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공부지능 - 3세부터 13세 부모가 꼭 알아야 할 공부 잘하는 머리의 비밀
민성원 지음 / 다산지식하우스(다산북스) / 2017년 9월
평점 :
학교를 다니는 학생인 아이들을 보자하면,
공부를 잘했으면 하는 생각은 대부분의 부모에게
어찌되었든 떠오르는 생각이 아닐까 싶습니다.
『3세부터 13세 부모가 꼭 알아야 할,
공부 잘하는 머리의 비밀』
EBS 육아학교 공식 멘토 민성원 소장이 알려주는
우리 아이 지능개발 실전서.
자녀교육서를 통해 놓쳤던 부분을 채워봅니다.
✔ 일단, '공부지능'이란 무엇인가?
공부지능 SQ = 인지능력 IQ + 정서지능 EQ
+ 알파(부가요소 : 집중력,창의력)
이라고 정의해보고 있습니다.
설명을 보면 어느정도 납득이 되리 싶어요.
공부잘하는 아이가 되자 하면,
지식에 대한 처리를 담당할 '인지능력'발전과
상황에서도 그리고 자기자신에 대해서도
성격적으로 받쳐주어야 겠지요.
자녀교육서, <아이의 공부지능>에서는 그리하여,
잠재적 가능치를 발견해내야 하는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한답니다.
잠재적 가능치로 도움을 볼 수 있는 지표가
바로, IQ에서 영역별로 찾아볼 수 있는데,
IQ검사에 대해서는 책의 후반부에서도
자세한 설명을 담고 있기도 했답니다.
민성원 소장이 '공부지능'을 강조하는 이유는,
아이마다의 역량에 따라, 적기교육의 시기를 잡고,
지적영역에서 자리잡으려면 학교 다니는 시기,
아이들이 공부지능으로 축적을 이뤄나가야하기 떄문이죠.
특히 '적기교육'에 관한 관점들이 참 인상적입니다.
뇌의 발전 속도를두고, 3세 어린 나이부터
13세 큰 아이들까지 뇌 구조에서의 이해와,
더불어 비슷한 특정 지능이라고 하더라도,
어린시절에 적합한 지능이 있고,
뇌발달이 더 이루어진 어린이들에게
더 적합한 지능개발이 있기도 하여,
서로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이해해보기도 하고,
또한 현재 아이들에게 어떤 방식이 더 요원한지
다양하게 알아볼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지요.
민성원 소장이 풀어주는 지능개발 실전서.
자녀교육서로서 '공부'에 관한한
학부모들이 필요한 틀을 이러저러 알려주기도 했죠.
공부지능 개발, 그러면 어떻게 하느냐?
발견 -> 반복 -> 강화 ->실현
어떤 공부를 하든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고,
실력을 향상시킬 실전적인 방법들이
친절하게 알려져있더랍니다.
현실에 안주하려는 방식이 아닌,
조금 더 도전하고 성장하는 방법,
강점만 바라보기보다, 약점을 보완하야야 한다는 주장,
자녀교육서를 통해, 그간 놓쳤던 부분들을
다시 촘촘히 챙겨보는 시간이었답니다.
자녀교육서 <아이의 공부지능>은 실전 메뉴얼처럼,
특정 지능에 대해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져야하는지에 대해 다루는데,
특히 수학에 관해서는 저도 고쳐야겠다 싶었네요.
너무 잘 맞는 문제집이라고 하면, 과감히 처분하고
다음 단계를 아이가 이겨내며 발전을 이뤄야겠어요.
공부지능을 이루는 요소 중 IQ, EQ
둘이 그리 상관없는 부분이겠다 싶었으나,
어휘력, 연산력, 추론력, 공간지각력이
아무리 잘 발달되어 있다 하더라도
진득한 아이들의 경우 주변 유혹이나,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하자면,
EQ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그리하여, 책에서는 아이의 EQ를 성장시키는
부모의 역할에 대해서도 또한 알려주고 있답니다.
아이가 스스로를 인정할 수 있도록 하고,
긍정적 마인드를 가질 수 있도록 곁에서 도와야합니다.
<아이의 공부지능>은 그간 새로운 개념들만 받아드렸다면
시류에 편승치 말고 가만히 과거부터의 지식을 이용하여,
IQ, EQ 등등 진정 필요한 부분을 택하면서,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부모가 되야겠다 싶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