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정보는 내곡동으로 통한다

국정원 이어 기무사·정보사 이전 추진… ‘세계 최대 정보타운’ 조성 주민 반발 거세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內谷洞) 일대에 ‘세계 최대의 정보타운’을 조성할 예정이다. ‘세계 최대의 정보타운’은 절대 과장이 아니다. 내곡동의 인구는 2000년 현재 8751명밖에 안 되지만 면적은 12.67km2나 된다. 15개 동(洞)을 거느린 서울시 중구의 면적 9.97km2보다 더 넓다. 게다가 면적의 대부분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다. 그러니 오히려 국가기관들이 들어올 부지는 충분하다는 얘기다.

중구의 명소 하면 남산(南山). 그 안자락에 무시무시한 ‘남산 안기부’가 있었다. 그 ‘남산 안기부’(국내 파트)가 ‘이문동 안기부’(해외 파트)와 한지붕을 쓰는 통합 신청사를 내곡동에 지어 이전한 것은 지난 95년 9월. 당시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가 구룡산과 대모산 그리고 경기도 성남시와 경계가 되는 인릉산 사이에 형성된 내곡동 분지에 자리잡은 까닭은 서울시 내에서 ‘레이더에 안 잡히는 곳’으로 이만한 땅을 확보하기가 힘들었기 때문.

내곡동 주민 김정식씨(62)는 “그때만 해도 안기부의 위세가 무시무시한 시절이라 주민은 아무도 내놓고 반대를 못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사정이 다르다. 국군 기무사령부(이하 기무사)에 이어 정보사령부(이하 정보사)까지 각각 20만 평씩을 차지하며 이곳으로 옮겨올 예정이기 때문이다.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에 소재한 기무사가 이전을 추진한 것은 이른바 문민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93년부터. 당시 문화예술계의 요청에 따른 대통령 공약사업 추진의 일환으로 제기되었다. 그러나 법적 제한과 예산문제 등으로 이전문제는 얼마 안 가 흐지부지되었다. 그런데 지난 96년 전문업체의 안전진단 결과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자 현 위치에서의 재건축을 추진한 끝에 지난해 4월 김대중 대통령의 재가까지 받았다.

‘레이더에 안 잡히는 분지’

실제 기무사 본청 건물은 88년 전인 1913년 경성의대 부속건물로 건축되어 안전에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 그러나 ‘현 위치 신축’ 방침이 알려진 후 문화예술계 및 언론계의 반대의견을 수용한 당시 박지원 문화부 장관이 김대통령에게 이전을 건의하자 기무사는 ‘시설 현대화’ 문제를 다시 접어야 했다. 사실상 대통령의 ‘친위부대’인 기무사가 부대 이전문제로 대통령을 곤혹스럽게 해서는 안 된다는 ‘충정’에서였다.

기무사는 이때부터 서울시에게서 13개 이전 후보지를 추천 받아 은밀하게 부지 물색에 들어가 내곡동 일대 20여 만 평을 낙점했다. 그런데 껄끄러운 점은 바로 이웃에 모든 정보기관에 대한 ‘조정’ 권한을 가진 국가정보기관인 국정원이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 기무사에 따르면 김필수 기무사령관이 지난해 11월 대통령에게 내곡동으로의 부대 이전계획을 보고해 “국정원장과 협의해 추진하라”는 사실상의 ‘재가’를 받아냈다는 것. 그런데 대북공작을 수행하는 정보사까지 국정원과 인근한 강남구 세곡동으로의 이전 방침을 밝히고 지난 4월 국정원장이 임동원 원장에서 신건 원장으로 바뀐 뒤 사정이 달라졌다. 국정원의 한 관계자는 그 연유를 이렇게 말한다.

“지난해 연말 기무사령관이 대통령에게 부대 이전계획을 보고했을 때 ‘국정원장과 협의해 추진하라’는 말씀을 한 것은 사실이다. 기무사와 정보사는 이것을 가지고 ‘대통령의 재가를 받은 것’으로 얘기한다. 그러나 당시 임동원 국정원장이 이 문제를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바람에 군이 그렇게 주장하는 것일 뿐 협의가 된 것은 아니었다. 그러다 신건 원장이 취임한 이후 밑에서 건의해 ‘협의해야 한다’는 쪽으로 기류가 바뀌었다.”

