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苏友好同盟条约(195024) 中国国际问题研究所编 、『论和平共处五项原则-纪念和平共处五项原则诞生50周年』、(世界知识出版社2004年)、329 

시효 발생시기는 4월 11일부터이며 시효기간은 30년이다. 조약은 일본(또는 그 동맹국) 제국주의의 침략을 공동으로 저지하고, 세계평화를 보위하기 위한 정치군사연맹 결성, 그리고 양국의 경제·문화관계의 발전과 확고한 토대를 위한 상호 지원 등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또한 중국에 대한 소련의 3억 달러의 차관제공 및 기계설비와 기재를 소련으로부터 구입한다는 내용이 조인되었다. '중국 창춘[長春] 철도와 뤼순 항[旅順港] 및 다롄 항[大連港]에 관한 협정'도 조인되었다. 이 협정에 근거하여 소련은 다롄 항에서 그동안 조차하여 대신 관리했던 재산과 중·소가 공동관리하던 창춘 철도를 1952년에 무상으로 중국에게 이양했다. 1955년 소련군은 뤼순 항에서 철수했고 전체 설비를 중국에게 무상으로 이양했다. 1979년 4월 3일 제5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7차 전체회의에서 기간이 만료된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을 더이상 연장하지 않는다'는 결의가 통과되었다. 같은 날 외교부장 황화[黃華]는 소련대사와의 회견을 통해 중국의 이와 같은 입장을 소련측에 통보해줄 것을 결정했다. 아울러 중·소 간에 원칙상 차이가 있는 상호 주권과 영토의 존중, 상호불가침, 상호 내정불간섭, 상호 이익과 평등, 평화공존 등의 5개항 원칙을 토대로 서로 방해받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의 중국측 입장을 다시 소련측에 통보해줄 것을 결의했다. 또한 정상적인 국가관계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쌍방간의 현안문제와 아직 결정되지 않은 문제의 즉각적인 해결, 양국관계의 개선을 위한 담판의 개최를 건의했다.

中蘇友好同盟條約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Alliance

1945년 8월 14일 중화민국 정부와 소련 정부가 모스크바에서 조인한 조약.

양측의 군사동맹, 상대방의 주권과 영토를 서로 존중할 것, 전쟁 후 공동으로 모든 조치를 취하여 일본이 다시 침략을 하거나 평화를 파괴할 수 없도록 할 것 등이 명시되어 있다. 소련 정부는 중국에 도의적·물질적 원조를 제공하며, 소련측이 중국의 다롄 항[大連港]과 뤼순 항[旅順港]의 해군기지를 사용하고, 중국의 창춘[長春] 철도를 공동으로 경영한다는 데 동의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외몽골의 독립과 자치를 승인했다. 그러나 소련측이 거듭 조약을 위반했으므로 중화민국정부는 1949년 9월 국제연합(UN) 총회에 소련 탄핵안을 제출했다. 1952년 2월 1일 UN 총회에서 투표한 결과 2/3가 찬성하여 이 안이 통과되었다. 1953년 2월 25일 이 조약의 폐지가 선포되었다.

 

 

네프 = 신경제정책

 

