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진 사월
이스마일 카다레 지음, 유정희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위 세계화라는 것이 진행되면서 점차 일반적인 것, 어디서나 공통적으로 계량화될 수 있는 것 등이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때문에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다른, 다를 수 밖에 없는 체계들간의 차이는 종종 무시될때가 있다. 그리고 이는 세계화라는 미명 속에서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영어 조기 교육 내지 영어공용화 논쟁이 한창 이슈가 되었던 것도 이러한 이유와 무관하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카다레는 어쩌면 자신의 조국만의 문제일 수 있는 독특한 풍습, 문화, 역사들만을 고집한다. 알바니아 태생이지만, 정치적 이유로 프랑스에서 망명하여 불어로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에게 이런 집착(?)은 모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의 작품을 읽고 있다보면, 처음에는 그저 알바니아가 어떤 나라인가 하며 궁금해하다가 나중에는 나 자신을, 나아가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된다. 그의 고집스러운 작업이 폐쇄적인 것으로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한때 우리사회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저급한 슬로건과는 또 다르다. '나'의 것을 일반적인 것으로 강요하거나 꾸며서 '우리'앞에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원래 '우리'의 것이었던 문제를 '나'만의 방식으로 만들어서 보여주는 것이라고나 할까...

일찌기 니체나 마르크스는 '동일성의 차이'를 발견하여 철학 그 자체를 의문하게끔 하여, 근대의 이성 자체를 의심하게 해 준 선구자들이었다. 같은 맥락에서, 일반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소재와 방법으로 보여주는 카다레 역시 문학에서는 니체나 마르크스에 비견될 수 있지 않을까.... 백과사전에서 알바니아 항목을 뒤지면서 새삼 작가가, 문학이 갖는 힘에 대해 나 스스로도 놀랄 수 밖에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