기무사측은 이에 대해 펄쩍 뛴다. 국정원 예산을 쓰는 것도 아니고 지난해 12월 국방부 정책심의 결정을 거쳐 국방예산으로 추진하는 사업인데 국정원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것. 그런데도 국정원이 I.O.(정보관)들을 풀어 은근히 반대 여론을 퍼뜨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정원의 입장은 다르다. 국정원이 내세우는 ‘협의’의 근거는 ‘국가 1급 보안시설’이라는 점. 국정원측은 보안업무 규정과 시행규칙상의 ‘협의’는 사실상 국정원장의 ‘승인’을 뜻하는 것이라며 “말로만 협의해야 한다면 그런 규정이 무슨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한다. 또 대북공작이 주임무인 정보사가 굳이 서울 시내에 주둔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도 제기한다. 그러나 정보사측은 “우리가 이전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서초동 노른자위 땅을 차지하고 싶어하는 서울시의 부대 이전 추진계획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한다.

국정원이 내세우는 또 다른 반대 이유는 정보기관을 한데 모아놓으면 그만큼 보안유지가 어렵다는 것. 세계 어느 나라에도 이처럼 국가 1급 보안시설이 밀집한 곳은 없다는 것이다. 또 ‘유사시 미사일 공격 등으로 집중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한다. 그러나 기무사의 한 관계자는 “전쟁이 나면 국가 기간시설과 비행장, 작전부대 등이 선제 타격대상이고 국정원과는 직선거리로 3km나 떨어져 있다”며 이는 괜한 트집이라고 주장한다. 한마디로 ‘모난 돌’ 옆에 있다가 ‘정’ 맞을 우려는 없다는 것이다. 그보다는 보안사(기무사의 전신)가 중앙정보부를 ‘접수’한 79년 10·26 때의 악몽이 되살아나기 때문에 가까이 오는 것을 꺼리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거림도 나온다.

게다가 양쪽 다 이 문제를 입밖에 내지는 않지만 기무사가 부지로 수용할 능선의 바로 아래에 국정원장 공관이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국정원으로서는 내심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기무사 이전팀의 한 관계자는 “보안시설 규정 때문에 산 능선까지 부지로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1만 평도 안 되는 현재의 소격동 부지보다 20만 평은 너무 큰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기무사 본부와 그동안 분산되어 있던 직할부대와 경비대, 통신단 등이 다 들어오고 연병장과 조경시설 등을 갖추려면 그 정도는 필요하다”면서 “이번에 이전하면 사실상 영구히 주둔한다는 각오로 주민과 공존하는 부대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 1급 보안시설’ 모두 집결 그러나 기무사가 넘어야 할 산은 국정원뿐만이 아니다. 내곡동 관내에 있는 군 관련시설을 보면 주민의 불만은 당연하다. 내곡동을 가로지르는 헌릉로를 사이에 두고 기무사·국정원·정보사가 들어서고 그 맞은편에는 강남-서초·강동-송파 예비군 훈련장과 화생방 방호사령부까지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이뿐이 아니다. 인근 세곡동 정보사 이전 예정지 근처는 행자부가 추진하는 민주화운동 희생자 묘역 조성 후보지로 유력한 두 곳 중 하나다. 유재성 서초구청 내곡동장은 “게다가 서울시에서 추진중인 장묘시설(화장터) 13개 후보지 중 4곳이 내곡동에 집중해 있어 주민의 불만이 클 수밖에 없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기무사 이전 반대추진위 김학만 총무는 “그동안 30년 동안이나 재산권·생활권 침해를 참아왔는데 군부대가 들어와 이제는 발전의 희망이 없다”면서 “이곳은 10년 이상 공시지가가 묶여 있기 때문에 최소한 실거래 보상이 아니면 안 된다”고 말했다. 기무사 이전으로 내곡동 안에서도 가장 피해가 큰 곳은 내곡동의 원조격인 안골마을. 기무사가 들어서면 33세대가 거주하고 있는 경주김씨 씨족마을인 안골은 국정원과 기무사의 철조망에 갇혀 영락없이 ‘고립된 섬’이 될 형국이다. 기무사도 이런 점을 고려해 체육시설 등을 만들어 주민 편의시설로 개방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안골 주민들은 “국정원도 처음 들어올 때는 주민 산책로를 개방했지만 나중에 보안을 이유로 봉쇄해 버렸다”며 “그럴 바에야 차라리 실거래 보상을 수용한 국정원의 보상·수용 사례를 적용해 안골마을 전체를 보상·수용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기무사의 한 고위관계자는 “신축·이전 건으로 두 번이나 대통령께 보고해 재가를 받은 사안을 가지고 다시 대통령께 보고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배수진(背水陣)을 쳤다는 얘기다. 그러나 국정원과 주민을 설득해 기무·정보사 이전이 성공한다 하더라도 ‘세계 최대의 정보타운’과 ‘세계에서 유례없는 정보 집중현상’은 여전히 남는다.