소련이 1921년부터 실시한 경제정책 체계. 약칭으로 네프(NEP)라고도 한다. 그 이전의 전시(戰時)공산주의와 비교하여 신경제정책이라고 하였다. 21년 초 소련은 제 1 차세계대전과 1917년 10월혁명, 국내전쟁과 외국군사간섭 등 계속된 중압·동요·혼란에 의해서 극도의 황폐와 경제적 피폐를 겪고 있었다. 전쟁 전과 비교해 볼 때 공업생산은 약 20%, 농업생산은 약 60%로 떨어졌으며 국민의 불만, 특히 인구의 70∼80%나 되는 농민층에서 정부에 대한 불신이 증대되고 있었다. 소련공산당과 정부는 위기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경제정책의 극적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먼저 전시공산주의의 상징으로 간주되었던 식량할당 징발제가 폐지되고, 식량현물세가 도입되었다. 납세 뒤의 잉여곡물 처분은 당초 시도되었던 조직적 상품교환의 실패 후 농민의 자유에 맡겨졌고, 현물세도 차츰 화폐납입으로 대치되었다. 그 결과 도시와 농촌의 관계에서 상품경제가 지배하게 되었고, 소상품 생산자인 농민의 물질적 관심이 촉진되었다. 한편 국영공업은 트러스트로 재편성되어서 상업계산제(商業計算制)로 옮겨졌으며, 또한 일부 기업은 다시 사유화되어 중·소규모의 사영 상공업경영이 합법화되었다. 25∼26년에는 공업생산 가운데 사적 부문의 비중이 27.1%까지 달했으나, 이 때에도 대공업·은행·운수·외국무역·토지 등 <관제고지(管制高地)>라고 일컬어지던 중요한 경제영역은 국가가 장악하고 있었다. 1923년의 협상가격차공황의 극복, 다음해 화폐개혁의 성공 등을 거쳐서 경제부흥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그런 뜻에서 신경제정책은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그 뒤의 공업고정자본의 재건, 농업경영의 개조와 같은 새로운 과제를 앞에 놓고 신경제정책은 시련에 직면하게 되었다. 신경제정책이 끝난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예를 들어 신경제정책이 사회주의로 가는 과도기에서의 정상적 경제정책이라는 통설적 견해에서 볼 때는 30년대 중반, 경제부흥을 위한 자본주의의 부활이라는 입장에서 볼 때는 1926∼27년, 그리고 신경제정책의 근간으로서 도시와 농촌간의 상품경제적 연결을 중요시하는 입장에서 볼 때는 강제적 농업집단화가 시작되었던 30년 무렵이 각각 끝난 시기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소 분쟁 - 자료와 분석
G. F. 허드슨.리차드 로웬탈.로데릭 맥화쿼 지음, 김유 옮김 / 인간과사회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1956년 2월 4일 공산당 20차 대회에서 후루시초프의 연설에서 1960년 12월 6일 81개 공산주의 정당들의 모스크바선언물 발표까지를  중소간의 이념분쟁에 대한 자료와 분석이다.

자료는 중국과 소련측의 연설문, 잡지(프라우다, 인민일보, 홍기 등) 등의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분석은 인도공산당 잡지 '링크'의 분석과 허드슨, 로웬탈, 맥화쿼의 분석을 싣고 있다.

.........................................

냉전중에 벌어진 공산주의 진영의 이념논쟁이라는 역사적인 논쟁에 대하여  한국독자들이 쉽게 접근하도록 번역되었다.

방대한 자료를 번역한, 역자의 부드러운 번역과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미유동 - 청나라 정부의 조기유학 프로젝트
후징초.첸강 지음, 이정선.김승룡 옮김 / 시니북스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아시아 최초의 대규모 유학은 청국과 일본에서 시작되었다.

일본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입구에 근거하여 이런 유학이 초석이 되어

근대화를 달성하고,

중국은 양무운동에 광서제국번이홍장등의 양무정신에 따라 동양의 정신에 서양을 기술을 배우려 하지만,근대화를 실패하고,반식민지가 된다.

이런 급변하는 상황에서 유미유동들의 가슴아픈 통곡을 적고 있다.

역자의 설명을 먼저 읽으면 좀더 흥미있을 것이다.

..............................................

이런 역사적 배경속에서 청국의 지방 엘리트의 똑똑한 자제들은 남북전쟁이 끝난

신생독립국 미국으로 떠난다.

그들의 미국생활, 유학,강제송환후 봉건적 청나라에서 좌절, 반항하고 미국에 남아서의 좌절등 

대하여 작자들은 시종일관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하면서 다큐멘터리처럼 그들의

삶을 추적하고 있다.

이런 형식의 글이라서 여행기나 추리소설처럼 땀을 쥐고 읽게 한다.

 재미는 있는데, 지나친 중국의 국수적인 냄새(상당한 쇼비니즘)가 나서 약간의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

개인적으로 당시 근대로 향하는 중국의 단면을 보고 싶어서 읽었는데

소설적 재미가 상당하다.

동서양의 조우라는 이색적인 경험을

유미유동들을 만나면서 대화하는 기분을 들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 중남미의 재발견, 개정판
송기도 지음 / 개마고원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한국의 몇 안되는 중남미 정치 전문가로,

한국인의 입장에서 중남미정치를 연구할뿐만 아니라,

중남미의 내부적 관점에서 깊은 애정을 갖고 중남미의 정치사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은 일반독자를 대상으로 집필하여

흥미진진하게 중남미의 현대 정치를 이해할수있다.

........................................

2004년 노무현대통령의 에이펙정상회담직전 중남미 방문을 위해 읽어서 유명해진 책.

대통령의 중남미정책에 상당한 기여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한현대사 101장면 - 가람역사 17
고태우 지음 / 가람기획 / 2000년 7월
평점 :
절판


현대 북한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이 풍부...

북한에 대해여 관심있는 사람에게 유용한 단편적인 지식을 제공...

책 마지막에 북한 문건이나 자료는 상당히 유용

작자는 반공이데올로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은 보이지만,

어쩔수없이 반공으로 이분법으로 해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