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탱고 스토리 : 우리를 춤추게 한 위대한 악단들
마이클 라보카 지음, 벤자민.박유안 옮김 / 바람구두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소셜댄서들이 사랑하는 탱고 음악들
30~40년대 그때 그 시절의 음악들이 왜 부아에서
그토록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는지
우린 또 왜 지금도 그 음악에 춤추는지
영국인 탱고덕후가 오랜 덕질 끝에 친절히 알려준다
그 얘기에 귀기울이노라면 어김없다
들썩들썩 또 탱고가 추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망원동 평화도서관 나무가 선정한
2013년 올해의 평화책 54권에 

"그따위 자본주의는 벌써 끝났다"가 선정되었습니다.


우리 주위에서 자본주의가 아닌 색다른 경제를 함께 꿈꾸자는 

깁슨-그레엄의 거침없는 분석과 주장에 

보다 많은 분들이 귀 기울이고 맘을 열어 

아름다운 차이의 경제 속에서 색다른 삶들이 더욱 풍성해지리라, 기대해보는 2014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달에 내 눈에 띈 책을 

다이어리나 여러 쪽지에 중구난방 되는 대로 갈무리해두다

(그러니 갈무리도 아니다...)

이제 이 서재의 리스트로 정리해본다


오늘 어느 구제옷집은 사이트 매각 세일한다고 안내문자가 왔는데

행여 이 알라딘 사이트가 사라지거나 다른 데로 매각되어도 

이 서재 공간만은 남기를... (서재는 페데리치 식으로 말해 틀림없는 공유재이므로!!!)


근데, 리스트 참 좋네


깔끔하게 정리되는 느낌이 책꽂이에 책 꽂아두는 느낌과 흡사한데다

코멘트까지 각 권에 끼워 넣어둘 수 있으니...

디자인만 맥 식으로 좀더 직관적이게 된다면 더욱 좋으련만, 머 그거야 덤일 테구... 암튼 좋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이 모든 걸 말할 때가 있다

"네그리, 페데리치 그리고 깁슨-그레엄"이라는 제목이 모든 걸 말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써놓고 보니...




네그리는 널리 읽히는 정치경제 이론가다

모르긴 몰라도 세계 곳곳에(곳곳의 학자/지식인들에게) 

그의 영향력을 미쳤을 게다



맑스로부터 줄곧 이어지는 

'재생산 노동' 폄하가 여성에 대한 억압, 

여성의 사회적 지위 저평가로 

이어졌다고 보는 건 이제 여러 세대에 걸친 

여성주의 정치경제 비판의 축적된 성과다.




이번에 발간된 페데리치의 <혁명의 영점>도 

그런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재생산 노동'의 혁명적 가능성을 발현시켜, 

가정과 공동체 내에 자본에 맞서는 대항권력을 

만들자는 페데리치의 견해는 

사실 깁슨-그레엄이 20년 넘게 주장하고 실천해온

공동체경제 만들기와 크게 겹친다. 


(실제 아마존에서 봐도 페데리치의 독자와 

깁슨-그레엄 독자가 겹치기도 한다.)




페데리치의 이번 한국어판에는 감정노동을 다룬 13장이 추가됐는데, 거기서 

"알리 혹실드 vs 네그리"의 전선을 그리며 네그리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네그리와 하트의 <제국> 등을 거론하며, 

무한확장하는 자본주의(혹은 자본주의 담론)의 

전형을 거기서 찾을 수 있다고 

비판의 근거로 삼는 깁슨-그레엄에 비춰봐도, 

여성주의 정치경제 비판은 거대 자본주의

담론의 해체로부터 시작하는 것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네그리는, 과도한 확장의 과정 안에서 자본주의가

얇아지거나 찢어지기 시작하며 결국 저항의 시작점과

‘코뮤니즘의 섬’을 만들어 낸다고 보았으나, 

이는 이미 임노동이 탄생하던 자본주의 태생부터

시작된 과정일 뿐인 게 된다, 여성주의 정치경제

해체에 따르자면 말이다. 과도하게 확장된 자본주의가 

아니더라도 자본주의는 늘 비자본주의의 지원 없이는 존재할 수 없었던 것이라는 인식, 

그것이 페데리치의 공유재론이나 깁슨-그레엄의 공동체경제론이

기존 정치경제학에 혁명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이다. 자본주의의 바깥은 틀림없이 있다는 인식, 

심지어 자본주의가 바깥이기도 하다라는 인식, 그런 인식의 바탕 위에서 

새로운 경제담론이 싹터야 하는 것이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페데리치 인터뷰에서 거듭 얘기되는

"가사노동에도 임금을 지급하라"는 운동으로부터 

각종 공동체 단위에서의 가사/돌봄노동의 공동화, 집단화 등

비자본주의 과정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드높아질 것이기에

페데리치의 원론과 깁슨-그레엄의 각론이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feminism-sensitive한 새로운 사회구성체 논쟁을 이끌 것을 기대해본다. 



* 더불어 읽고픈 책, 하나 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