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에이전트의 시대 - 개정판
다니엘 핑크 지음, 석기용 옮김 / 에코리브르 / 2004년 12월
평점 :
품절


프리에이전트라는 말은 아마도 저자가 직접 만들어낸 낱말인 것 같다. 그러나 썩 괜찮은 용어다.
혼자서 직접 자신에 관련된 업무를 모두 관리하는 사람이 아닐른지.
저자는 책의 상당부분을 프리에이전트라는 말뜻을 설명하는 데 투자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자기종신'직업이 미래의 노동형태가 되리라 자신하고 있다. 근거로써 사회적인 흐름이나 소비자들의 경향, 기업들의 고용형태를 조목조목 짚었다. 조직에 속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들과 나름의 해결 아이디어도 수록했다.
너무도 미국 상황만 적혀 있는지라 전부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지만 이런쪽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1. 조직에 속해 있지 않다고 해서 무조건 '프리에이전트'는 아니다.
2. 이제는 자신만의, 단 한 가지 장점이 자신의 업무가 될 것이다.
3. 프리에이전트만의 연대와 공동체,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에서 '프리랜서'라는 자신의 위치를 당당히 밝히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는 사람들의 '반백수' 인식과 자기부정때문 아닐까? 일본의 '프리타' (프리 아르바이터라는 일본식 조어의 준말)가 그렇게도 따가운 시선을 받는 것도 비슷한 시선으로 생각된다. 프리타는 하고 싶은 일이 따로 있고, 그 일을 하기 위한 돈벌이 수단으로서 임시직을 택한다. 한국의 프리랜서도 많은 이들은 그 상황을 중간적 상황으로 생각한다.
모두들 "이건 내가 할 일이 아니야" 라고 중얼거리면서 일하고 있는 거다.

프리에이전트는 그런 일 윗단계다. 자신이 진정 하고 싶은 일을, 조직 없이 하고 있는 사람이다. 용어야 어쨌건 당당함이야 말로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원천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