< 김 당 기자 > dangk@donga.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크게 작게 100자평 쓰기  블로그 스크랩  이메일  프린트 

호주에 있는 미국 비밀기지… 세계 모든 전파를 첩보위성으로 감시
MD체제의 핵심 기지 ‘파인 갭’

▲ 미국과 호주가 운영하는 MD 비밀기지 파인 갭.
파인 갭(Pine Gap). 호주 중부 사막지대인 앨리스 스프링스에서 남서쪽으로 19㎞ 떨어진 미국의 비밀 군사기지가 있는 곳이다. 미국의 중앙정보국(CIA), 국가안보국(NSA), 국가정찰국(NRO) 등이 합동 운영하는 이 기지는 세계의 모든 전파를 첩보위성을 통해 감시하고 있는 곳이다. 암호명이 메리노(MERINO, 양의 한 품종)인 이 기지는 미국이 지구 궤도상에 운영하고 있는 첩보위성들의 지상 통제센터다.

미국이 해외에서 운영하는 기지들 중 최대 규모인 이곳은 말 그대로 물 샐 틈 없는 완벽한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호주 의원조차 한 명도 출입한 적이 없는 이곳의 시설은 12개의 레이더 돔, 5600㎡의 컴퓨터 통제실, 20동의 부속 건물, 두 대의 대형 안테나 등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이 기지는 미국이 추진하는 MD 체제의 핵심을 이루는 곳이기도 하다. 미국은 이곳에 새로운 레이더 돔을 건설, 탄도미사일을 조기 탐지·경보할 수 있는 MD체제의 인공위성 감시시스템(SBIS)을 구축했다.

호주 국방과학기술국(DSTO)과 미국 미사일방어국은 그 동안 은밀하게 ‘던디(DUNDEE)’라는 이름의 MD체제 구축을 위한 합동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존 하워드 호주 총리와 부시 미국 대통령은 2001년 9월 10일 정상회담에서 양국의 MD 체제 구축에 합의한 바 있다. 다만 합의 다음날 9·11 테러가 발생하는 바람에 일반 알려지지 않았다. 호주가 MD에 참여하는 계획에는 발사 시점부터 미사일을 감지하기 위한 협력 확대, 해상과 지상 감시 체제 구축, 연구개발 등이다. 호주는 자체 개발 중인 진달리(Jindalee) 초지평선 레이더(Over-the-Horizon Radar: 파장 30m급의 단파를 지표와 전리층 사이에 반사시켜 수평선보다 먼 물체를 포착하는 레이더)를 파인 갭 기지에 설치하고 미국으로부터 이지스함도 구입할 계획이다.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truth21c@empal.com
입력 : 2006.04.08 16:33 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집분야 및 응시자격


선발분야 응 시 자 격

해양법

o 석사학위이상 소지자로서 해양법 또는 국제법 분야 전공자

사이버보안

o 전산·통신 관련학 학사학위이상 소지자로서 정보통신망 취약점 분석·평가·침해사고 조사·보안관제·해킹패턴분석 등의 실무경력 2년 이상인자

IT컨텐츠

o 전산 관련학 학사학위이상 소지자로서 모바일 게임 및 서비스개발 또는 웹기획·마스터 실무경력 2년 이상인자

프로그램개발

o 전산 관련학 학사학위이상 소지자로서 C/C++, Java, 4GL, CGI, Active-X, COM분야 또는 Oracle 활용 웹 프로그램 등 개발경력 2년 이상인자

