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게도 아킬레우스나 헥토르는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제외하고는 그들의 존재를 증명하는 문헌이나 전승은 없다고 한다.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에게해가 암흑시대로 접어들고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준비되면서 창작되거나 과대포장된 인물인지도 모른다. 그들은 단지 이름과 영광만 있는, 어쩌면 '암시'에 더 큰 기능이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두 인물들은 여타 인물들의 비루함에 대비되며, '탁월함(아레테)'으로 변별된다. 아가멤논은 권력욕에 눈이 멀었고 프리아모스는 자만과 자기도취에 빠졌으며 파리스는 여색에 무너졌다. 그런 모든 불완전한 인간들에 대해, 호메로스는 '탁월한', '완벽한', '신이 질투할 만한' 인물들을 의도적으로 쑤셔넣은 건지도 모른다. 그리고 호메로스의 서사시는 수백년간의 암흑기 이후 그리스인들에게 처세술이자 윤리교과서처럼 암송되어졌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는 아킬레우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지만 사실상 당시 판도의 중심인물은 아가멤논이다. 아가멤논을 중심으로 놓고 수많은 왕과 왕비, 왕자와 공주, 영웅들이 사방으로 연결된다. 그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재배치하면 세상은 황량하고 무의미하며 쓸쓸해 보일 것이다. 우선 그의 아버지 이야기부터가 아주 잔혹하다 .그의 아버지 아트레우스와  티에스테스의 살벌한 복수극(세네카의 <티에스테스>)은 아마 박찬욱의 <올드보이>에 영감을 주었을지도 모른다. 또한 아가멤논과 클리타임네스트라, 오레스테스, 엘렉트라의 이야기(아이퀼로스의 <오레스테스 3부작>)도 끔찍스런 이야기다. 모두가 인간의 무절제한 탐욕과 욕정에 휘둘려 초래된 잔혹스런 결과에 대한 이야기다.

아킬레우스를 다른 인물들과 결정적으로 변별시켜 주는 것은 그의 초월에의 의지다. 그는 불멸의 신과 필멸의 인간을 비교했고 인간의 유한성을 초월하고 신을 능가하길 원했다. 그리고 그것이 '자기만의 준칙'이 되었다. 다른 인물들이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자신을 그려냈다면 아킬레우스는 위를 꼬나보면서 자신을 그려냈다. 그는 신을 질투했고 업신여겼다. 신은 영생을 누리지만 그로인해 권태에 갇혀있다. 인간은 모두 죽지만 이름을 남길 수 있으며, 매순간 마지막 삶을 살기에 권태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영화 속 아킬레우스의 행위의 준칙이다.

파트로클로스는 아킬레우스에게 사촌이 아니라 전우였다. 아마도 헥토르-파리스에 대응하는  형제애를 만들어 극적 대칭 구도를 만들 요량으로 그렇게 바꾼 모양이다. 그 덕에 아킬레우스는 무지막지한 전쟁기계에서 좀 더 인간 쪽으로 움직였다. 거기다가 브리세이스까지 넣었고, '죽음을 초월하는 명예'이 아니라 '죽음을 초월하는 사랑'으로 결말을 잡아서 뭇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게 했다. 개인적으로는 가슴을 찌른 창을 뽑을 때 그 창에 횡경막과 영혼이 함께 걸려나오는 식의, 내면적 세계와는 전혀 인연없는 호메로스 시대의 거친 인간을 보고 싶었지만 너무도 인간적인(?) 헐리우드 영화에 그런 그로테스크한 요구는 과욕이겠지. 대신 이런 군상은 박찬욱의 <올드보이>나 강제규의 <태극기휘날리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삼천포로 빠지지만, 아무래도 한국인들은 도시인보다는 들판의 인간 쪽에 더 익숙한 모양이다. 한국의 근대사야말로 황량하고 쓸쓸한 들판의 역사였으니... 내면적 세계는 사치였을런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럴까? 우리는 '양심'을 모르고 '양심적' 병역거부도 거부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weetmagic 2004-05-30 2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트로이를 그렇게 보셨군요...은근히 님 리뷰를 기다렸습니다. ^^;;

간달프 2004-05-31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