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덕수궁으로 '궁궐의 우리나무' 덕수궁 나무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10분 지각해서 ㅎㅎ; 표 사서 얼른 들어갔죠.
다행히 초입에 측백나무를 설명하고 계셨는데 펜을 들자마자 다음 나무로 이동~~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55.jpg)
유아용 그림책에서나 봤던 그 앵두를 처음으로 봤습니다. 덕수궁에 처음 오는 것도 아닌데;;
혼자 답사왔을 때 나무 지도에는 나와있지 않아 그냥 지나쳤던 곳에서 '꼭! 먹어봐야지'하고 생각할 때쯤
교수님께서 궁궐에 나무들은 약을 쳐서 관리하기 때문에 궁궐 열매 함부러 따 먹다 간 큰일 난다고
말씀해주셨어요.
앵두 앙증맞고 맛있게 생겼어요. ///ㅅ///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56.jpg)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모과는 맛
없다고 합니다. 열매가 맛 없고 못 생긴 게 모과나무의 번식전략이라는 걸 교수님 설명을 통해 알게
됐습니다. 날 찾지 말라고 못 생기고 맛 없는 거라는 말인거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61.jpg)
중국으로 부터 유입됐다는데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다네요.
세포모양이 칠엽수와 비슷해 칠엽수로 분류되고, 1억년동안 거의 변하지 않아서 화석식물이라고
불린답니다. 교수님께서 바퀴벌레와 비교를 하시더라고요. ㅎㅎ
화석식물이라 불린 비결이 병충해에 강하고, 고약한 열매 냄새도 한몫해서 그런거랍니다.
우리동네 가로수가 왜 죄다 은행나무인지 알게 됐습니다.
공자의 가르침을 받는 곳의 대표적인 곳 성균관! 행단에 은행나무가 있다고 합니다.
행단 : 학문을 닦는 곳을 이르는 말로 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62.jpg)
백송은 중국 북경지방의 특산나무로, 흰꽃이 활짝 피면 길조였답니다.
추사 김정희가 할아버지 묘에 백송을 심었다고 하네요.
흥선대원군이 안동김씨를 견재하며 개혁을 준비할 때 성공 유무를 백송으로 점쳤다고 합니다.
어느날 백송이 유달리 흰 것을 보고 개혁 정치의 성공을 확신하고 진행했다고 합니다.
한번 가봤던 곳이라 백송하면 통의동 백송을 무의식 중에 떠올렸는데 헌법재판소에 600년 된 백송이라니
북촌 왔다갔다하면서 지나치기만 했는데 떨리지만(?) 꼭! 헌법재판소 내로 들어가봐야 겠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7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76.jpg)
TV 사극에서도 뻑하면 나타나는 모란 ㅎㅎ; 그 모란 꽃을 볼 수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77.jpg)
어릴 때 복숭아 열매 사진처럼 저렇게 안 익었을 때 자주 먹곤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나뭇잎이
돌돌 말려있다 싶으면 그 속에는 애벌레가 있고 복숭아가 익었다 싶어 나무 타고 올라가서 입에 물고
내려오면 여지없이 그 속엔 애벌레가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덜 익은 맛에 푹 빠졌었나 봅니다.
안 익어도 맛있어요. ㅎㅎ
보리수, 인도의 부처가 도를 깨우친 보리수 나무.
불교가 중국을 걸쳐 우리나라로 오면서 아열대 식물인 보리수를 가져올 수 없어서 그 대용으로
피나무를 보리수로 불렀다고 합니다.
보리수 열매로 염주를 만든다고 하네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7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79.jpg)
이렇게 튼실하게 자란 회화나무를 보다니 카메라 렌즈에 풀샷이 안 잡혀서 몇번이나 부분부분 잘라서
찍었던지~
창덕궁 후원에 갔을 때 해설사 분의 말씀이 떠오르네요.
나무들이 나이가 있는 만큼 병충해에 아프기도 하고, 벼락을 맞기도 해서 링거를 맞거나 수술을
한다고 합니다.
껍질이 패여있는 부분이 에폭시인가? 수술 자국이라 말을 들었는데 이 회화나무도 그런건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8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8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82.jpg)
벚나무도 있었지만 사진은 찍지 않았습니다. 너무도 많이 봐온 나무라서 좀 등한시 했습니다.
역사상 벚나무는 궁궐 안에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시는 교수님 다른 궁궐은 벚나무를 많이 뽑아
재정비 했다고 하는데 덕수궁에는 몇 그루 남아 있다고 합니다. 베어버리기에는 국민정서에 너무 가까이
파고든 것이 그 이유이기도 하다네요. 봄마다 벚꽃놀이하는 일본문화가 너무 친숙하죠?
교수님께 잣나무와 소나무 비교법을 배웠습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잎이 2개씩 붙어 있으면 소나무이고, 잎이 다섯개 붙어 있으면 잣나무,
3개는 미국산 소나무, 미송이라고 합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91.jpg)
창덕궁 외에 나무는 근래에 심은 것들이라 나이가 그리 많지는 않다고 하네요.
그리고 교수님께 들은 말씀 중에 가장 귓가에 남는 설명은 무궁화는 국산이 아니라는 겁니다. -_-;;
무궁화~ 무궁화~ 우리나라 꽃~♬ 삼천리 강산에 우리나라 꽃~♬
노래에 세뇌 당해 있어서 추호도 의심 한점 못해봤는데 무궁화의 원산지는 중동이라고 합니다.
귀화종이였다니... 저만 모르고 있었던 건가요?; 부끄럽기도 하고 씁쓸하네요;;
예상했던 시간보다 더 걸렸고, 더웠지만 재미있는 교수님의 설명 때문에 더위도 시간도 어떻게 보냈는지
정신없이 후딱 지났습니다.
늦게 도착해서 가방에서 책을 꺼내 교수님께 내밀었는데 안주머니에서 싸인펜을 꺼내시며 정성스런
사인도 받았습니다. +ㅁ+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92.jpg)
첫 답사는 시간이 안 맞아서 참여 신청을 못했고, 두번째는 신청해서 떨어지고,
세번째가 되서야 다녀왔네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93.jpg)
마지막으로 박상진 교수님 몰카 한장 찍어 올립니다!
박상진 교수님과 눌와 관계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_ _)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9/pimg_76164214686199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