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돼요, 안돼! / 좋아요, 좋아!
삼성출판사 편집부 엮음 / 삼성출판사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교육학자들은 되도록 '안된다'는 말을 하지말라고 합니다. 그런글을 읽으면 항상 궁금해지는 게 있습니다. 이분은 아이를 길러봤을까? 어쩜 학자아버지든가(아이들이 자라는 동안 공부만 주욱 하신) 아니면 학자어머니(아이들이 자라는 동안 친정에 애 맡겨놓고 그시간에 공부하신분--;;)은 아닐까?하는.....

부정적인 말대신 반대되는 긍정적인 말(장난감을 던지면 안되!가 아니라 장난감을 여기 담아볼까?하는등등)로 아이를 절제시키는것은 만세살이 고비인것 같습니다. 반사신경과 동작속도가 작년과는 다르게 무척 빨라지는데다 매사의 행동이 자존감과 연결되는 요즈음, 버릇 들이기에 고민이 참 많아졌어요. 그러던 차, <좋아요 좋아 안돼요 안돼>를 만났고 좋은 아이디어를 꽤 얻었지요.

왼쪽면엔 그림과 장면(좋은 버릇/나쁜버릇)이 있고 오른쪽면엔 안돼요 안돼 혹은 좋아요 좋아라는 글자가 반복이 됩니다. 상황부분을 읽어주면 아들녀석이 조아조아~ 하고 대꾸하듯 읽게되는 거지요. 그러다보니 안돼요 안돼~란 말도 마치 놀이하듯 받아들이더라구요. 그래서 급하게 '어머 그러면 안돼!'라고 말해야 할 상황이면 책을 읽듯이 '어머~ 안돼요! 안돼~'하고 제 말버릇을 바꾼 거예요. 그러니 아들은 '금지'의 뜻으로 인지하면서도 기죽지 않더라구요. 일석 이조죠? 첨엔 혹시 나쁜 버릇을 흉내내는 건 아닐까? 염려가 되었는데 좋은 버릇쪽을 더 많이 읽다보니 그건 기우였네요.

저희 집에선 최고야~ 최고! 하는 말을 오래전부터 사용해 왔습니다. 곰곰 생각해보니 조아요! 조아~ 쪽이 훨씬 나은 말이겠네요. 최고는 유일감이지만 조아는 행동감이쟎아요? <좋아요 좋아>엔 미쳐 세심하게 가르치지 못했던 좋은 행동들 - 할아버지 주무실땐 살살 걷는것 같은-을 CHECK UP할수있었어요. 또 다른 아이들과 어울릴때, 아이가 안된다는 말을 부드럽게 할수있게된것도 기분좋은 일이었어요. 저희집에선 활용도가 많았군요? 책을 접하시는 분들댁에서도 그랬으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