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실은 유물에 있다 - 고고학자, 시공을 넘어 인연을 발굴하는 사람들 ㅣ 아우름 27
강인욱 지음 / 샘터사 / 2017년 12월
평점 :

고고학자,
시공을 넘어 인연을 발굴하는 사람들
사실, 고고학자라는 직업을 보면
왠지 먼먼 사람들인것만 같았는데 말이죠.
이렇게 아우름시리즈로 만나게 되니
성인(학부모)인 제가 봐도 신기한데,
청소년들에게 좋은 기회다 싶은 도서였답니다.
초등3학년 말에 고고학자 직업을 알게 된 저자.
나이가 어느 즈음인지는 모르겠지만,
대학 3학년 때 전공을 본격적으로 공부하며
지금은 매년 유라시아의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여러 학자들과 과거 인류의 모습을 대화하고.
지금은 학자들과의 대화이겠지만,
유물을 통해 과거...그것도 먼먼 과거의
인류와 대화하게 되는 직업.
책은, 고고학자의 인류 역사에 대해 말하지만
청소년추천도서로 만나게 되는 독자들에게는
직업에 대한 흥미도 불러일으키게 되리 싶었습니다.
'부마'라는 말은 원래
말을 관리하는 벼슬을 뜻하는데,
왕의 사위를 일컫기도 한다.
얼마 전, 영화 <궁합>을 통해 '부마'라는 단어를 만납니다.
마침 이번에 '부마'에 대한 고고학적 이야기를 만나네요.
서기 4세기 기록된 <수신기>에 부마의 명칭과 관련하여
'황금 베개'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
전국시대 말기
'신도탁'이라는 젊은이가 진나라 민왕의 딸의
묘지 안에 함께 있던 황금 베개를 가지고 있었으니
신도탁은 이것이 민왕의 딸에게 받은 선물인데
알고보니 그 딸이 사별하고서 산 사람이 아니었다며
정을 통하고 징표로 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고.
묘지 속, 옷고름이 풀어진 것을 보고
신도탁이 정을 통한 사이라고 인정해주었다 하니..
이야기는 그렇게 흘렀다 하더라...
하고 <수신기>속 전해지는 이야기로 보기에는
고고학자 입장에서는 앞 뒤가 아니 맞기는 하다고,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하는 입장이 아니라
독자들에게 앞 뒤를 따져 과연 맞는 것인가?
논리적인 관점을 일깨워주는 초반 서술에,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책 덕분에 무릎을 탁~ 치며
역사를 알리는 학자란 사실근거에 의함이라는
존경의 눈을 일깨우게 되더랍니다.
고고학의 본래 목적은 화려한 보물찾기가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삶을 밝혀내는 것.
고고학자는 유물을 통해 과거의 역사를
후대에게 사실에 가까운 추적으로 알려준다 싶어요.
지진이 일어났다고 하여, 이것이 유물 때문이라고
신앙적인 의미로 유물을 해석하기보다는
과거에 어떠했는지를 냉정히 이해하기는
현재의 상황과 별개로 대상을 정해주기로
고고학자의 입장에서 당부하기도 하네요.
의미부여라는 것, 대상물은 그대로라도
해석하기 나름이다 싶어지는 기회였습니다.
히틀러는 아리아인이 세상에서 우월하다고 주장하며
티베트는 과거에 타 인종과 섞이지 않아
순수한 아리아인일 것이라는 추측으로
나치는티베트를 선조라 주장하고 싶어했습니다.
독일인들이 우월한 민족임을 주장하며
운철로 만든 티베트 불상을 나치의 선전에 이용.
지금 해석에서는 앞뒤가 그리 맞지 않지만
우기고자 하면 그리 쓰여버리는 유물.
현실이 어려울수록 사람들은과거에서 영감을 얻고 답을 찾으려 한다.
'진실'을 찾고자 유물을 제대로 바라보기,
고고학자들은 세계의 유물에 대해 그런 기대를 하겠지요.
저자가 유라시아 연구가 빈번하다하니,
덕분에 러시아와 연관된 발해의 활약,
읽으면서 신기함이 가득하기도 했습니다.
한민족의 역사로만 국한해서 이해하기보다
발해가 대륙에서 움직임이 흔적을 남기던 활약.
그리하여 고고학자는 궁금하던 인류의 과거를
이렇게 후대에게 전해준다 싶었네요.
고고학이란...
책의 후반에서 고고학의 특성을 정의내려주니,
지금과 미래만 신경쓰던 독자에게
시간의 정방향을 가로질러 인류를 바라보도록
고고학의 매력을 넌지시 어필하고 있더랍니다.
『진실은 유물에 있다』
마치, 우리 속담에
호랑이는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이름을 남긴다 하듯..
과거 유물로 과거 인류와 대화한다는 사실,
책을 통해 재밌게 만나보게 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