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 하느님
조정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 근대사의 비극은 따로 말한 필요가 없을 것이다. 무수히 많은 비극들이 있었고 우리들은 그 비극 속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때에 많은 사람들이 소설보다 더 소설같은,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삶을 어떤 경우에는 자의로, 어떤 경우에는 타의로 살아가야만 했다.
『오 하느님』은 중앙아시아부터 유럽, 미국에 이르기까지 등장인물들이 겪는 비극을 따라가며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일본군에서 러시아군으로 독일군으로 끝으로 미군의 포로가 되기 까지 그들은 끊임없이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원하지만 역설적으로 고향에서 멀어진다. 고향에 가까워지기 위해 바꿔입은 군복들은 그들을 고향에서 자꾸 멀리 보낸다. 결국 그들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머나 먼 동토에서 스러져간다. 이러한 비극적인 인간사가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작가의 화법과 『노르망디의 코리안』이라는 근거 때문일 것이다.
역사는 언제나 신길만처럼 틈바구니에서 희생된 생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기 일쑤이다. 작가의 필치에 따라 그 생을 쫓으며 나는 그 비극이 서러웠다. 한반도에서 살았던 그리고 살아온 우리들은 아직도 이 비극의 유산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비극은 분단을 남겼고 여기저기 흩어져 까레이스끼, 조선족, 재일(在日) 등을 만들었다. 우리는 아직도 자유롭지 못하다. 이 비극들은 치유되지 않는 상처들로 남아 오래도록 우리들을 괴롭힐 것이다. (비록 흉터는 남겠지만)치유되지 못한 비극들의 상처가 어서 아물고 앞으로 또 다른 비극에 상처를 입지 않기를 기원한다. 2007/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