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특별보급판) - 사유와 열정의 오선지에 우주를 그리다 문화 평전 심포지엄 3
마르틴 게크 지음, 마성일 옮김 / 북캠퍼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은 후 작성된 글입니다 **


쉽지 않은 책입니다. 아니, 최근에 읽은 책 중 가장 책장이 잘 넘어가지 않는 책이었습니다. 이 어려움이 텍스트 자체의 난해함 때문인지, 제 지식의 부족 때문인지, 혹은 번역 탓인지 도무지 알 수 없었어요. 확실한 건, 이 책은 음악과 역사, 철학과 사상에 대한 깊고 폭넓은 이해가 있어야 비로소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책이라는 점입니다.


책은 불멸의 작곡가 베토벤을 “열두 개의 시선(키워드)”으로 조명하며 그의 삶과 음악을 다각도로 풀어냅니다. 그런데 이 키워드들과 내용이 대부분 예상 가능한 주제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 참 흥미롭습니다.


베토벤은 전무후무한 음악적 업적을 남겼을 뿐 아니라, 수많은 메모와 편지를 유산으로 남겼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베토벤”이라는 우주는 상당 부분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음악학자는 물론 철학자와 작가, 역사가들까지 그의 음악과 사상을 해석하며 끝없이 탐구를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으니까요.


15년 전, 박사 논문 주제를 정할 때의 일이 떠오릅니다. 담당 교수님께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곡가가 베토벤이라고 말씀드리자, “베토벤만은 꿈에서라도 주제로 삼지 말라”고 단호히 만류하셨어요.

이미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나마(?) 남아 있는 영역도 초심자가 감당하기엔 너무 벅차다는 이유에서였죠. 이 책을 읽으며 당시 교수님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 차려진 밥상조차 이렇게 복잡하고 난해하다니, 만약 그때 베토벤을 고집했다면 저는 아마 영영 논문을 끝내지 못했을지도 모르겠어요. 


그렇다고 이 책이 처음부터 끝까지 어렵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중간중간 흥미로운 에피소드와 ‘쉬어가는 페이지’ 같은 챕터들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어 절망하지(!) 않고 읽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격동의 유럽을 살아간 베토벤과 동시대 인물들 간의 얽히고설킨 관계는 무척 흥미진진합니다. 예를 들어 도시 전설처럼 전해지는 프란츠 리스트와의 만남, 그리고 클라라 슈만 - 요하네스 브람스 - 아르투어 슈나벨로 이어지는 연주자 계보는 서양음악사가 얼마나 짧은 시간 동안 격렬하게 발전해왔는지를 실감하게 해줍니다.


제가 학생 시절에 베토벤에 관한 주요 서적은 거의 빠짐없이 읽었다고 자부했는데, 지난 20년 동안 새롭게 밝혀진 연구와 발견이 이렇게 많다는 사실에 놀랐어요.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다수 얻을 수 있어 유익했습니다.


물론, 진입 장벽이 높고 결코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닙니다. 하지만 베토벤의 음악과 당대 유럽의 음악사, 독일 역사와 문학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충분히 소장할 가치가 있는 책입니다. 한 번에 다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두고두고 읽으며 베토벤이라는 거대한 우주를 탐험해보실 수 있을테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