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 - 고미숙의 유쾌한 임꺽정 읽기
고미숙 지음 / 사계절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어릴적에 임꺽정을 읽었던 기억이 있다.
어떻게 해서 읽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기억을 되살려보면 어린이판이 아니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10권짜리는 아니었던 것으로 봐서 원판은 아니고 축약본이었으리라 짐작해본다.
기억에 남는 장면은 주막에서 임꺽정과 다른 사람들이 힘자랑을 하는 장면인데
아마 책의 첫시작이라고 짐작된다.
다른 사람들이 숟가락을 손으로 우그려뜨리니 임꺽정은 화로를 구겨서 내기에서 이겼던 장면과
임꺽정이 관군을 앞에두고 다른 동생들을 먼저 고개너머로 보내고 남아서
관군과 상대하며 도망가던 장면, 그리고 어처구니 없이 그게 끝이어서 이상하게 생각했던 것.
그때는 왜 책이 이렇게 끝이 날까하고 책이 더 있지 않은지 궁금해했던 기억이 살아있다.
책을 읽으면서 서림은 반드시 배신을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그 어린 나이에도 나약한 기회주의자 지식인에 대한 생각은 가지고 있었다는게
지금 생각하면 좀 우습기도 하다.
왜 서림이 배신을 하게 될 것인지를 설명하지는 못해도 막연하게 느낀 것으로 봐서
그때나 지금이나 어줍짢은 지식인들이 사회의 독이 된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안철수교수가 무릎팍도사에 나와서 머리 똑똑한 사람들때문에 사회가 위험해진다라는
발언이 생각난다. ㅎㅎㅎ
이제 이 책 이야기를 해보자.
보통 해설서를 먼저 보고 책을 읽어도 좋고 책을 읽고나서 해설서를 보게 되어도 재미가 있다.
해설서를 읽다보면 책을 읽을 때 보지 못했던 부분들이 자세히 보이고
그러다보면 책을 다시 읽으면서 더 재미나게 읽게된다.
이 책은 임꺽정을 읽지 않은 사람이 봐도 재미가 있으며
이미 읽어본 사람이 본다면 더욱 재미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임꺽정을 경제, 공부, 우정, 사랑과 성, 여성, 사상, 조직 이라는 몇개의 테마로 나누어 재미나게 이야기하고 있다.
어쩔 수 없이 임꺽정을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이로써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의 목록이 또 하나 늘었다.
박경리의 '토지', 최명희의 '혼불', 그리고 홍명희의 '임꺽정'
이제서야 알게 된 사실인데 임꺽정이 미완성인 이유가 재미가 있다.
전에는 막연히 저자가 죽었거나 또는 위정자의 압력때문에 그럴 것이라 여겼는데 아닌거였다.
홍명희선생이 41세에 쓰기 시작해서 딱 10년동안 이 책을 쓰고는 중간에 그만둬버린거다.
50세부터 홍명희선생은 신간회활동등 각종 조직활동을 시작하시면서 소설쓰는 것에 흥미를 잃어버린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홍명희선생이 81세로 사망하셨으니 계속 이어서 쓰셨어도 되셨겠지만 왜 그러지 않으셨을까나
어쨌던 조만간에 임꺽정을 읽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