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I [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 미국의 연방수사국.
구분 : 연방수사국
설립연도 : 1908년
소재지 : 미국
설립목적 : 범죄수사, 정보수집
주요업무 : 연방법 위반행위수사, 공안정보 수집
미국연방수사국이라고 한다. 1908년 법무부 검찰국으로 발족하여 1935년 FBI로 개칭하고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함께 국내 첩보활동이 활발해지자 간첩죄의 수사 등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1947년 대통령령에 따라 연방공무원의 충성심사사무국(忠誠審査事務局)의 권한이 FBI로 이관된 후부터 치안행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FBI의 확고한 이미지는 1924년 국장에 임명되어 1972년 사망할 때까지 48년간 재직한 존 애드거 후버(John Edgar Hoover) 국장이 쌓았다.
연방법 위반행위의 수사, 공안정보의 수집, 연방법 또는 대통령 명령에 의거하는 특별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연방정부의 조사기관이다. 관할 사건에 대한 현행범·준현행범을 체포할 뿐, 일반적인 국가경찰기관처럼 경찰권한을 행사하지 않으며 검찰기관과 같은 기소권도 없다. 수사·조사의 결과는 연방검찰관 등 관계기관에 보내지며 거기서 기소 등 법률상의 처분이 결정·집행된다.
FBI와 주(州)경찰·지방경찰과의 관계는 협력적 관계로서 사건의 수사가 경합하였을 경우 FBI에 수사권이 우선한다든지 경찰을 지휘 감독하는 일은 없고 공동수사 형식을 취한다.
수사권 범위는 ① 내란·간첩·태업(怠業)이나 군대에 대한 방해행위 등 국가안보에 관한 범죄 ② 몸값을 요구하는 등의 약취유괴죄(略取誘拐罪) ③ 은행강도·절도죄 및 은행 임직원의 횡령부정사건 ④ 2개 주(州)에 걸친 자동차 절도 및 강도범죄 ⑤ 연방공무원이 관련된 증수뢰범죄(贈收賂犯罪) ⑥ 도난품의 주간운반죄(州間運搬罪) ⑦ 수표위조 및 행사범죄 ⑧ 항공기 및 여객용 자동차에 대한 파괴범죄 ⑨ 중요 도망범죄자의 수사 ⑩ 연방정부에 대한 사기범죄 및 민사사건 등이다.
수사는 의회나 대통령도 간섭할 수 없으며 인사(人事)도 마찬가지이다. 본부 조직은 국장(Director)·차장(Associate Director)·부장(副長:Assistant to Director)의 최고간부 밑에 9명의 부장(部長:Assistant Director)이 있으며, 그밖에 국장 및 차장에 직속하는 감찰부가 있다.
본부는 워싱턴에 있으며, 수사관·기술관·일반사무관 등 2만여 명의 직원과 미국내 대도시 및 푸에르토리코의 수도 산후안 등에 56개 지국, 500여 개 출장소를 두고 있다. 지방조직은 지국과 그 밑에 주재소가 있다. 지국에는 지국장·차장 밑에 직무내용에 따른 반(班)이 편성되며 특별수사관이 배치되어 24시간 활동하고 있다.
본부의 과학검사부에서는 범죄증거의 감정·과학수사 및 그 밖의 연구를 하고 있으며 다른 연방수사기관이나 주경찰·지방경찰 등으로부터의 감정의뢰에 응하여 기술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시아이에이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 미국의 중앙정보국.
구분 : 정보기관
설립연도 : 1947년
소재지 : 미국 버지니아주 맥린
설립목적 : 국가적 비밀첩보 활동
주요활동 : 정책제공, 정보수집, 특수공작
미국중앙정보국이라고도 한다. 1947년 대통령 해리 S. 트루먼(Harry S. Truman) 대통령 하에서 국가안전보장법에 의하여 설립된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기관이다. 1942년에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가 미국에 조직된 여러 정보수집기관을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하기 위해 설립한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미국전략사무국)를 그 전신으로 한다.
OSS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첩보요원을 통해 작전지역에 관한 대외정보 수집, 역선전 역 정보 등의 활동을 벌이며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1945년 종전과 함께 해체되었는데, 트루먼 대통령은 이 요원을 기반으로 1946년에 국가정보원을 설립했으며, 이듬해인 1947년에 NSC(National Security Council:국가안전보장회의)를 설립하고 그 산하에 CIA를 발족시켰다. 설립목적은 국가적 정보수집 및 특수공작을 수행하는 데 있다.
조직은 작전부·과학기술부·정보부·집행부 등 4개 부서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밀공작 업무는 작전국에서 관장하며, 과학기술부는 임무수행을 보조하는 과학적·기술적 설비와 장치를 개발 관장한다. 정보부는 공개적·비공개적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며, 집행부는 행정기능의 수행을 포함하여 요원 시설 정보 및 정보원(情報源)을 보호하는 보안국을 운영한다. 그밖에 정보연구센터와 전자기록공개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CIA의 주요임무는 ① 안전보장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국가안전보장회의에 정책정보 제공, ② 정보담당 각 기관의 조정, ③ 정보의 정리·평가·검토·분배 기능, ④ 국가안전보장회의가 명하는 정보활동 수행, ⑤ 수집 곤란한 특수정보 수집 등이며 그밖에 특수공작을 수행한다.
1953년 강력한 반공정책을 표방한 대통령 드와이트 데이비드 아이젠하워(Dwight David Eisenhower)에 의해 임명된 국장 앨런 W. 덜레스(Allen W. Dulles)의 활약으로 그 조직이 확대되기 시작하여 30여 년 동안에 능력·자금·조직면에서 세계 최대의 정보기관으로 발전했다. 1953년 이란의 모사테크 총리 축출, 1954년 과테말라의 좌익정부 전복 등은 당시의 CIA의 주요 활동으로 꼽힌다.
1960년대까지 전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비밀첩보활동을 전개해왔으나 1960년대 후반부터 언론과 의회의 공격대상이 되면서 활동이 위축되었고,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예산과 인원이 대폭 축소되었다. 특히 1973∼1974년에 있었던 워터게이트 사건 CIA 전직 요원이 연루된 것이 밝혀짐에 따라 그 위상이 크게 실추되었다.
또한 1974년에 ‘정보자유법’이 개정되면서 미국언론기관들의 CIA 내막 폭로가 잇달았고, 그 때문에 다른 국가들이 CIA와의 정보협력을 기피했으며, CIA 요원들의 신원공개 등으로 인해 CIA 활동이 부진하게 되었다. 그 결과 활동이 위축되어 이란에서의 미국인 인질사건,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1981년 대통령에 취임한 로널드 윌슨 레이건(Ronald Wilson Reagan)은 ‘정보원 신원공개금지법’ 등을 통해 국가기밀 및 CIA 요원의 활동을 보호하고 예산증대, 신규직원채용 등으로 CIA를 활성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1984년 의회는 ‘중앙정보국 정보법’을 통과시켜 비밀유지를 강화하고 ‘클라크 수정안(앙골라에 대한 CIA의 개입을 금지함)’을 폐지함으로써 CIA의 활동을 본격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1990년대 초반에는 동유럽의 민주화에 따라 냉전체제가 붕괴되면서 CIA의 기능 전반에 관한 공개토론이 전개되기 시작했으며, 1993년 2월 CIA는 정치첩보활동에서 경제첩보활동으로의 역할 전환을 밝혔다. 현재 CIA는 각국의 경제정책·전략과 첨단기술의 개발상황분석 외에, 자국 기술의 불법유출방지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본부는 미국 버지니아주(州) 맥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