전산시스템운영

o 전산 관련학 학사학위이상 소지자로서 Unix·Windows·리눅스 시스템  또는 DBMS 운영경력 2년 이상인자

사서

o 문헌정보학 석사학위이상 소지자로서 MARC DB구축 능력 보유 및 도서관 실무경력 2년 이상인자

 

【공통자격】

국가정보원 직원법 제8조 2항 결격사유가 없는 사람
 

74.1.1이후 출생한 사람(남자는 병역을 필했거나 면제한 사람)

*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한 제대군인 및 병역법 제26조 1항 1호 및 3호와 4호에 의한 공익근무요원, 제38조에 의한 산업기능요원은 복무기간에 따라 지원 가능 연령 1~3세 연장

* 박사학위자는 병역에 따른 연령연장과 함께 추가로 2세 연장 가능

 

전형일정
 

 

원서 접수 : 2006.4.3(月) - 4.28(金)

* 4.28(金)한 도착분에 한하여 유효
 

서류심사 결과 발표 : 5월 초

※ 심사결과 발표는 국가정보원 홈페이지 채용정보란 「자주하는 질문」을 통해 공지하고, 합격자에 한해서만 추후 전형일정 개별통보

 

제출서류
 

 
응시원서(소정양식, 반명함판 사진 1장 부착) --------------------- 1부
* 응시원서는 국정원 홈페이지(채용정보)에서 내려받아 작성

연구실적 및 관련연구논문 목록·초록(해당자 한함) ---------------- 1부

자기소개서(A4용지 2매 분량) ----------------------------------- 1부

대학·대학원 성적증명서 및 학위수여증서 ------------------- -- 각 1부

자격증 및 공인어학성적 증명서(소지자에 한함) -------------- ---- 1부

주민등록초본(병역사항이 기재된 것) ---------------------------- 1부

※ 제출서류는 일체 반환되지 않습니다


원서접수장소
 

 
국가정보원 인력관리실(강남구 역삼동 서울상록회관 303호)

※ 우편접수시 : 서울 강남우체국 사서함 491호 인사담당관 앞(우편번호 135-604)

안내전화 : 02)558-96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가정보원  모집 안내  

* 국가정보원 전문 경력직 모집 안내

모집분야 및 응시자격

안보정책
정치학, 북한학, 군사학 등
안보관련학과 석사·박사
o 한반도 및 주변국 안보·외교분야 연구경력자
o 북한정치·사상관련 연구경력자
o 군축·군비통제분야 연구경력자

화 학
분석화학 석사
o 유기물 분석 경력자
* LC, LC/MS 기기분석 가능자

화학석사
o 유해화학물 등 화학물질 안전관리·연구경력자

환경공학
환경공학 석사
o 청정기술분야 연구 경력자

정보화기획
학사이상(전공제한없음)
o 정부 또는 민간기업 정보화계획 수립 및 정보화수준 평가·분석업무 2년이상 경력자

영상편집
전문학사 이상(전공제한없음)
o AVID 영상편집 경력 3년 이상인 자
* 영상물 기획·구성·연출, 3D 컴퓨터그래픽 가능자 우대


*
공통자격

1. 국가정보원 직원법 제8조 2항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2. 연령 : 73.1.1(석사이하)·68.1.1(박사)이후 출생한 자(남자는 병역을 필한자 또는 면제자)
* 제대군인 지원에 관한법률 제2조에 의한 제대군인 및 병역법 제 26조 제1항 1호의 업무에 복무하고 소집 해제된 공익근무요원(행정관서)은 군 복무기간에 따라 1-3세 연장(1년미만 1세, 1년이상 - 2년미만 2세, 2년이상 3세)

