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 - 나답게 살기 위해 일과 거리두기
이즈미야 간지 지음, 김윤경 옮김 / 북라이프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아실현은 일을 통해서....?
물론, 일정 부분은 그럴 수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열심히 일하는 것에 의미를 가득 싣느라
일과 나를 동일시 하고 있지는 않으련지요.

우울증도 약보다는 환자 개성에 맞추어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 이즈미야 간지의 저서.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
추천도서로 꼽아보고 싶습니다.






사람은 아주 어렵고 힘든 상황에 부딪히면
어떻게 해서든 그 일을 해결하려고 애쓰며
문제만 해결되면 행복해질 거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헝그리 모티베이션'으로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을 당연시 여겼습니다.
실제로는 문제가 해결된다해도 잠시의 기쁨일 뿐.

행복해지기 위한 수단으로 욕망을 자극하던 방식은
결국 문제 해결이 되었다 하여 개인에게 행복을
충실하게 남겨주지는 못할 뿐인터라,
그리하여 요즘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화가 나서가 아니라, 허망해서들 찾는다고.






여기서 우리 가볍게 마음을 털어봅니다.
추천도서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는
결국, 나 자신을 돌아보며 자아의 찾기를 권한답니다.
긴박하게 돌아가는 세상일에 나를 맞춰 돌리고 보면
'하얗게 불태웠어' 상태인 번아웃만 남을 뿐인터라,
그래서 제목부터도 자아와 일간의 거리를 두고
나 자신의 보람을 '일'에 두지 말라는 것이었지요.
양보다는 '질'을 생각하며 혹시 좋을까봐 하는 관점으로
너무 많이 짊어지지 않도록 해야한답니다.





오히려 고대시대에는 일의 보람을 따지지 않았고
유희를 즐겨주는 예술에 함께 해주었건만,
천직, 열심히 노동을 해야하는 청교도적 가치관에
일이라는 대상에 쏟아부어야 제대로 사는 것처럼
괜한 압박을 받아오게 되었다죠.

그렇다면, 무엇을 위해 일해야 할까?
'노동이 너희를 자유롭게 한다'는 외침,
그래? 정말? 왜? 하고 물음표를 달아봅시다.
진정한 나는 누구인지, 실존에 대해서 고민해보며,
아이 같은 순수한 눈으로 자아의 의미를 찾기위해서는
하나의 관점으로 모든 것을 알아차리지는 못함을 알며
한계를 알고 더 많이 품어볼 수 있도록 내적성숙 단계를 거친
초인의 경지로 성장시키며,
동시에 내적 성숙을 지니되,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예술을 즐길 수 있는 여유를 갖춰야겠습니다.
일에서의 보람이 아니라, 자아의 내적성숙에서
삶의 보람을 찾아보고자 의미를 찾아봅시다.







우리 인간의 인류학적인 역사를 보건데, 삶에 함께 하던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추구하던 본능적인 흐름이 바로,
인간답게 산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봅니다.
정신적인 풍요로움의 추구는
이뤄내었다 하여 허망함으로 돌아오는 목표가 아니지요.

 나다운 일상을 추구하는 것에는
일상의 맞이하는 어느 순간에서도
세밀하게 바라보며 각각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되지요.
인간답게 산다는 것은 결국 풍요로이 시간을 누리는 것이다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