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피 아저씨의 뱃놀이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53
존 버닝햄 글, 그림 | 이주령 옮김 / 시공주니어 / 199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존 버닝햄의 책은 언제나 세가지면에서 흡족함을 줍니다. 하나는, 약간은 어수룩한 그림 패턴입니다. 일본식 애니메이션이나 단순한 라인에 원색대비 그림책들에 익숙해있다보니 첨엔 좀 어리둥절 했었죠. 그렇지만, 어른 입장에선 <대강그린 그림>같은 스케치들이 아이들에게는 무한한 상상력과 따스함을 전달하나 봅니다.

두번째는, 기발한 상상력입니다. 흔한 소재와 누구나 한번쯤 생각해봤음직한 작은 생각들을 마치 꽃망울을 피우듯 만개한채 펼쳐보이더군요. 구름나라가 그랬고 기차에서 내려에서도 그랬듯이 검피아저씨의 뱃놀이에서도 기대를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연스런 흡입력이에요. 시험에 나올까 달달외던 초등학교 시절이 애탈지경입니다. 책을 읽어내려가면 저절로, 동물들의 습성과 행태들을 알수있습니다. 또한 그것이 인간의 입장에서 곤란하거나 당황되는 '문제거리'로 그려지지 않은것도 높은 점수를 주고 싶어요. 맘씨 좋은 검피아저씨는 배에 하나씩 동물들을 태울때마다 부탁을 하지만 동물들은 어느새 약속을 잊고 제각각 행동해버리지요. 그러나 화내거나 해결하려는 '힘'이 배제되고 자연스럽게 그들과 어우러지면서 책이 마무리됩니다.

아저씨가 슈퍼맨 같은 해결사?가 되어 동물들을 구해주거나 했다면 틀림없이 실망했을꺼예요. 다들 제 역할을 충분히 ? 마친뒤 모두 물에 빠지고 모두 열심히 언덕을 오르고 아저씨의 초청에 들판을 지나 함께 차를 마십니다. 아무런 부연설명이 없어도 자연스럽고 친숙하고 정답게 스토리 라인이 전개되어 기뻐요.

아! 하나가 더 있군요. 느린 속도감입니다. 일정한 패턴과 리듬감이 살아있으면서도 글자수가 극히 제한되어서 아이들과 읽기에 부담이 없죠. 그러면서도 동양화에서 볼수 있는 공백미를 느낄수 있다랄까요. 글자보다 물기를 흠뻑 묻힌 그림들속에서 훨씬 많은 이야기거리를 찾을수 있어서 너무 행복했습니다.

행복의 절정은 들판을 가로지르는 장면에 다다랐을 때예요. 검피아저씨의 뒤를 따라 한줄로 늘어선 모든 출연자?들의 뒤로 역시 대충그린듯한 나무임에도 - 바람이 지나가는 흔적을 보여주고 있었거든요, 소녀의 머리칼과 함께.

뭔가 예기치 못한일이나 익숙하지 않은 것에 거부감 부터 나타내는 우리 생리에 충분한 반성거리를 주는 느긋한 글. 인간을 자연속에 두고 함께 살아가는 소박한 이야기를 담은 훌륭한 그림책이라 생각됩니다. 호들갑 스럽게 읽어주던 책들을 접고 , 단풍잎 떨어지는 가을속에 아이와 다리를 쭉 뻗고 앉아 따사한 햇살 비치는 거실 한켠에서 버닝햄의 책들을 주욱 읽고 싶군요. 검피 아저씨와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