*
 전형일정

 원서교부 및 접수 : 2005.2.28(月) - 3.18(金)
 서류심사 : 3월말
※ 심사결과 합격자에 한해 추후 전형일정 및 내용 개별통보



 제출서류


 응시원서(소정양식, 반명함판 사진 1장 부착) ----------------- 1부
* 응시원서는 국가정보원 홈페이지(채용정보)에서 내려받기 가능
  대학·대학원 성적증명서 및 학위수여증서 ------------------ 각 1부
  자기소개서(A4용지 2매 이내로 경력위주 작성) --------------- 1부
  연구실적 목록(해당자) ------------------------------------ 1부
  관련 연구논문 요약분(해당자, A4 5매이내) ------------------ 1부
  자격증·공인어학 성적증명서 사본(소지자) ------------------- 1부
  주민등록초본(병역사항이 기재된 것) ----------------------- 1부

※ 제출서류는 일체 반환되지 않습니다



 원서접수 장소


 국가정보원 인력관리실(강남구 역삼동 서울상록회관 303호)
* 우편접수시(3.18한 도착분 유효): 서울 강남우체국 사서함 491호



 안내전화 : 02)558-96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FBI [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 미국의 연방수사국.

구분 : 연방수사국
설립연도 : 1908년
소재지 : 미국
설립목적 : 범죄수사, 정보수집
주요업무 : 연방법 위반행위수사, 공안정보 수집
미국연방수사국이라고 한다. 1908년 법무부 검찰국으로 발족하여 1935년 FBI로 개칭하고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함께 국내 첩보활동이 활발해지자 간첩죄의 수사 등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1947년 대통령령에 따라 연방공무원의 충성심사사무국(忠誠審査事務局)의 권한이 FBI로 이관된 후부터 치안행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FBI의 확고한 이미지는 1924년 국장에 임명되어 1972년 사망할 때까지 48년간 재직한 존 애드거 후버(John Edgar Hoover) 국장이 쌓았다.

연방법 위반행위의 수사, 공안정보의 수집, 연방법 또는 대통령 명령에 의거하는 특별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연방정부의 조사기관이다. 관할 사건에 대한 현행범·준현행범을 체포할 뿐, 일반적인 국가경찰기관처럼 경찰권한을 행사하지 않으며 검찰기관과 같은 기소권도 없다. 수사·조사의 결과는 연방검찰관 등 관계기관에 보내지며 거기서 기소 등 법률상의 처분이 결정·집행된다.

FBI와 주(州)경찰·지방경찰과의 관계는 협력적 관계로서 사건의 수사가 경합하였을 경우 FBI에 수사권이 우선한다든지 경찰을 지휘 감독하는 일은 없고 공동수사 형식을 취한다.

수사권 범위는 ① 내란·간첩·태업(怠業)이나 군대에 대한 방해행위 등 국가안보에 관한 범죄 ② 몸값을 요구하는 등의 약취유괴죄(略取誘拐罪) ③ 은행강도·절도죄 및 은행 임직원의 횡령부정사건 ④ 2개 주(州)에 걸친 자동차 절도 및 강도범죄 ⑤ 연방공무원이 관련된 증수뢰범죄(贈收賂犯罪) ⑥ 도난품의 주간운반죄(州間運搬罪) ⑦ 수표위조 및 행사범죄 ⑧ 항공기 및 여객용 자동차에 대한 파괴범죄 ⑨ 중요 도망범죄자의 수사 ⑩ 연방정부에 대한 사기범죄 및 민사사건 등이다.

수사는 의회나 대통령도 간섭할 수 없으며 인사(人事)도 마찬가지이다. 본부 조직은 국장(Director)·차장(Associate Director)·부장(副長:Assistant to Director)의 최고간부 밑에 9명의 부장(部長:Assistant Director)이 있으며, 그밖에 국장 및 차장에 직속하는 감찰부가 있다.

본부는 워싱턴에 있으며, 수사관·기술관·일반사무관 등 2만여 명의 직원과 미국내 대도시 및 푸에르토리코의 수도 산후안 등에 56개 지국, 500여 개 출장소를 두고 있다. 지방조직은 지국과 그 밑에 주재소가 있다. 지국에는 지국장·차장 밑에 직무내용에 따른 반(班)이 편성되며 특별수사관이 배치되어 24시간 활동하고 있다.

본부의 과학검사부에서는 범죄증거의 감정·과학수사 및 그 밖의 연구를 하고 있으며 다른 연방수사기관이나 주경찰·지방경찰 등으로부터의 감정의뢰에 응하여 기술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시아이에이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 미국의 중앙정보국.

