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ㅣ 사계절 그림책
울프 에를브루흐 그림, 베르너 홀츠바르트 글 / 사계절 / 2002년 1월
평점 :
가끔 기저귀를 갈아주는 착한 남편이건만, 두돌이 지난 아들의 구린냄새를 매번 암말없이 참아내기는 힘든가 봅니다. 작업?이 끝나면 여지없이 한마디, '어유~ 똥냄시..' (냄새의 경상도식 표현입니다^^;;) 그 말을 두해넘개 듣더니, 어느날 화장실에서 물을 내리며 '바이바이 푸푸(응가)~'하고 나오던 아들이 무심결에 툭 내뱉는말이란게 '아우~ 똥냄시~ ' 가장 사랑하는 테디베어를 꼭 끌어안으면서도 하는 말 '아우~ 똥냄시~' 결국 '똥냄시'는 똥냄새가 역겨워서 내지른 아빠의 투정이아니라 아들의 귀여움을 표현하는 저희집만의 독특한 애칭이 되고말았습니다.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는 워낙 베스트 셀러라, 제 취향에 조금 덜맞는 듯한 그림이었지만 다른 분들의 책 고르는 안목을 믿고^^ 구입한 서적입니다. 그런데 첫장을 펼치자마자 옆에서 빼꼼 쳐다보는 아들은 몰라라 하고 휘리릭 책장을 넘겨버리는 비열한 엄마가 되고 말았습니다! 각 동물의 끙아를 특색있게 나열한 것이려니..라고 어림짐작했었는데 이야기를 펼치는 첫 전개에서부터 쌈빡^^하더니 마지막 마무리또한 기대이상이더군요. 마치 똥한판 시원~하게 해결하고 나온 느낌입니다^^ 두더쥐의 시원함도 이런걸까요??
제가 특히 마음에 들었던 것은 '번역'입니다. 동물들이 저마다 자기의 결백을 주장하며 자기 똥을 즉석에서 두더쥐에게 보여줍니다. 뿌지직~은 물론이고 저로하여금 감탄사를 연발케한 토끼똥 '오도당동당'은 그 절묘한 표현에 무릎을 꿇게 되었답니다. 은근히 원작의 표현은 무얼까 궁금하기도 했고, 멸시의 대상인 '똥'에 이렇듯 명쾌한 소리를 달아놓은 번역자에 바로 감동의 큰절을 올리게됩니다.
쉬는 잘 가렸는데 유독 끙아를 오랜동안 훈련해야했던 저희 아들. 덕분에 도서관에서 배변훈련에 관계된 비디오만 세편을 빌려보았고(아 이곳은 미국입니다^^;;) 따로 구입한책 두권, 한국에서 공수받은 책만 세권이됩니다. 모두들 끙아 문제를 해결하느라 한결같이 인상을 쓰고 구린 신음을 하고 있답니다. 그러니 책을 함께 보면서도 우~푸푸~하면서 함께 인상을 쓰게 되지요. 그러나 <누가 내머리에..>는 명쾌하게 '속시원함'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힘주느라 인상쓰는 동물도 없고 시간걸림도 없이 '싸고싶을때 바로! 쓩~'나오는 '시원한 똥무더기들' 그리고 기분좋게 사라지는 두더쥐의 흐뭇한 미소... 의성/의태어에 솔깃해 귀기울이는 아이들의 특징을 생각해볼때, 동물마다 딱딱맞게 설정된 글귀에 다시 감사하게되고, 동물들의 똥을 하나하나 검시?할수밖에 없는 줄거리에도 감탄하게 됩니다. 반복되는 어휘(니가 내머리에 똥쌌지?)랑 간결한 표현들은 물론이구요. 두더쥐를 따라 여기저기 똥구경다니면서, 더럽다-불쾌하다는 생각보다는 되려 똥사는 소리를 따라하게되고, 철퍼덕 떨어지는 소똥에 맞지 않길 잘했다고 휴우~하며 두더쥐와 같이 안심하게 됩니다.
저희 아들 두돌때 구입한책인데 한동안 만나는 사람에게마다 '(니가 내머리에) 똥쌌지?'를 헤대는 통에 좀 곤란하기도 했습니다 --;; 아 물론 적절한 해결책도 찾아냈지요. '아니 아직 <누가 내머리에..>란 책도 모르신단 말씀이세요?' 하고 미안함을 뻔뻔함으로 대신하는 거죠뭐. 왠지 '똥'이란 말을 쓰기가 어색하고 민망하신가요? 책을 같이 읽어보세요^^ 책속에 들어있는 갖가지 똥싸는 소리도 아이랑 함께 내보시구요^^ 더이상 민망하거나 피하고 싶지 않은, 아이랑 함께 즐기고 누리는 '똥싸는 소리'와 '똥이란 어휘'가 된답니다. 자, 똥냄시야 이리오너라~ 오도당동당 뿌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