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의 노래 - 한강하구의 역사문화 이야기
최시한.강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반도가 남북으로 갈리고 물길이 끊기면서 사람들의 기억에서 시나브로 잊혔어도 조강은 흐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정책 연구 - 한국사연구총서 10 서울대학교 한국사연구총서 10
연갑수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흥선 대원군이 섭정하던 시기에 펼친 정책을 ‘부국강병‘으로 설명하면서 대원군 정권의 의의와 한계를 설명한다. 다만 대원군 정권이 ‘부국강병‘을 지향했고, 삼군부 설치와 군비 증강 등 일부 성과가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백성들이 그 혜택을 얼마나 누렸는지도 아울러 살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성부원록 강화고려역사재단 학술총서 1
김인호 외 옮김 / 혜안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강 너머에서 강화도를 바라보던 개성 사람들이 겪은 병인양요 이야기는 정리가 덜 된 탓에 좀 어수선하지만, 오히려 이양선의 출몰과 피격으로 혼란스럽던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이성무 지음 / 동방미디어 / 1999년 9월
평점 :
품절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역사 기록으로 위정자의 독재와 전횡을 막겠다는 실록의 정신을 400년 넘게 구현한 『조선왕조실록』은 왕정에서 민주정으로 바뀐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 이후의 한국사 - 전쟁보다 치열했던,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살아남은 자들의 시간
이상훈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천 전투에서 신라군이 고구려군을 물리치는 데에 큰 공을 세운 구율은 왜 논공행상에서 제외되었을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포수의 비중을 높인 조선군은 어떻게 조총을 생산하고 운용했을까? 전쟁 이후에 벌어진 장면들을 살펴보면서 우리 역사의 전환점이 된 여러 전쟁을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