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 인생의 중간항로에서 만나는 융 심리학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의 중간항로에서 만나는 융 심리학.
마흔이 되는 2018년이라, 더더욱 관심이 가게 된 책.
<지금까지 당신은 누구의 삶을 살아왔는가?> 질문에
어떻게 대답을 준비하게 되련지요.

융심리학은 이번 기회에 살짝 느낌을 받아보건데
유동적이고 융합적인 느낌이랄까요.

우리들은 유년기를 거치는 동안 ‘잠정인격’을 쌓았으니
이는 부모라든가 환경에 의해 외부 
요소에 의해 만들어진 성격.
그리하여 이렇게 비자발적인 형성은 마흔에 이르면
인생 중간항로에서 혼란에 빠지게 되기도 합니다.
바로 내가 누구인지를 이제야 고민하고
자아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이제야 시작되는 것이죠.
융의 모델에서는 반사적 반응을 행하는 자아는
개인적인 컴플렉스가 생겨나고, 그런데 그 컴플렉스라는 것이
강렬한 외부환경에 의하여 형성된다하면
내면화된 정서가 자아를 강렬하게 자극하게 된다고 봅니다.
이 자극된 내면화된 정서는 무의식으로 남아,
원래 우리의 본성과 무의식 사이의 간극으로
괴로움을 더하게 된답니다.


인생의 중간항로인 마흔 즈음에 이르면,
이 간극에서 오는 혼란으로 동공지진(?)이 일어나지 싶어요.
책에만 나오는 이론은 아니라는 생각을 합니다.
주변에서도 봤었기 때문에 말이죠.
“나는 누군가”하는 생각, 청소년기에 충분히 했다면 좋겠건만
유년기에서는 이끌려서 의무로 채워진 인생을 쌓아오다가
마흔 즈음에 이르러서야 제2의 사춘기마냥
혼란에 빠지는 지인을 보기도 했어요.






그리하여 마흔에 이르러 자아를 다시 제대로 규정해야 한다면,
부모로부터의 투사, 환경으로부터의 투사를 거둬야합니다.
인문학 책,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는
제임스 홀리스라는 외국인이 저자이건만,
짚어내는 내용은 우리나라에 특히나 필요해보입니다.

좋은 대학, 직장에 인생의 목표를 걸어두며
유년기, 청년기를 지내오곤 하다보니
어느정도 목표를 이루었다 하고나면,
그제서야 자아를 살피게 되니 말입니다.
그 목표치라는 것은, 본인의 자발적 세팅보다는
보통 곁에서 부모가 시각을 투사시켜
과연, 누구의 생각에서 정해지는 목표일지는
생각해볼 문제이곤 하죠.






책을 읽으며 느껴지기로, 결국은 우리가 ‘그래야만 한다’는
고정적인 혹은 편견적인 기준에 얽매여서 자아정체성을
제대로 찾아내지 못하는 건 아닐까 싶었습니다.

유년기를 지내며 부모들의 판단 기준에 의거한 삶,
성인이 되어서도 결혼생활 환경에서도 여자, 남자의
고정적인 관념들에 매달린 사고방식은
자아정체성을 나의 자발적인 동기가 아닌
사회적인 기준에 의해 규정하게 환경을 만들었으니 말이지요.






‘해답은 모두 우리 안에서 나온다’
그리하여 융의 심리학과 함꼐 하는 인문학 도서,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에서는
나 자신의 신화는 내가 써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외로움도 사회와 얽혀 나의 쓸쓸함을 바라보기보다
내 스스로 나 자신의 시간을 위한 ‘고독’으로 바라보기를 말하듯,
결국은 같은 상황도 내 마음가짐에 따라 또 다른 성질이 되고,
자아정체성이란 다른 누가 규정하는 것이 아닌
나의 자발성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보입니다.






우울, 불안, 분노, 삐걱거리는 결혼생활......
“진정한 자유는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

인생의 중간항로인 마흔즈음이 되었다면,
앞으로의 항로에 순풍을 달고자
자아정체성을 ‘나’에게서 해답을 풀어내야 할 것입니다.
책은, 조곤조곤 설명해주기에 독자들을 부드럽게 다독이고 있었습니다. 
논리적인 구조를 가진 책이라는 느낌이 있는데, 
더불어 융 심리학이 자유롭고 포용적인 긍정적인 철학을 가졌다 싶었기에
읽는 내내 용기를 얻어보게 되는 기회이기도 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