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 처음으로 인터넷 독서모임에 나갔다. 하고 있는 일도 읽고 온 책도 제각각인 사람들과 모여서 책에 대한 감상을 나누는 자리였다. 책모임의 첫 느낌은 재미있고 신선했다. 책을 읽는다는 이유로, 일상을 나누고 개인의 생각을 밝하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허나, 시간이 갈수록 책모임 참가에 의문이 생겼다. 모임에 강제성이 없다보니 참석이 자유로웠는데, 이게 인터넷 책모임의 장점이자 단점이었다. 참석하는 이에 따라 수준 차가 너무 컸고 토론을 통해 얻는 지적 자극은 점점 줄었다. 2년 전부터는 책모임에 뜸하게 출입하게 되었다. 그래도 책으로 만나는 자리엔 눈길이 간다. 책을 통해 소통하고 함께하는 기쁨을 알기 때문이다. 내가 직접 독서 동호회 만들어볼까도 생각 했었는데, 구상만 2년째다. 직장에서 책 모임을 조직하기에는 나의 낮은 연차가 문제였다.
아이들이 대상이긴 하지만, 독서 동아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해서 크게 기대하지 않고 신청했었다. 강연 제목은 ‘백화현 선생님과 책모임 친구들의 아름다운 책 모임 이야기’다.
<책으로 크는 아이들>을 읽어 보진 않았다. 단순히 독서모임이 궁금해서 참석했던 강연이었는데, 생각할 게 많았던 유익하고 재미있는 시간이었다. 김대중 도서관의 지하 1층 회의실에서 강연을 했는데, 생각보다 참석자들이 많았다. 대다수 학부모님들이셨는데, 아무래도 내 아이가 책을 많이 읽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참석하신 듯 했다.
강연을 기다리면서 입구에서 나눠준 주먹밥과 음료를 먹었다. 학도넷 사무처장을 맡은 김경숙님이 오늘의 강연의 취지와 정부의 독서 교육정책을 비판하면서 강연이 시작되었다.
강연자 백화현님이 일어나서 자신의 소개와 개략적인 순서를 이야기했다. 20년이 넘는 교직 생활의 연륜이 묻어나는 진행이었는데, 깔끔한 파워포인트와 청중과 함께하는 공감력에 놀랐다. 현장에서 일하는 국어 교사로서, 두 아들의 엄마로서 지금 세대 아이들을 걱정하는 마음이 많이 느껴졌다. 강연이 진행 될수록 왜 독서교육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 고민한 흔적들이 많이 보였다. ‘아이들의 잠재력은 무한하다’며 당신의 특별한 제자 이야기를 하는데 감동적이었다.
처음 가정 내 독서모임을 진행하게 된 계기는 낮은 성적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열등감을 느끼던 큰 아들 때문이었다. 독서를 통해 성적을 올려 보고자한 욕심은 없었단다. 정신적으로 힘든 청소년기를 보내는 아들에게 책을 통해 생각을 나누고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줄 심산으로 시작하게 된 것이다. 큰 아들의 친구와 자신의 제자들 몇 명을 모아 시작한 독서동아리는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특별한 경우를 빼고는 매주 저자의 집에 모여 진행됐다. 이를 통해 책을 읽지 않던 아이들이 책을 적극적으로 읽기 시작하고 생각의 기틀이 잡히기 시작한다. 그림책과 동화책으로부터 시작하여 동서양의 고전문학과 철학, 종교, 신화, 역사, 정치, 경제, 과학, 환경 등 다양한 영역 책을 함께 읽으면서 독서모임 1기는 순항을 계속한다. 나중에는 책을 읽고 책과 관련된 곳을 둘러보고 여행함으로써 아이들이 더욱 풍성한 독서이력을 가지게 된다.
