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사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끼붐에 동참했던 20대 초반, 나는 분명 이 책을 좋아했었는데. 분명 그랬었는데 어찌된 건지, 내가 기억하고 있는 스토리와도 전혀 다르고, 내가 이 책을 왜 좋아했었는지도 잘 모르게됐다. 분명, 좋아했으니까 제목이 기억에 남았을테고, 마음에 있었을텐데, 드는 생각은, 왜 나는 이 책을 좋아했을까, 라니.

두권의 내가 좋아했던 책을 다시 들춰봤다. 스푸트니크의 연인과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둘 다 사람과 사람의 소통에 대한 이야기로 국경,은 한 남자의 성장기, 스푸타니크는 한 여자에 대한 한 남자의 고백기? 쯤 될까.

하루끼의 책에는 다소 판타지와 상상력, 이미지가 느껴진다. 스푸타니크의 그리스 풍경, 국경 남쪽에서 옛 여자와 함께 찾아가는 일본 어느 구석의 강. 문장을 읽으면 생생하게 그 풍경을 그려볼 수 있다. 안정된 문체로 그려가는 그 곳의 풍경. 하루끼가 여행작가로도 찬사받는 이유일까.

그나저나... 양을 쫒는 모험에서의 신비로움과 흥미진진함만을 기억하고 있는 지금, 다시 한번 양을 쫒는 모험도 읽어봐야겠고, 태엽감는 새와 댄스댄스댄스도 읽어봐야겠다.

그리고 10년 후에, 내가 국경 남쪽의 남자처럼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낳고 그리워했던 옛 사람의 향기를 떠올리게 될 나이가 되거든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 그땐 또 다른 느낌이 들까.

뭔가 잘 알 수 없게 되버린 국경 남쪽. 공감, 동의, 대화, 소통, 마음의 통함, 몸의 결합,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소통과 공감. 에 대한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