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94
박형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7월
평점 :
나의 스승님께서 박형준 새 시집을 읽어보시고 "1부에서 아버지의 죽음에 관한 시 몇 편 빼고는 건질 것이 없더라"고, 그래도 서정적 표현을 배울 수 있으니 한 번 읽어보라고 내게 말씀하셨다. 시집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는 박형준의 다섯 번째 시집이다. 그만하면 중견의 자리에 들어설 법하므로, 1부에 실린 시들을 읽고 마음에 들면 그 나머지도 마저 읽겠다는 생각을 하며 시집을 펴 들었다. 그러나 이건 왠 일인가! 박형준이 어디론가 감쪽같이 사라졌다. 박형준이 사라진 그 자리에는 미당만이 남아있다.
가장 나를 실망시킨 것은 그가 미당의 한 마디를 자신의 시 속에서 표절해 놓고 있음이었다. 이번 시집에 실린 「가을 이불」이라는 시의 마지막 4연은 명백한 표절이다. "고향 집 / 늙은 어머니가 꾸미는 / 가을 이불 한 채 찬란하다" 이것을 두고 나는 무슨 근거로 표절이라 생각하는가? 내가 소장한 『서정주 시집』(범우사, 1997)의 앞머리에는 박재삼이 직접 쓴 서정주론인 "미당 선생의 시"라는 짤막한 발문이 들어있다. 그 중 한 대목. "약 30년 전, 내가 현대문학사(現代文學社)의 기자로 있을 때, 미당 선생은 시고료(詩稿料) 몇 푼을 탔다. 눈짓으로 나가자는 것이다. 선술집에 갔는데, 마침 그 집은 이불을 꾸미고 있었다. 늦가을이었다. 미당 선생은 대뜸 한다는 말씀이, "아주머니 가을 이불 꾸미는 걸 보니까 내 마음이 찬란해지는구먼" 했다. 그냥 하시는 말씀인데, 내가 듣기로는 '찬란하다'는 것이 정통으로 들어맞는 시인적 발성(發聲)이라는 것이었다." (14쪽)
남의 생각이나 표현은 그 발표의 형태를 떠나서 나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그것을 내 글 속에 빌려올 경우에는 반드시 빌려온 경위를 밝혀야만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빌리는 게 아니라 훔치는 것이 된다. 비록 가을 이불이 찬란하다는 표현 자체가 미당과 박재삼의 술자리에서 오고 간 사담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엄연히 미당의 것이다. 그런데 박형준은 자신의 시에서 그것의 저작권이 미당에게 있음을 숨기고 있다. 여기서 나는 내 마음 속에서 박형준이 진정으로 시인의 자질을 가진 것인지에 관하여 솟구쳐오르는 의구심마저 지우기 차마 어려웠음을 밝혀둔다. 이 시집의 또 다른 시 「아침 달 뜨면」에서는 미당의 시 한 구절을 차용했음을 밝히고 있다. 그것은 워낙 유명한 구절이라 차용을 밝히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유명한 구절에는 차용 사실을 밝히면서도, 유명하지 않다고 숨기는 것은 이해할 수도 용납할 수도 없는 일이다.
아니, 그쯤은 눈 감아준다 치자. 그러나 그런 식으로 해서라도 박형준은 자신의 시를 살려냈는가? 오히려 나는 내 스승님의 생각과 달리 1부에서조차도 단 한 편의 변변한 시를 도저히 찾고 싶어도 찾을 수가 없었다. 내가 좋아하는 그의 세 번째 시집 『물속까지 잎사귀가 피어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사랑」이라든지, 「저곳」에서 보여주었던 그만의 독특한 상상력과 어법은 도대체 어디로 사라졌단 말인가? 오히려 그 시편들이 미당에 가까운 박형준이었고, 박형준이 된 미당이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제는 박형준도 없으며 미당도 없다. 더 정확히 말해서, 박형준이 없어져서 미당이 없다. 그는 앞으로 벼랑 끝에 서서 시의 생사를 가르는 절체절명의 심사로 시를 써야만 하리라. 그렇지 않으면 시도 없고 그도 없을 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