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의 근본문제들 - 마르틴 하이데거 전집 제24권 마르틴 하이데거 전집 24
마르틴 하이데거 지음 / 문예출판사 / 1994년 4월
평점 :
절판


마르틴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을 통해 <논리철학논고>의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과 더불어 현대 철학의 거장으로 꼽힌다. 그런데 나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보다 이 책을 더 추천한다. 하이데거 생존시 그의 오른팔과 같았던 조력자이며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편집자이기도 한 폰 헤르만 교수 역시 이 책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특히, 이 책은 <존재와 시간>에서 미간행된 부분인 제1부의 3단원과 2부의 전체를 포함한 저술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존재와 시간>에 비견되는 중요성을 이미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나에게 있어서 이 책은 현존재의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뿐 아니라 존재 일반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고 그 해답 또한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존재와 시간>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이 책은 '시간을 존재에 대한 물음의 초월론적인 지평으로 설명'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폰 헤르만 교수도 지적하였듯이 '현존재의 예비적 기초분석'과 '현존재의 시간성'도 '시간과 존재'의 chapter에서부터 읽혀져야 한다. 지금까지 이 책의 중요성을 말했다. 아래에서는 책의 내용에 대한 짧은 논평을 덧붙인다.

그 자체로서 존재, 즉 피지스가 있고, 그것은 모든 현존재 뿐만 아니라 세계-일반의 근거로서 지-평이다. 그런데 이것은 현존재로서 인간에게는 對하여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그것을 로고스로만 이해할 수 있었고 이 인식의 구도를 넘어서서 절대로서의 존재를 구하지 못했다. 그렇기에 하이데거는 존재를 이와같은 한정적 한계지움(Grenzsetzung)에서만 드러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렇게 전개되는 존재의 은폐된 지평이 역사적으로 현존재를 근거짓는다고 한다. 결국 인간은 형이상학으로서 존재에 대한 질문(Seinsfrage)을 끊임없이 추구함으로서 그리스의 피지스로서 존재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나는 '있음은, (변화)됨과의 대립에 있어서 머무름(Bleiben)이다. 있음은, 가상과의 대립에 있어서 머물러 있는 모델/모범(bleibende Vorblid), 항상 똑같은 것(das Immergleiche)이다. 있음은, 생각과의 대립에 있어서 그 바닥에 놓여있는 것(das Zugrundeliegende), 존속하는 것(Vorhandene)이다'와 같은 그의 글에서 존재가 위와 같은 것들과 차이나면서 또 그 본성에 의해 그것들을 근거지워주기 위해서는 항상 메타적인 성질로서의 존재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바로 거기서 그 내적 연관성들의 현존재를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존재는 내재적-발생이며 구성주의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은폐되어 있는 존재는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서로간의 물리적 에너지들을 교통함으로서 국지적으로 하나의 지평을 만들고 또 대립되기도 한다. 그리고 거기서 존재는 은폐/개시를 반복함으로서 세계-일반의 내재적 생-성을 가능하게 만든다. 특히 인간은 존재론적으로는 그 자체가 존재이지만, 인식론적으로는 스스로 존재와 對하는 '현-존재(現-存在/Da-sein/거기-열려져-있는-존재)'로서 있음(존재/Sein)이라는 것이 자신을 열여보이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장소(St tte)로써 이해되어져야만 하고 근거지워져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나는 하이데거의 '존재'를 이렇게 이해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