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 마음도 괜찮아질까요? - 나의 첫 번째 심리상담
강현식(누다심) 지음, 서늘한여름밤 그림 / 와이즈베리 / 2017년 9월
평점 :
"혹시 나도 심리상담이 필요할까?"
정신건강을 챙기기 위한 인문심리도서.
본인만 깊이 느끼게 되다보니 답답한 마음을 꾹..
하지만, 꾹... 누르다보면 어느순간 펑.. 터질 수 있죠.
터지기 전에 챙겨보는 우리의 마음, 심리상담에 대해
사회적으로 별나게군다 생각하기도 하는데,
지금의 마음의 짐을 덜어내고자, 그래서 지금 행복하고자
고민하는 이들에 대한 '심리상담 가이드'.
대략적인 내용을 알게 해주는 책이었더랍니다.
'익숙함'에 머무느라, 힘들더라도 그냥...?
아마 마음이 지쳐서, 움직이지 못할지 몰라요.
처음이 어렵다 하는 건, 심리상담에도 마찬가지.
게다가 우리의 사회적인 분위기 상,
개인적 관계에서 보듬어 주기도 하니, '상담'을 전문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할지도 몰라요. 게다가,유난하다고 보기도 하고.
하지만, 무거운 짐을 떨쳐내는 '새로움'은 어떨 때는
전문적 심리상담에서 필요할 수도 있다죠.
필요한이들이 심리상담에 임할 때,
어떤 진행인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완전 막막할 때 도움이 될 인문심리 도서.
앞서서도 알아차리게 되는 '어색함'.
마음의 짐이 느껴질 때, 그 짐이 익숙해지면
그리고 그 느낌이 편안하면, 새로운 시도에 대해 반감이 들죠.
인문심리도서 <제 마음도 괜찮아 질까요?>에서는
은주와 함께 심리상담에 대해 알아보게 되는데,
마음을 풀어본다는 역할 뿐 아니라,
상담에 임하면서의 마음가짐에서는 '변화의 동기'를
의지로 가지고 있어야 함도 살며시 알려주더랍니다.
관계에서 상처를 받고, 오히려 마음을 아프게 하는
마음 '가해자'는 상담을 받지 않는데, 피해자가 받는 현실.
왠지 억울하다 느끼며, 내가 왜 바뀌어야 하느냐...?
물론 생각이 그리 닿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잘잘못을 따진다 하여 정신건강이 나아질까요.
<제 마음도 괜찮아 질까요?>에서는 내 마음을 편히하는
그래서 '지금'의 가뿐한 마음을 찾음에 목표를 가지죠.
당신이 느끼는 것이 고통이라면,
그것은 고통이다.
누다심 x 서늘한여름밤의 인문심리도서,
정신건강을 챙기도록 응원하면서 무겁지 않게
상담에 대해 설명을 해주고 있는데요.
특히, 서늘한여름밤의 그림에서 이 부분은
다른 분들과 나눠보고 싶은 한 컷이었더랍니다.
'고통'은 어떤 평가 잣대가 있는 것이 아닌
개인적인 감정이에요.
내가 잘못해서 일어났다 생각하며,
우리는 과거의 사건에 대해 '통제력 착각'을 해요.
많은 심리학도서에서도 과거의 응어리를
풀어야 한다는 글들 많이 봤는데 말이죠.
사실, 그건 용서를 위한 과거 분석이었으리 싶어요.
그때 내가 어떻게 했더라면..하는 자책을 위함이 아니죠.
우리는 세상을 통제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보니,
과거의 사건들에 대해서도 자책하는 경향도 있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게 과거에 매달려서만 해결되지 않아요.
책은 심리상담에 대한 이모저모를 편하게 알려주지만
더불어, 일반 독자도 좀 더 건강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그리고, 나와 주변인들에게 편안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교양상식적 면을 알려주기도 한다 싶었답니다.
수월히 읽히는 심리상담 이야기.
전문가의 도움과 관련하여 정신건강을 챙기는데 도움이 되는
모르는 분야에 대한 상식을 알려주고 있더랍니다.
무거운 마음, 고통스런 마음을 꾹꾹 누르지 말고,
괜찮아지는 마음을 찾게 하는 책,
와이즈베리의 <제 마음도 괜찮아 질까요?> 였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