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전경린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A여사가 준 책. 예전에 읽은 적이 있었다. 고로 두번째 읽는 책.s 

난 연애중이다. 그래서 사랑을 믿고 싶고, 변하지 않는 거라고 믿고 싶다. 그런데 이 책은 아니라고 얘기한다. 단적인 예로, 대화중에 그런게 나온다. 아이를 둔 세 주부의 이야기 중에, 한 여자가 그리 이야길 한다. 어느 여자가 그랬데. 남편이 몸에 손을 대길래, 어머 왜 이래요 가족끼리. 라고 그랬데.  

남편을 사랑했고, 그래서 결혼했고 아이를 낳았고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다고 믿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쳐들어온 남편의 정부. 한참 어린 그 여자가 깽판을 놓고 간 이후로, 가정은 망가졌다. 정신적으로 상처입어버린 부인을 위해 남자는 시골로 거취를 옮기고 아들과 여자를 위해 모든 걸 다 바쳐도 좋겠다고 결심한다.  

그러나 여자의 상처는 회복되지 않는다. 그 냄새때문에 좋아했는데, 이제는 그 냄새가 구역질 나서 가까이에도 갈 수가 없다. 그저 말 없이 참고 견딜 뿐. 아이를 데려다주고, 데리러 오는 작은 마을에서의 생활이 시작되었다.  

불륜이다. 가정이 있는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좋아하니까, 불륜이다. 둘이서 결혼을 했더라면 결국 결론은 같았을까?

결혼의 끝은 그렇게 하나의 길로밖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일까? 전경린의 부정적인 시각들 속에서, 그렇게 절망속에서 얻은 하나의 구원이 가져온 또 다른 결론 앞에서, 결국 그들은 행복해 지지 않았나, 라는 단편적인 시각 속에서...  

알 수 없지 않은가. 살아보기 전에는 무엇이 맞고 무엇이 틀리다고도 할 수 없지 않겠는가. 살아보기 전에는, 아무것도 알 수 없지 않겠는가 말이다. 

슬쩍 슬쩍 보이는 어두운 모습들을 애써 외면하는 건 바보같은 일이겠지만 어둡다고 가정하고 내리닫는 것도 바보같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속상했던 건 남자의 부정은 그리 쉽게 지워져버렸으면서 여자의 부정은 왜 그리 눈치받아야 하는건지.

곤란하다 정말이지.  좋지 않아. 


아무튼간에, 오늘 점심시간 다 읽어버린 전경린. 우울했다. 후훗_
 

# 전경린의  책 중에 염소를 모는 여자, 라는게 있지. 그 책을 읽어봐야겠다.

이 책에서도 염소에 대한 모티브가 많이 나오는데, 염소의 어떤 점에 착안한 것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