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하고 녹슬지 않는 위픽
이혁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공개된 글로 먼저 읽었을 때부터 머리를 징징 울리며 전개되는 여러 사건들에 고민을 하다가 영인 할머니의 사건으로 접어들면서부터는 울컥하는 마음을 달래느라 바빴던, 바로 그 책이 드디어 출판되었다. 위픽 선공개 글은 빼먹지 않고 보는 편인데 기억이 많이 남는 몇 편들 중 단연코 선두의 자리에 서 있는 이야기였다. 이혁진 작가님의 책.


이야기는 두 가지 갈래로 흐른다. 자율주행자동차 슈마허, 그리고 아이들을 가르치고 이동을 담당하는 기계 무버. 이 두 기계는 사람들의 삶을 어찌나 바꿔놓으려는지 인간들은 인간들이 만든 기계에 옴짝달싹 못하고 시험에 들고야 만다. 조금은 익숙한 설정 - 대박을 칠거야!  VS 윤리의 문제는 어쩌고 / 내가 이러려고 자율주행차를 만든 게 아닌데? VS 사람들이 선호하는 기능을 더 많이 넣어서 좋아 보이게만 하면 돼의 갈등 상황이 이어지는 와중에 발생하는 사고들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윤리, 도덕에 대한 잣대와 기준의 부재를 드러나게 하고... 물러설 수도 돌아갈 수도 없이 와 버린 현재는 인간들을 짓누르는데...


자율주행자들의 일정한 차간 거리, 도로 위 자율주행차들이 많아짐에 따라 진짜 인간들은 점점 AI의 운전 방식을 따를 수 밖에 없게 된다. 그것이 도로 위 질서이니까. 자율 주행 - 내가 운전을 하지 않는 것, 에서 더 이상 선택할 여지가 없음으로 바뀌어 버리는 것이 과연 우리가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는 의도일까 점점 의심이 드는 와중에. 고민은 자꾸 깊어진다. 도로 위로 부유한 할머니와 가난해 보이는 어린 아이가 뛰어 들었고 둘 중 하나는 반드시 부딪히게 된다. 라는 상황 하에서 자율주행자동차에게 어떤 선택을 하라고 기준을 심어줄 것인가. 내가 개발자라면? 내가 CEO라면? 나는 어떤 기준을 부여할 것인가? 아니 그런데... 왜 자율 주행 자동차가 선택을 하고 있지? 선택을 하는 것이 자율 주행 자동차인가? 그게 맞나? 



꼬리에 꼬리를 무는 물음표들이 머릿속을 헤집는 와중에, 감정적으로 울컥하게 하는 이야기가 또 있으니... 바로 무버를 타는 어린이들. 특히 재호의 아내. 재호 아내에게 완전히 감정 이입한 나는 정말 여러번 답답함과 막막함에 눈물이 났다. 문제 의식도 나 같아서, 대처 방법도 나 같아서. 8살짜리 주제에 논리와 그럴듯한 지식만 갖춰 "입만 산" 아들을 "무버에서 내려오게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해서" 억장이 무너지는 엄마를 "너무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틀린 길로 가는 아들을 설득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대치 상황만 만드는 엄마를.


나는 절대로 무버를 들이지 않겠다고 생각하지만 "교육적으로 도움이 된다" 라는 전제가 있을 때, 그리고 "모두가 다 사는데" 라고 할 때 과연 사지 않고 배겨낼 수 있을까. 마치 "등골 브레이커" 같은 존재가 무버라고 한다면?


나는 과연 강단있고 심지있게 아이의 반대를 무릎쓰고 내 고집을 견지할 수 있을 것인가, 의문이 들었다. 모든 게 육아서로 읽히는 매직...


이 이야기의 끝은 어떻게 될까.

"해피엔딩주의자" 인 나는 잠시 책을 내려 놓을 뻔 했지만... 이혁진 작가님은 나를 버리지 않았다. 더 격해지기 전에 좋은 결말을 만들어주셨다. 울컥 울컥 결국 막판엔 눈물 줄줄. 흐엉엉.

자식과 아들을 교통사고로 한꺼번에 잃은 엄마이자 아내 - 할머니 영인. 이 책의 제목인 "단단하고 녹슬지 않는" 의 이야기를 지닌 영인이 그리 해주었다. 이 복잡하게 꼬인 윤리적 질문들의 거미줄 사이로 비친 한 줄기 햇빛은 바로 영인이었다. 가장 아프고 힘든 사연을 가진 채 슈마허에 치인 영인.


어느

늙고

미친

여자가

이 하찮은

일에 자기

목숨을

걸었다고


늙었으니까, 미쳤으니까 이런 일에 목숨을 걸지, 라고 말해도 손색이 없을 그런 싸움을 시작하는 영인을 응원하고, 연대하고 싶어졌다. 우리에겐 함께하는 이들이 있다고. 비록 언제까지 길어져도, 나는 당신을 응원한다고. 이것은 이기는 싸움일테니까.


책장을 덮고 나서도 긴 여운에 숨을 골라야 했다.

199페이지의 길지 않은 이야기 속에 담긴 수많은 질문과 답하기 어려운 난제들. 그리고 작가님이 제시한 바로 그 단어에 닿아 울컥하는 마음까지 스펙타클한 여정을 함께 한 기분이 들었던 소설, 인류애가 떨어질 때마다 한번씩 찾아보고 싶은, 그런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습니다.



슈마허가 선택을 했다는 게, 대상을 골랐다는 게. - P86

나만 겪는 게 없는 것처럼 나만 안 겪는 것도 없을테니까. - P37

그러니까 가르쳐줘야 할 건 기준이야. 뭐가 맞고 뭐가 틀린지, 이유가 어떻든 맞는 건 뭐고 틀린 건 뭔지. 이제 알겠어. 내가 제일 못했던 게 그거라는 걸, 그래서 얘가 지금 이렇게 됐다는 걸. 아내는 후회스럽다는 듯 입술을 깨물었다. 그러니 나부터 해야지, 기준을 지켜야지. 아무리 울고 떼쓰고 날 미안하게, 아프게 해도 상관없어. 나쁜 엄마라 해도 괜찮아. 맞는 건 맞고, 틀린 건 틀려. 멀쩡한 두 다리로 태어난 건 고마운 일이야.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아니야. 날개를 갖고 태어나지 못한 게 불행한 일이나 선택의 결과일 수 없는 것처럼. 맞잖아. - P53

이럴 의도가 아니었는데도 이렇게 됐으니까,

그럼에도 틀림없이 전부 다 자기가 벌인 일이었으니까. - P26

영인은 다시 그때가 눈앞에 선한 것처럼 환하게 웃었다,

정말 그런 걸 한번 체험해봐야 해요. 인간은 그런 말을 듣고 그런 얼굴을 보기 위해 산다는 걸 알게 되거든요. 모든 게, 지금껏 있었던 모든 불안, 괴로움, 힘들고 어려웠던 게 눈물조차 없이 다 사라지는, 보상받는 느낌조차 없이 그냥 다 받아들일 수 있게 돼요. 그 모든 게 다 필요했고 가치 있었다는 걸 비로소, 완전히 이해하고 인정할 수 있게 되는 거죠. - P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