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KBS 선정 도서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준 책이다. 현대의학의 도움으로 인간의 수명은 점차 늘고 있으며, 과거에는 손도 쓰지 못하고 죽을 수 밖에 없었을 사람을 살려 놓기도 한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단순한 삶의 연장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연명치료를 중단하지 못하여 사망에 이르기전 이미 자기 삶으로부터, 가족들로부터, 사랑하는 사람들로부터 차단된 상태에서 쓸쓸히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최근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이 수없이 늘고 있다. 자식들은 흔히들 부모가 나이 들어 힘들어 하시면 요양원에 모시는게 부모에게나 자식에게나 더 나은 선택이라며 자위하고 부모도 마지못해 씁쓸해하며 동의하게 된다. 의료인들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낙상이나 화재 등의 사고의 위험을 무릅쓰고 혼자 사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노인의 삶의 질보다는 목숨 자체에만 책임을 지기 때문이다.
제주도의 노인들은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혼자 산다. 자식과 부모는 안거리 밖거리로 집을 나누어 겨우 마당 하나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살며 밥도 따로 해 먹는다. 먹을 거리가 부족했던 섬에서 노인 입을 채우기 힘들어 만들어진 전통이라고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난 후에는 생각이 바뀌었다.
익숙한 환경과 친한 사람들과 떨어져 닫힌 시설에서 정해진 규정대로 다치지 않고 사는게 더 행복하지 않다는 것이다.
호스피스 케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말기암 환자가 몇 차례의 항암치료에 실패했을 경우 살 수 있는 시간은 얼마 남지 않게 된다. 전이된 종양을 제거하면 얼마 더 살 수는 있겠지만 수술 후유증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수도 있고, 남은 삶의 질은 더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의학계에서는 습관적으로, 너무 당연하게, 나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환자보다는 병을 보게 된다. 할 수 있는 건 다 해봐야하지 않냐고 생각하고 달려든 결과 환자는 남은 생을 쓸쓸하게 병원에서 보내다 가게 된다. 실제 연구에서도 거듭되는 항암치료를 포기하거나 수술을 포기하고 기존의 생활을 유지하며 남은 삶을 가족들과 함께 의미있게 보낸 집단에서 오히려 응급실 방문율이 더 낮았고, 생존기간도 더 길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