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를 위한 인생 10강
신달자 지음 / 민음사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의 역사는 통증의 역사이다

여자들은 40여 녕을 피를 흘린다. 12세 무렵에 생리를 시작하여 폐경까지 육체적인 생리통을 앓는다.

말하자면 여자는 아프게 되어 있다.

사람 몸에서 피가 나면 그것을 멈추려는 시스템이 작동하는데 생리할 때 자궁과 혈관이 강하게 수축되는 것, 이것이 여자의 생리통이다. 여자들은 매달 생리통을 앓는 것이다.

통증은 본인이 느끼는 주관적 아픔이지만 한편으로는 상대방에게 이해받기를 바라는 질환이라는 것.

"아픈 여성에게 관심의 모르핀을 놓자"라는 기사(2008년 <<조선일보>> 김철중의 의학속의 WHY 참조)

를 읽고 아픈 여성인 나는 관심의 모르핀을 한 대 맞은 기분이었다.

2008년은 '여성 통증 퇴치의 해'였다. 얼마나 여성 통증이 퇴치되었는지 궁금하지만 아직도 모든 여성은 아프다는 현실이다. 여성들은 계속 아프다.

<중략>

'여성 통증 퇴치의 해'는 지났지만 여성들은 여전히 아프고 여전히 위로받지 못하고 있다.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여성이 생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여성이 늘 아파왔다는 사실을 이책을 통해서야 알게 되었다.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도 모르게 끙끙 앓았던 어머니의 모습이 이제서야 보였고 가슴이 미어졌다.

미안해요. 그동안 알아봐주지 못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말하고 있다 - 우리가 미처 몰랐던 몸짓과 표정의 행동심리학
재닌 드라이버 지음, 황혜숙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비언어적 요소를 맹신했던 점을 바로 잡고 이미지 메이킹 하는데 참고가 되었던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득이 - 제1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8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소설읽기가 힘든 저도 가볍게 잘 읽었습니다. 아직 영화로는 보지 않았지만 캐스팅과 너무나 잘 맞네요. 캐릭터 묘사가 인상적인 소설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 - “이게 사는 건가” 싶을 때 힘이 되는 생각들
엄기호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한국사회에 대해서든 교육에 대해서든 강의나 토론을 마치고 나면 "희망이 뭔가요?"와 마찬가지로 꼭 듣는 질문 있다. 대안에 대한 질문이다.

이 책을 보게 된 계기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싶어서였다.

"당신이 말하는 문제점인지 우리도 충분히 알고 있으니까, 그런 사례들이나 분석 같은 건 이만 됐고, 그래서 대안이 뭐야?"


필자는 이 질문에 대해서 이렇게 해석한다.

자기의 개별적인 사례를 개별적으로 풀고 싶다는 의지는 있을지언정 문제를 공통의 것으로 인식하고 더불어 해결하겠다는 의지는 보이지 않는다.

지금 우리는 "대안의 개인화"에 빠져 있다는 말이다.

대안에 대한 질문은 저사람의 운명이 나의 운명과 다르지 않다면 저 사람과 나는 같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는 나누고 토론하는 데서 대안을 구체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남의 얼굴을 쳐다보기는 커녕 내 얼굴 쳐다보기도 바쁘다보니 공감을 통해 대안을 나아가지 못하고 자기연민에 빠져 자신을 치료하는 일이 더 시급하다.

서점가를 휩쓸고 있는 자기계발서나 '위로'서들도 이 연장선 상에 있다. 이게 너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똑같이 가진 문제니 너무 걱정하지 말라고 위로하는 메시지를 보낸다. 결국 이들의 이야기는 다른 말로 하면 이것은 네 문제이니 네가 해결할 수 밖에 없다는 메시지다. 그래서 위로는 오개가지 않는다. 한 친구는 이것이 '뽕'과 비슷하다는 말을 했다.

<중략>

이처럼 우리는 자신의 절망과 불안을 집단적인 참여가 아니라 개인적인 위로를 소비하는 형태로 해결하려고 한다.

그럼 왜 집단적인 참여가 아닌 개인적인 위로일까? 우리는 생존과 실존의 모든 의미가 의문시되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이 때문에 '내 것'에 대한 분명한 소유의식이 '공통의 것'에 대한 감각을 훨씬 앞지른다. 공통의 것을 만들고 거기에 참여하기보다 그나마 있는 내 것을 지키는 편이 중요하다. 

냉소가 아무리 마음의 철갑옷이라고 하더라도 가끔 우리 삶에는 통제할 수 없는 그리움이 밤손님처럼 방문한다.

바로 삶을 삶답게 살고 싶다는 의지이다. 이 의지가 우리를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눔으로 이끈다.

많은 경우 우리는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해야하는 가에 대해 신경을 쓰기보다는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져야 희망이 보이고, 희망이 보여야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지요. 그래서 대안에 대한 이야기기는 앞서 말했듯이 그림이 보이지 않는다면 희망은 없는 것이고 희망이 없으니 나는 움직이지 않겠다는 덫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비록 저자는 대안을 가르쳐 주지는 않았지만 생각할 거리가 많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머로우 Tomorrow 2012.1
(주)투머로우 편집부 엮음 / 투머로우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문제는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매개체. 내 마음을 낮출 것 누구든지 자신이 잘못된 것도 알고 못난 것도 느낄 줄 알아야 한다. Tomorrow 2012.1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