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우행시를 읽었을 때도 그랬는데 말이다.

결말로 갈수록 지하철에서 질질 짜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냥 눈물이 주루룩 주루룩 감정이 복받쳐 올라 버려서 말이다.  

즐거운 나의 집을 읽으면서 오는 오늘 아침도 푸핫, 하고 웃음이 터져서 그냥 웃고 말았다.
지하철에서.  

저 제목과 소설의 내용이 상반된다는 것을 얼핏 들었기에 어두운게 싫어서 별로 읽고 싶어하지 않았었는데 이벤트에 당첨되면서 한권 더 보내 주셔서 읽어 버리고 있다.  

그런데 이게 왠욜! 이렇게 재미날 수가!
더구나 가족 중 어머니 되시는 분이 어찌나 매력적인지 위녕, 이라는 주인공 이름이 얼마나 입에 착 달라붙는지 나도 모르게 위녕, 위녕 그러면서 책을 읽고 있다.

공지영 작가의 수도원 기행을 읽으며 구절 구절 절절이 새겼던 지난 시절이 있었음에도 우행시로 '기획'에 대한 강의 까지 나가는 걸 보고 살짝쿵 실망했었는데,
(소설은 기획이 아니자나, 라고 생각했지만 기획 맞다. 그리고 우행시는 정말 스토리나 캐릭터 구상 등 시대와 너무 잘 맞는 참 잘 된 기획 맞다고는 생각한다.) 

참 글 잘 쓴다. 착착 감긴다. 역시, 다.
그래도 여전히 뭔가 빠진 것 같은 느낌은 들지만, 그래도 참 좋다.

나는 크게 별다른 상처도 없고 힘든 일도 없는데 왠지 위안 받고 있는 기분이 든다. 그러면서 자꾸 엄마 생각이 난다. 우리 엄마, 이제는 내가 꼭 보호해 주고 싶은 우리 엄마. 아빠는 여전히 내가 보호 받아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엄마는 내가 꼭 보호해 줘야만 할 것 같은, 우리 엄마.

나는 위녕의 엄마처럼 살고 싶고, 공감하고, 살거다.  

작가로 나오는 그 엄마는 공지영 작가 자신일까? 문득 궁금.  

"어떤 순간에도 너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것을 그만두어서는 안 돼. 너도 모자라고 엄마도 모자라고 아빠도 모자라... 하지만 그렇다고 그 모자람 때문에 누구를 멸시하거나 미워할 권리는 없어. 괜찮은 거야. 그담에 또 잘하면 되는 거야. 잘못하면 또 고치면 되는 거야. 그담에 잘못하면 또 고치고, 고치려고 노력하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남을 사랑할 수가 있는 거야. 엄마는 ... 엄마 자신을 사랑하게 되기까지 참 많은 시간을 헛되이 보냈어."

이런식의 경구들이 얼마나 그 소설을 멋지게 하는 단지 '장치' 로 보이기 쉬운지 안다. 그래도,

사람은 누구나 위안이 필요한 법이니까. 그리고 단지 '경구'만은 아니니까.

"이상하게도 그때 나는 알게 되었다. 이혼한 가정의 아이들이 왜 불행한지. 그건 대개 엄마가 불행해하기 때문일 것이다. 부부가 불화하는 집 아이들이 왜 불행한지도 어렴풋하게 느껴졌다. 그건 엄마가 불행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아, 이 세상에서 엄마라는 종족의 힘은 얼마나 센지. 그리고 그렇게 힘이 센 종족이 얼마나 오래도록 제 힘이 얼마나 센지도 모른 채로 슬펐는지. " 
 
나는 우리 엄마에게 이 구절을 읽어 드리고 싶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꼭 읽어보시라고, 내가 읽다간 금새 눈물이 나버릴 테니까, 꼭 읽게 해드리고 싶었다. 나도 엄마 덕분에 행복하게 자랄 수 있었다고. 아직도 자기 때문에 내가 힘들게 컸다고 생각하는 우리 엄마에게.

모든 순간에 필요한 것은 유머다. 힘들수록 그건 더 필요한 법.
흥미진진하게 지하철에서 열심히 읽게 될 것 같은 책이다. 왠지 공지영 작가의 책은 지하철에서 읽어야 집중이 더 잘되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