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착한 아이의 비극
가토 다이조 지음, 오근영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건강한 아이는 건강한 부모에게서 나오는것이 당연하다. 아이의 마음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물을 주고 거름을 주는 농부된 부모의 마음이 건강하지 않으면 안될것이다.
착한 아이. 그것은 어릴적부터 지금까지도 늘 들어오는 나의 수식어이다. 다행히 내경우엔 신앙있으시고 다정다감하신 부모님덕에 극복도 쉬웠고 자존감도 일찍 찾긴했지만 남동생을 둔 장녀로 일찌기 터득한 삶의 원칙은 한동안 작은 틀을 굳게 형성해왔다. 요즘도 사회적관계속에서 한번씩 아킬레스건처럼 건드려지는 착한아이 컴플렉스는 오랜동안 장녀컴플렉스와함께 내인생의 동반자?였다.
그래서인지 우리 아이만큼은 보다 자유롭고 보다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힐수있는 아이로 자라게 하고싶었다. 그러려면 나부터 건강한 마음을 가져야하고 그런 필요를 느낄무렵 책을 만났다.
보다 구체적인 부모지침서를 구한탓인지 원론적인 작가의 진행에 다소 무료함을 느낀것은 사실이다. 아마 이전에 읽었던 심리학 서적들과 겹치는 내용이 많아서일수도있겠다. 또 간간히 들려우는 저자 개인의 강박증세극복기는, 한편으로는 개인적 적용에 대한 길잡이 역할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편협한 시선을 가지게 될것같아 조심스럽기도했다. 성인아이의 문제는 내 개인의 이해에서 출발하기보다 가족전체의 카테고리를 이해하는편이 훨씬 안전하고 치유가 쉽다고 믿기때문이다. (가족나무)
내용을 일목요연하고 한두페이지로 나누어 편집한것은 내용의 중압감을 훨씬 덜어주는 좋은 방식인것같다. 쳅터가 짧기때문에 개인적으로 생각해보기도 좋고 중요한 부제들을 큰활자로 부각시켜주어서 핵심을 놓치지 않아좋다. 이렇게하라는 지침보다는 부모자신의 마음에 동기부여를 해주는 책이라보면 될것같다. 교육지침서라기보다는 한마디로 부모치유서에 가깝다. 조용한 날, 자신의 심적건강상태를 책으로 점검해보는 시간을 가지기원하는 분께 권하고싶고 나처럼 그래서 어떻게 해줄것인가에대한 직접적인 해답을 구하는 분께는 적절하지 않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