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굽는 타자기 - 젊은 날 닥치는 대로 글쓰기
폴 오스터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빵굽는 타자기라. 뭔가 익살스러우면서도 갓 구어낸 냄새가 나는 제목이다.
요즘으로 따지면 빵굽는 타자기가 아니라 빵굽는 컴퓨터가 되어야 하겠지만
좌우간 타자기가 빵을 굽는댄다. 타자를 찍는 게 아니고? 왜 어째서?

폴오스터에게 집필활동은 그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었지만
그의 생계를 책임져 주지는 못했다. 그는 집필활동은 커녕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기도
버거웠고, 그에 비해 책을 내면서 얻어지는 수완이란 턱없이 적었다.
닥치는 대로 번역거리를 찾아다니고, 카드게임을 만들어 팔 궁리를 하면서
그는 간절히 원했을 것이다. 상상속의, '진짜' 빵을 굽는 타자기를.

그는 말한다. 글을 쓴다는 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받는 것이라고.
글쟁이가 되는 것은 자신의 선택이 아니었고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이었노라고.
그의 모습에서 글쟁이는 배고픈 직업이라는 게 새삼 느껴졌다.

주위에서 문학을 하고, 글을 써내는 사람은 얼마나 많은가.
그리고 그들은 또 얼마나 좌절과 실패를 거듭하는가. 그럼에도 그들은 왜 문학을 하고
글 쓰기를 멈추지 않는가. 빵굽는 타자기를 그리면서도 집필에 몰두하는 그들은
도대체 왜 그러는 것일까. 정말로 선택이라도 받았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