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이해
루이스 자네티 지음, 김진해 옮김 / 현암사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자네티의 Understanding Movies의 7판을 번역한 책... 6판과 비교해서 후반부의 영화와 이데올로기 부분등을 완전히 새롭게 고쳐 썼다. 세간의 평판대로 영화에 대한 기초적인 상식들을 습득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하지만 이 외에 다양한 텍스트들이 새롭게 출간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책이 최선의 텍스트라고 말하기는 힘들어졌다. 내가 보기에 이 책은 우리나라 제목 그대로 '영화 수용자의 입장에서'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책이다.

그래서 그런지 기술적인 내용보다는 해석을 위해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 좀 더 기술적 요소들이 충분하고 세밀하게 텍스트 위주로 접근한 책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이 책보다는 이론과 실천에서 간행된 보드웰의 <영화 예술>이 더 나은 선택일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영화의 이해> 정도 수준의 내용이라면 차라리 소브책 부부의 <영화란 무엇인가>를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크라테스와 헤르만 헤세의 점심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정란 옮김 / 북라인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뚜르니에하면 떠오르는게 있습니다. 고요하고 그윽한 버려진 수도원에서 숲과 풀벌레들을 벗삼아 유쾌하게 웃음짓는 노년의 신사... 전에 불문학자인 김화영 선생님이 미셀 뚜르니에를 인터뷰한 적이 있었죠. 김선생님은 그의 글을 통해 이미 접해진 듯 뚜르니에가 살고 있는 수도원에 익숙한 눈놀림을 하고 있었고, 뚜르니에는 지음을 만난 듯 유머러스한 이야기를 들려주더군요. 철학자가 되기 꿈꾸었으나 교수자격시험에 떨어진 후 오히려 수필가로 더 성공했다죠. 그를 지적 스노비즘에 빠져 사는 사람으로 비난하는 사람도 있다지만 그는 별로 개의치 않는 듯 합니다. 그의 이 책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그는 어깨와 목의 힘을 한껏 빼고 가볍게 개념과 범주들을 넘나듭니다. '소크라테스'하면 떠오르는 것이 이런 경쾌함입니다. 플라톤의 진중한 무게가 답답하게 느껴질 때 일수록 소크라테스는 그렇지 않았을 것이라고, 플라톤의 두텁고 강단있어보이는 입술과 달리 소크라테스는 양 미간에 지혜의 즐거움이 배어있을 것이라고 상상해 보고 싶어집니다.

