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주문한 새성경 2종이 왔다. 


 지난 주는 새로운 성경을 구입하고자 고민한 주였다. 예배용으로는 교회에서 개역개정판을 쓰고 있어서 집에서 통독용으로 읽을 쉽게 쓰여진 성경이 필요해서다. 이미 표준새번역(새번역)성경과 공동번역 성서도 가지고 있지만, 검색을 해보니 새로운 번역의 성경들이 많이 나와서 관심이 갔다.

 

오래 주일학교 교사를 하면서 아이들에게 쉽게 성경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다. 그때는 [개역판]성경이어서 지금의 [개역개정]보다 고어에 가까웠다. '현대인의 성경'같은 것도 참고 하였으나 만족스럽지 않았고, 표준새번역[새번역]성경이 나와 참고하였다. [공동번역 성서]는 정말 마음에 들었으나 인명과 지명이 달라서 많이 참고 하지는 못했다.


 원래 [공동번역 성서]는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함께쓰려고 번역했는데, 개신교 쪽에서 너무 가톨릭식이라고 반대해서 가톨릭에서만 쓰게 되었다고 한다. 개신교는 이후 표준새번역도 반대하고   개역판을 조금 수정한 [개정개역판]만을 받아들였고, 그것도 교단에서 문제가 제기되는 구절이 생기면 [개역판]으로 다시 돌아가는 번역으로 개정을 4번이나 해서 지금은 [개역개정4판]을 쓰고 있다고 한다.  성경의 번역에 대해서는 신학자나 목사가 아닌 평신도의 입장이라 신학적으로 뭐가 틀린건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성경번역의 개신교 역사를 보면 목회자나 신학자들의  보수적인 행태로 일반 평신도에게 성경을 쉽게 읽을 기회를 빼았고 있는 아닌 생각해 본다. 성경은 목회자들이 해석하고 해설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에게 다가오는 말씀을 알아듣기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가톨릭은 개신교와 함께 번역했던  [공동번역성서]를 사용하다 지금은 자신들만의 새로운 [성경] 쓰고있다.


 여러 고민 끝에 선정한 성경은 3가지. 우선 구입한 위의 두 권과 나중에 구입할 가톨릭성경이다.


 먼저 [NLT 우리말성경] 두란노에서 번역한 [우리말성경]과 영어로 제일 쉽고 제일 많이본다는[ NLT판 영어성경]의 영한대조성경이다. 원래 따로 따로 구입할 예정이었는데, 같이 붙어있는 성경이 있길래 이걸로 구입했다. 천천히 살펴보니 [우리말성경]은 개역개정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어미의 고어체를 현대식으로 바꾼게 인상적이었다. [출애굽기]제목을 [출이집트기]라고 바꿔서 잠깐 웃었다. 어미와 조금씩 어려운 단어를 바꾼 것 만으로도 수월하게 읽히는 게 장점이다. 단점이라면 조금 더 쉽게 번역 할 수도 있었을텐데하는 아쉬움이 좀 남는다. [개역개정판]의 그늘이 많이 느껴진다. NLT영어성경은 쉬운 편이다. 미국의 초등학교6학년 수준의 영어란다.


  다음으로 유진 피터슨의 [메시지]는 정말 쉽게 번역이 되어있다. 유진 피터슨 목사의 신학적 해설이 첨가 되었겠지만, 참  쉽게 성경에 다가갈 수 있다. 초신자들에게 추천하고픈 성경이다. 기존 성경에 익숙한 신자라면 미사여구가 많다고 느낄 것 같다. 일단 신약만 구입했다. 구약은 번역본이 몇 권으로 나뉘어 있어서 나중에 합본이 나오면 구입해 볼 예정이다. 


 주일학교때부터 가장 많이 암송했던 요한복음 3장16절을 비교해 보자.


 개역개정판성경전서-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우리말성경-하나님께서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사람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유진 피터슨의 메시지-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얼마나 사랑하셨는지, 그분은 하나뿐인 아들을 우리에게 주셨다. 그것은 아무도 멸망하지 않고,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온전하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하시려는 것이다.


 톨릭판 성경-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 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한 구절만의 비교만으로도 얼마나 우리말 뉘앙스가 다른가!  난 카톨릭성경의 번역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하려 하심이 아닌 "하셨다." 얼마나 은혜로운 번역인지. 


 먼저 우리말성경과 메세지신약을 통독하고, 가톨릭성경을 읽고자 아직 가톨릭성경은 구입하진 않았지만 기대가 된다. 평생의 절반을 세로로 된 개역성경을 봤고, 나머지 절반을 가로로 된 개역과 개역개정을 보고도 물론 성경의 은혜는 변함이 없으나, 말과 글이란 뉘앙스가 있어서 말씀의 은헤가 더 배가 된다면 그것도 기쁜일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합 2013-04-06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유진피터슨 메시지는 뉴에이지 쪽입니다.

