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칙한 한국학
J. 스콧 버거슨 지음, 주윤정.최세희 옮김 / 이끌리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일단 이 책에 대한 첫 느낌은 재미있고 끌린다는 것이다. 여러 매체에도 소개되었고 나 역시도 이 책을 처음 접한 것은 신문에 실린 저자와의 인터뷰와 광고였던 것 같다. 덕분인지 이 책은 상당히 많이 팔린 책이 되었고 저자인 스콧은 유명인사가 된 것 같다.
이 책을 알게 된 후에 서점에 갈 기회가 생겼다. '발칙한 한국학'이 눈에 들어오길레 집어서 대강 훑어보았다. 그리고 그 때의 느낌은 '재미있다.'였고 제대로 다 읽게 된 지금의 느낌 역시나 '재미있다.'이다.
왜 이 책이 재미가 있을까? 지루하고 재미없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나에게는 이 책이 재미있었다. 단순히 취향의 문제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보다는 이 책에서 바라보는 독특한 시각에서 그 재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을 바라보는 '발칙한' 시선을 담은 책이 바로 이 책 '발칙한 한국학'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외국사람이며 여러가지 방식으로 한국과 인연을 맺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스콧은 한국, 한국인을 아무런 꾸밈없이 여러시점에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쉽게 접하기 힘들 것 같아보이는 여러가지 자료들을 통해서 한국, 한국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런데 왜 스콧은 그렇게 애써서 한국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걸까? 그의 피에 한국인의 피가 섞여 있어서? 그가 한국에 뭔가 빚진게 있어서? 미안하게도 스콧이 한국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이유는 그의 한마디를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이 바라본 한국이 아닌 '외국'이 바라본 한국의 모습, 그것도 아무런 꾸밈이 없는 '발칙한'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의 모습.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자. 'Have Fun!' 이책은 즐기면 되는 것이다. 즐길줄 모르는 사람에게는 조금 지루하게 느껴질지도 모르는 책이다.
어째거나 스콧은 문화건달이다. 이런 책 만들어서 돈 뜯어가는거 보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