독서가 학교 공부에 방해가 될 것 같지만 전혀 아니란다. 오히려 시간이 지나면 성적이 더 크게 오른다고 한다. 저자가 생각하기에 크게 3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째는 책을 읽어가면서 알아가는 기쁨, 즉 앎의 즐거움을 스스로 느끼기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학생들의 가지고 있는 마음의 상처를 책이 해소시켜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요즘 청소년들은 학업에 치여 우울증이 상당하다며 현장 교사의 우려감을 듣는 이까지 느끼게 해줬다. 셋째는 책 속에서 역할모델을 발견하기 때문이란다. 역할 모델을 찾으면 구체적으로 꿈을 꾸기 시작하고, 하고 싶은 걸 찾게 된다고 한다. 하고 싶다가 생기는 순간 학교공부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는 데, 성적이 안 오를 수가 없단다.
처음 큰 아들의 꿈은 ‘시인과 농부’였다고 한다. 굳이 대학을 갈 필요를 느끼지 못했던 아들이 독서동아리를 통해 고 2때 대학을 가겠다며 스스로 공부에 매진하더니 목표하던 대학에 입학한다. 그 때 함께 독서모임을 했던 아이들이 <책으로 크는 아이들>을 함께 집필했다며 저자가 자랑스럽게 아이들을 강단으로 불렀다. 아이들과 강단에 나란히 앉아 청중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저자를 보면서 참 행복해보였다.
독자들과 저자들의 화답시간이 있었는데, 부지런한 부모님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강연은 8시 30분에 마치도록 되어있었는데 시간가는 줄 모르고 진행되다가 도서관 폐장시간이 다가와 급하게 마쳤다. 그만큼 독자와 저자가 몰입해 듣던 강연이었다. 도서관을 나서는데 느끼는 점이 참 았다. 다양하게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에서부터 내가 학부모가 되었을 때는 내 아이에게 어떤 독서력을 갖추게 해줄 수 있을지, 기분 좋은 과제를 많이 가지게 되었다. 못하는 것을 말할 것이 아니라 잘하는 것을 말하자던 저자의 교육 철학도 좋았다. '정체성'과 '사랑', '능력'을 소재로하여 자신의 인생관과 독서 철학을 밝혔는데 그 점도 참 공감이 갔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같이 동행한 친구가 말했다. 중학교 교사로써의 한계가 보이고 너무 일찍 책을 냈다고. 강연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봤던 나는 무슨 이야기냐고 반문을 했다. 오늘 같이 연단에 앉았던 아이들이 청소년기에 책을 읽게 되어 자아가 튼튼해지고 사고력이 넓어졌다고 했는데, '그 이후'가 궁금하다고 했다. 대학생인 지금은 어떤 독서를 계속 하고 있으며, 어떤 비전을 가지고 공부를 계속 하고 있는지에 대해선 말하지 않았단다. 가정 독서모임의 원래 목적이 성적향상이 아니라고 강조했지만, 여기에서 그치면 성적 향상의 역할만 크게 보일 수 있단다. 독서 모임의 아이들이 더 성장하고, 모임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관찰해서 책을 냈으면 더 좋았을 거라고 했다. 같은 강연을 들었는데 이렇게 생각하는 게 다르다니. 이래서 독서 모임이든 책 강연이든 '함께 하면 얻는 것이 더 많아진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가정 독서모임의 원칙
1. 함께 만들어 간다
2. 책임감 있게 활동한다 (1년은 한다는 약속이 필요하다. 왔다갔다 하면 아예 퇴출)
3. 자기 속도로 꾸준히 걷는다
4. 독후활동에 연연하지 말고 읽는 자체를 즐긴다
5.함께 만들어 가는 추억거리를 소중히 여긴다.
가정 독서모임에서 깨달은 것
1. 독서의 힘은 강하다
2. 함께 하는 독서의 힘이 더 강하다
3. 경쟁보다는 협력
4. 점수를 위한 공부가 아니라 배움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공부가 진짜 공부다
5. 뿌리가 깊은 나무라야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고 꽃도 아름답고 열매도 많이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