단독비행 2013-04-07 23:54   좋아요 0 | URL
통합님. 신학적인 논쟁은 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책소개를 봐도 신뢰할 만한 분이고, 여러 교회에서도 무리없이 본다고 하니 그리 문제가 될 것 같진 않습니다. 신학적으로 문제가 있다면 반대 의견도 있겠지만, 무조건 색안경을 쓰고 단정한다는 것은 성숙한 신앙인의 자세가 아닌 것 같습니다. '뉴에이지쪽입니다'란 댓글이 그냥 정보를 알려주시는 것인지, 뉴에이지는 위험한 사상이니 주의하라고 하신 것인지 모르겠지만 약간 부정적 뉘앙스를 풍겨서 이런 댓글을 남깁니다.

^^ 2015-01-28 1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한참 지난 글에 댓글을 달아서 실례가 아닌지 모르겠지만, 메시지성경과 유진 피터슨에 대한 뉴에이지 의혹을 변호해보려고 검색하다가 이곳에 흘러들어왔네요.
결국은 다른 자료보다는 우선 메시지 서문을 읽고 본문들을 직접 읽어 보고 비판하라는 결론에 다다르네요. 설령 그를 비방하는 사람들의 주장처럼 뉴에이지에 물든 위험한 사람이라도, 그의 저작에 가치가 있다면 읽어보아 나쁠 것이 없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한국교회를 경직되게 만든 것이 도데체 무엇일까요.

우스개 소리지만 `성경은 너무 거룩해서 읽을 수 없다`라는 크리스천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정작 성경 1독도 안해본 사람들이 어디서 유진 피터슨의 비방글을 보았는지, 메시지는 사탄의 계략이다 라는 열변을 토하시는지... 사탄의 능력에는 벌벌떨면서 우리에게 분별의 지혜를 주시는 성령의 능력을 너무 과소평가하는 듯합니다.
 


  












집에 있으면 항상 세끼니를  준비하는 게 고민이다. 그럴때 가장 먼저 요리책을 찾게된다. 많은 요리책을 보았지만, 어떤 요리책은 레시피대로 해도 잘 되지 않거나 생략이 많아 난감한 적도 많다. 그런데 요즘은 전문 요리사가 아닌 블로거들의 책도 좋아서 요리솜씨도 전문가급이다. 자신이 직접 해먹는 레시피니 믿을만도 하다. 난 그중에 김진옥의 요리책이 가장 좋다. 가장 많이 접하는 재료를 가지고 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1권을 보다 좋아 2권도 구입했는데 겹치지 않는다. 블로그도 잘 꾸며져 있다. 하지만 요리할 때 언제 블로그까지 뒤지고 있나해서, 책으로 보는 것이 편리하다. 우리가 자주 해먹는 우리 밥상에 맞는 요리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 좋은 책을 만나긴 쉽지 않다. 이 책은 1993년 9월 21일 구입했다. 20년정도 전이다. 분도출판사라는 가톨릭전문 출판사에서 나온 200쪽 정도의 작은 책이다. 그 때는 모든 것이 불확실했다. 대학도 가지 못한 상태였고, 다일공동체에 있다가 나와 다시 입시준비를 하던시기였다. 고교졸업후 6년이 지나 늦은 나이 이기도 했다.  실연의 아픔도 있었고, 삶은 나에게 도무지 기회란 걸 주지 않았다. 주변과의 관계들도 원만하지 않았고, 그저 침묵과 함께한 세월이었다. 그 시절 나에게 마음의 힘을 준 책 중 하나이다.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은 바로 타인과 더블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인간 존재의 본질은 다른 인간과의 관계성에 그 뿌리를 둔다."


"그런데 정작 우리가 더 우려해야 할 바는, 우리들의 관계가 진정한 의미에서 아예 시작되지도 않았거나 시작되었다 하더러도 아직 성숙되지 못했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아마도 우리는 한편으로는 갈등을 느끼고 좋은 해결을 바라면서도, 주어진 현실에 너무 쉽게 안주해 버리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실제의 대화가 중단된 곳에는 으레 상상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이 책을 읽고 묵상하며, 사람들을 만나면 조금이라도 마음에서 나오는 대화를 하려고 하고, 상대의 마음을 가늠하고자 노력하곤 했다. 마음이 지칠때면 자주 들여다보는 책이다.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되어 구할 수 없는 책이다. 그 당시 선물할 일이 있으면 몇 번 이 책을 선물하곤 했다.


 분도출판사에서 나온 책들 중에 유명한 건 이해인수녀님의 책들이다. 그 당시 이해인수녀님의 책도 자주 보았는데, 참 마음이 맑아진다.