구분 : 정보기관
설립연도 : 1947년
소재지 : 미국 버지니아주 맥린
설립목적 : 국가적 비밀첩보 활동
주요활동 : 정책제공, 정보수집, 특수공작
미국중앙정보국이라고도 한다. 1947년 대통령 해리 S. 트루먼(Harry S. Truman) 대통령 하에서 국가안전보장법에 의하여 설립된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기관이다. 1942년에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가 미국에 조직된 여러 정보수집기관을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하기 위해 설립한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미국전략사무국)를 그 전신으로 한다.

OSS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첩보요원을 통해 작전지역에 관한 대외정보 수집, 역선전 역 정보 등의 활동을 벌이며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1945년 종전과 함께 해체되었는데, 트루먼 대통령은 이 요원을 기반으로 1946년에 국가정보원을 설립했으며, 이듬해인 1947년에 NSC(National Security Council:국가안전보장회의)를 설립하고 그 산하에 CIA를 발족시켰다. 설립목적은 국가적 정보수집 및 특수공작을 수행하는 데 있다.

조직은 작전부·과학기술부·정보부·집행부 등 4개 부서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밀공작 업무는 작전국에서 관장하며, 과학기술부는 임무수행을 보조하는 과학적·기술적 설비와 장치를 개발 관장한다. 정보부는 공개적·비공개적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며, 집행부는 행정기능의 수행을 포함하여 요원 시설 정보 및 정보원(情報源)을 보호하는 보안국을 운영한다. 그밖에 정보연구센터와 전자기록공개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CIA의 주요임무는 ① 안전보장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국가안전보장회의에 정책정보 제공, ② 정보담당 각 기관의 조정, ③ 정보의 정리·평가·검토·분배 기능, ④ 국가안전보장회의가 명하는 정보활동 수행, ⑤ 수집 곤란한 특수정보 수집 등이며 그밖에 특수공작을 수행한다.

1953년 강력한 반공정책을 표방한 대통령 드와이트 데이비드 아이젠하워(Dwight David Eisenhower)에 의해 임명된 국장 앨런 W. 덜레스(Allen W. Dulles)의 활약으로 그 조직이 확대되기 시작하여 30여 년 동안에 능력·자금·조직면에서 세계 최대의 정보기관으로 발전했다. 1953년 이란의 모사테크 총리 축출, 1954년 과테말라의 좌익정부 전복 등은 당시의 CIA의 주요 활동으로 꼽힌다.

1960년대까지 전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비밀첩보활동을 전개해왔으나 1960년대 후반부터 언론과 의회의 공격대상이 되면서 활동이 위축되었고,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예산과 인원이 대폭 축소되었다. 특히 1973∼1974년에 있었던 워터게이트 사건 CIA 전직 요원이 연루된 것이 밝혀짐에 따라 그 위상이 크게 실추되었다.

또한 1974년에 ‘정보자유법’이 개정되면서 미국언론기관들의 CIA 내막 폭로가 잇달았고, 그 때문에 다른 국가들이 CIA와의 정보협력을 기피했으며, CIA 요원들의 신원공개 등으로 인해 CIA 활동이 부진하게 되었다. 그 결과 활동이 위축되어 이란에서의 미국인 인질사건,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1981년 대통령에 취임한 로널드 윌슨 레이건(Ronald Wilson Reagan)은 ‘정보원 신원공개금지법’ 등을 통해 국가기밀 및 CIA 요원의 활동을 보호하고 예산증대, 신규직원채용 등으로 CIA를 활성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1984년 의회는 ‘중앙정보국 정보법’을 통과시켜 비밀유지를 강화하고 ‘클라크 수정안(앙골라에 대한 CIA의 개입을 금지함)’을 폐지함으로써 CIA의 활동을 본격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1990년대 초반에는 동유럽의 민주화에 따라 냉전체제가 붕괴되면서 CIA의 기능 전반에 관한 공개토론이 전개되기 시작했으며, 1993년 2월 CIA는 정치첩보활동에서 경제첩보활동으로의 역할 전환을 밝혔다. 현재 CIA는 각국의 경제정책·전략과 첨단기술의 개발상황분석 외에, 자국 기술의 불법유출방지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본부는 미국 버지니아주(州) 맥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