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메모 좋은생각

1의 의미: "정상적인"이라는 뜻의 'normal'의 어간 'norm'은 숫자 '1'과 '자'를 가리킨다. 기본 단위를 1로 정한 뒤 똑같은 간격으로 반복하여 눈금을 새기면 바로 자가 된다. 이렇게 많은 자는 다른 대상을 재기 때문데 '표준'이라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무엇이든 1로부터 '하나씩'차분히 풀어 가면 어려울 것 없다는 철학적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다.

스탄: 파키스탄,카자흐스탄,아프가니스탄과 같은 나라 이름 뒤에 붙은 '스탄(-stan)' 이라는 말은 이슬람어로 '~의 땅'이라는 뜻이다.그러므로 '스탄'이 붙은 나라는 어디어디 땅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예를 들면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베크의 땅'이라는 의미이다.

머리 좋아지는 한글: 한글로 생각할 때는 영어로 생각할 때와 비교해 뇌의 공간지각능력이 더 활성화된다. 한글은 초.중.중성이 조합해 비로소 하나의 글자가 되는 복잡한 공간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글을 사용할 때는 다른 언어들과 달리 시각영역, 언어생성 영역과 더불어 공간지각에 주로! 관여하는 두정엽 부분도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새의 초능력: 북극에서 남극으로 이동하는 철새들은 15,000㎞를 단 한치의 오차 없이 이동한다. 철새는 태양,성좌를 기준 삼아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강풍에 휩쓸렸다가도 제 위치로 돌아오는 원리까지 설명하기는 어렵다.또 태양의 위치를 통해 방향,위도, 경도까지 정확하게 계산해 이동하는 것도 수수께끼 가운데 하나다. 조류학자들은 철새의 뇌가 자석처럼 지구의 자기장 방향을 파악해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귤을 못 살게 하면 더 달다: 귤을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거나 주므르면 더 맛있어진다. 성장을 조절하는 효소 "에틸렌"이 분비되어 당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입안에 넣고 오래 굴러도 떨어뜨리는 것과 같은 효과의 단맛을 낼 수 있다.

단미와 그린비: '단미'는 달콤한 여자. 달리 말하면 사랑스러운 여자라는 뜻이며, '그린비'는 그리운 선비의 준말로 선비는 남자를 높여 부르는 말이니
이는 곧 그리운 남자라는 뜻이다.단미와 그린비는 60년대에 국어학자 최현배 선생이 당시 서로를 극진히 아끼고 사랑하던 길옥윤부부에게 보낸 편지를 통! 해 처음 알려진 낱말이다.

장소에 알맞는 식물
거실-냄새를 제거해 주는 잎이 많은 벤자민,고무나무,파키라,
밝은 녹색이 많은 스킨답서스
주방-식욕을 돋구고 정화력이 강한 장미,카네이션
공부방-정신을 맑게 해 주는 아니안텀,페퍼민트,로즈메리 등의 허브식물
화장실-암모니아 냄새를 흡수하는 관음죽
침실-잠을 잘 이룰 수 있는 안개꽃,스타티스류의 파스텔 색조꽃

꾸벅꾸벅 조는 이유: 사람이 졸 때는 머리 무게를 버텨 주던 각 부위 근육이 이완되어 기능하지 않아 머리가 앞으로 숙여진다.그러나 앉아서 꾸벅꾸벅 졸면서도 결코 쓰러지지 않는 것은 귓속에 있는 반고리관이 균형을 잡아 주기 때문이다.반고리관 안에 든 평형석이 몸의 기울기에 따라 감각상피에 난 감각털을 자극하면 평형감각이 생겨 기울어진 몸을제자리에 돌려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