학을 시작하고 하는 이가 있다면 교양툰 『인문학 거저보기: 서양철학』로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싶다. 책 제목처럼 거저본다는 생각이 들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팀장으로 산다는 건 - 팀장에 의한, 팀장을 위한, 진짜 대한민국 팀장의 책 팀장으로 산다는 건 1
김진영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토록 바라던 팀장

신입 직원들이 느끼는 가장 가까운 리더는 팀장이다. 어떤 조직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실무자로서 다다를 수 있는 가장 지휘력이 있는 위치이기도 하다. 특히나 신입들에게 팀장은 무엇이든 척척 해결해내는 해결사이고 야전 사령관이다.

시간이 흐르고 꿈만 같던 팀장이란 직위가 부여되면 그간 보아왔던 팀장은 결코 쉽지 않음을 깨닫는다. 고작 팀원에서 팀장으로 한 계단 혹은 몇 단계 올랐을 뿐인데 그 책임과 의무는 상상을 초월한다. 더구나 내외부의 갈등을 조절하는 감정노동자가 되면서 그동안 팀원으로 살던 때가 그립기도 하다. 맡겨진 책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싶은 건 모든 팀장들의 마음이다. 하지만 현실은 만만치 않다. 누군가에게 이럴 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묻고 싶지만 모두 각자 살기 바쁘다. 분명 다른 팀장들도 힘들 텐데 무난하게 지내는 걸 보면 나만 앓는 소리 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자괴감마저 생긴다.


팀장에게 주는 공감과 위로 그리고 인사이트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공감이다. 팀장들은 대부분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다. 사람, 업무, 성과 그리고 자신의 앞날이다. 물론 팀원으로 일할 때도 비슷하다. 하지만 팀을 이끌어가는 입장에서는 감당해야 할 몫이 다르다. 팀원으로 지내면서 이런저런 다양한 팀장들을 겪으면서 자신이 팀장이 되면 이렇게 해야지 하던 것들도 막상 현실이 되고 나면 생각처럼 쉽지 않다.

『팀장으로 산다는 건』을 보면 팀장은 다 같은 심정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내가 겪은 애로를 모두가 겪고 있다는 동병상련의 입장임을 알 수 있다. 임원도 아니고 팀원도 아닌 중간관리자의 입장에서 말 그대로 끼어 있는 입장. 내·외부의 관계자들과의 관계도 중요하고, 업무도 성실히 수행하며, 성과를 도출하고 관리하는 입장. 나아가 스스로의 모습을 보면 홀로 남겨져 얼마 후 도래할 미래도 고민해야 하는 현실은 이걸 혼자 다 감당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자문을 계속 던질 수밖에 없다. 다행히도 이 책의 저자도 팀장으로 살면서 똑같이 경험하고 느꼈다. 그래서인지 속 시원한 이야기들을 해준다. 대한민국에서 팀장이란 직위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두어야 할 바이블 같은 느낌이다. 저자가 말하는 대부분의 이야기들이 공감이 되고 나에게 위로가 된다. 앞으로 이런 상황이 닥치면 달리 대응해봐야겠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주변에 팀장이 되어 어려움을 겪는 이가 있다면 이 책을 건내주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진영 2024-01-22 22: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멋진 리뷰를 늦게 발견했습니다. 응원합니다. ^^/

headconsultant 2024-03-06 10:22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