      

  












  



   방황의 시기가 지나고 다음 해인 1994년 서울예전 광고창작과에 입학했다. 그 과의 교수님 중 한분이  이인구교수님이셨는데, 바로 이해인 수녀님의 오빠셨다. 사람의 인연이란 알 수 없고, 어떻게 관계맺고 살아갈 지 그 분만 아시는 것 아닐까. 그러기에 현재에 충실할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세계문학의 새로운 번역본들이 정말로 반갑다. 내가 과거에 읽었던 세계문학과는 새로운 감정들이 생긴다. 내가 처음 세계문학소설을 읽은 것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이었다. 중학생때였으니 그냥 읽었다라는 표현이 맞을 듯하다. 그래서 요즘 세계문학읽기는 바로 새로읽기다.


 













난 문동판 이인규역의 이 [노인과 바다]번역본을 너무나 사랑한다. 물흐르듯하고 편안한 번역. 내가 가지고 있던 [노인과 바다]와는 비교할 수 조차 없다. 단숨에 읽어내려가 몇 시간 푹 빠져 읽었다. 그래서 번역자가 궁금해서 그의 번역본들을 구입해 볼 예정이다.



 















그리고  다음은 위대한 개츠비.

정말 유명한 소설이지만 난 아직 잘 모르겠다. 몇 번 더 읽어봐야겠다. 시인 김영하의 번역이라서 구입했다.


 














꽤 오래전 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어보려 책을 찾아 지금은 없어진 [종로서적]에서 헤맨 적이 있다. 하지만 띄엄띄엄 책이 나왔었고, 읽기가 참 불편해서 포기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이후 수십년 만에 읽을 수 있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나오기 시작했다.


 















난 이 책이 급하게 나오기를 원하지 않는다. 15년을 기다렸는데 몇 년이 걸리더라도 잘 번역 된 형태로 나왔으면 한다. 요즘은 아끼며 야금야금 읽고 있다.  숨이 차게, 낄낄대며...


그리고 마지막 요즘 최고의 화제작.

롤.리.타.


 














난 문학동네 세계문학은 특이하게 모으는데, 얇은 책은 반양장으로 두꺼운 책은 양장으로 본다. 반양장은 가지고 다니면서 보기위해 그리고 양장은 집에서 편안히 보기 위해서다. 그래서 롤리타의 양장본을 눈이 빠지게 기다리다 나오자 마자 구입했다. 


오. 롤.리.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항상 소설과 시나리오의 작법책을 눈여겨보다가 최근에 읽어 본 책이다. <소설쓰기의 모든 것 >시리즈(전5권)가 소설의 각 구성요소를 주제별로 잘 정리한 방대한 시리즈라면, 이 책은  좀 더 집약적이면서 체계적이다. 400여페이지 중에 200 페이지까지는 정말 감동적으로 읽어나갔다. 그 이후는 다른 책에서 볼 수 있는 내용들이라 힘이 빠지기는 하지만 좋은 작법책 임에 분명하다.


이 책에서는 항상 서가에 갖추라고 추천하는 교본작품으로 6권의 소설을 제시한다.





 











 













위의 3편은 아직도 알라딘에서 판매를 하고 있고, 이언 매큐언의 <암스테르담>, 줌파 라히리의<이름 뒤에 숨은 사랑>. 그리고 앤 타일러의 <우연한 여행자>는 아쉽게도 절판중이다.  <캐벌리어와 클레이의 놀라운 모험>은 이 책에서도 특히 많이 언급되고 있어 한번 구입해 볼 참이다. <연금술사>는 너무나 좋아하는 책이라 여러번 읽은 책이다.


<주말 소설가>에서 감명을 받은 구절은


'한 편의 이야기는 밑바탕에 깔린 욕망의 대상을 놓고 벌이는 주도권 다툼이라고 할 수 있다.' p218

여러 작법서를 보면서 이 구절만큼 이야기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본 적이 없다. 눈이 확 뜨였다고 할까?


도서를 출판한 다산북스 관계자분들이 이 글을 본다면 번역을 추천하고 싶은 책이 있다.


 














오래 전에 사서 조금씩 보고 있는 책인데, 시나리오 작법서이다 보니 아직 번역이 안 되어 있다. 시나리오 작법서이긴 하지만 이야기를 감정적인 구조로 분석한 책이다. 이제 소설이나 작법서도 일반적인 작법서에서 좀 더 다른 방향으로 작업방향을 잡을 수 있는 책들도 번역되었으면 한다. <소설쓰기의 모든 것>시리즈를 원서로 가지고 있으면서, 번역되어 나오리라고는 꿈에도 생각 봇하고 원서를 힘들게 읽었던 경험이 있던 나는 이 책도 번역되면 어떨까 생각해봤다.


소설가가 되려고 하는 사람. 시나리오작가, 드라마작가가 되려고 하는 사람... 수요가 얼마나 될지는 모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