하나의 범주는 반대범주을 통해서 그 의미가 분명해진다는 것은 재미있는 사고게임에 빠져들게 하곤 합니다. 해체주의자들에게 의미가 무한히 소급되는 이유는 아마도 이 반대범주들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뚜르니에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상정하는 대립범주들 뿐만 아니라 전혀 그럴 듯 하지 않은 대립들 속에서도 멋진 통찰을 구성해냅니다. 전 고양이와 개의 대비가 눈에 쏙 들어왔습니다. 뚜르니에는 '경찰견'은 있어도 '경찰 고양이'가 없다는 장 콕도의 말로 은근히 고양이 옹호론을 폅니다. 끊임없이 충성할 주인과 동족을 쫓아다니는 개와 달리 고양이는 스스로 어떤 것에도 도움이 되기를 거부하고 자기 동족으로부터 도망치죠. (책의 후반부에 이 대립은 좀 더 추상화되어서 일차적 인간 대 이차적 인간으로 다시 등장합니다. 그건 직접 사서 보시고요^^) 묘심(고양이의 마음)이랄까? 눈 틈 사이로 불어오는 산들바람에 제 수염을 흩날리게 놓아두고 구석에서 눈을 반쯤 뜬 채 명상하듯 누워있는 고양이... 흠... 이건 바로 뚜르니에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 책은 한뜻 출판사에서 불완전하게 번역되었던 적이 있는 책인데 다시 모든 내용을 담아 번역되었답니다. 김정란 시인의 번역이 이전의 책 보다 훨씬 좋군요. 시인이셔서 그런지 우리말을 구수하게 살리시는 능력도 빼어납니다. 봄바람이 불기시작하는 오후에 고양이의 마음으로 이 책을 들고 혼자만의 생각의 징검다리 놓기를 해보심도 좋을 듯... 적극 추천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학 강의 - 제7판
바바라 런던 외 지음, 김승곤 옮김 / 포토스페이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진의 네 면, 그 침묵의 사각형이 주는 매혹... 그것에 조금씩 빠져들던 때, 이 책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금도 사진하겠다고 하는 사람들 있으면 경솔하게 카메라 셔터부터 만지려 들지 말고 적어도 이 책을 땐 후에 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필수적인 정보들 뿐만 아니라 수록된 사진들만으로 참 괜찮은 책입니다. 님의 멋진 사진 여행의 동반자가 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미술의 욕망과 상실
심상용 지음 / 현대미학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이론의 길과 창작의 길은 다르다. 이론은 창작들의 그 근저를 따져 물어가면서 존재들의 거대한 지형도와 그 철학적 전제들을 그려내는 것이라면, 창작은 그런 전제와 지형도들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내면적 필연성'에 천착함으로써 절실함에 절절하게 넘치는 구체적인 작품을 창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자는 자신이 하는 일이 진정 무엇인지(혹은 무엇이 될지) 모르고 작업하며, 그렇게 작업할수록 작업은 본래의 목적에 충실해 진다. 그런데 '이론의 시대'가 왔다.

솔직히 최근 몇십년간 보여준 이론의 급진성 덕택에 창작의 급진성은 왜소해져 버렸던 것이 사실인 듯하다. 창작은 이론들로부터 내면적 필연성을 수혈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들이 얻은 이론들은 삶의 구체적 현실에서 얻어진 것이라기 보다는 책과 담론 속에서 구해진 것들이 대부분이었고, 따라서 작가와 이론 사이의 균형이 깨지고 창작자는 이론 앞에 굴복하기 시작했다. 저자 심상용은 이를 '내면의 필연성을 굴복시켰다'고 칭한다. 각자 나름의 절실한 경험들과 역사들 속에서 얻어진 내면적 절실함은 사라지고 헤겔식으로 창작품은 '이념의 감각적 현현'이기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결국 이 모든 것은 예술의 제도권화와 맞물리는 듯 하다. 제도화될수록 삶의 다양한 국면들은 단지 유아적 아우성으로 치부되고 어떤 견고한 담론적 전통이 예술의 본령으로 자리잡기 시작한다. 예술 자체를 반대하는 반미학적 운동마저도 어느새 제도권의 한 양식으로 흡수되기까지 한다. 예술은 죽고 담론과 권력과 자본만 남는다. 저자는 젊은 예술가들에게 섣불리 담론의 자폐적 울타리에 갇히지 말라고 권고한다. 창작의 본령은 담론이 아니므로... 창작은 고등어처럼 퍼덕거리는 삶의 생생한 떠오름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 노동자 선언
이언 엥겔 지음, 장은수 옮김 / 롱셀러 / 2001년 1월
평점 :
절판


이 사람의 주장대로라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이길 가능성이 아주 높다. 특히 서구 사회에 비해서 더욱 그렇다. 왜냐하면 내가 언젠가 신문에서 본 설문조사 결과 때문이었다. 30-40대 사람들에게 지금 당장 해야할 일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우리나라 사람들은 반수이상이 가족부양과 성공이었던 반면, 서구 사람들의 경우 약 30%이상이 남을 돕는 것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 저자의 말대로 이타주의, 치... 그게 뭐 대수라고... 우리 모두 희망을 갖자. 우리는 이타주의같은 거에 덜 민감하니까 그들을 얼마든지 이길 수 있다. 우리모두 이기적인 지식인 노동자가 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