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베라는 남자,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

브릿마리 여기있다,

그리고,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이번에는 마음이 짠해지는 소설이에요.

기존 작품들에 비해 분량은 가뿐하건만

전에는 풉 웃기기도 하고,

유쾌한 느낌도 더해지면서 감동이 올라왔다면

이번에는 '정리하는 상태'에서

머리속과 현실을 넘나들면서

광장이 멀어지고, 과거와 현재의 인물들이

주인공 '할아버지'와 대화를 나눕니다.









할아버지는 손자 노아를 사랑해요.

취향이 자신과 많이 닮은 손자라 더 그런가봐요.

노아를 사랑해서, 그 아이와 이별하는 것에

더더욱이 슬픔을 전하고 있지요.



손자를 그렇게 사랑하건만,

그런데 아들 테드에 대해서는요?

노아가 태어나려면, 테드가 있어야 하죠.

노아의 할아버지, 테드의 아버지는 바빴어요.

아버지일떄는 정말 바빴죠.

수학을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테드의 취향을 인정할 수 없었던 아버지였어요.




 "학교 다니기는 어떠냐?"

 아빠가 무뚝뚝하게 묻는다.

 "글짓기 숙제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어요."

 "수학은? 수학 성적은 어떠냐?"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할아버지는 혼돈속에 있습니다.

독자로서도 사실 헷갈리기도 했어요.

기억 속 아들, 테드는 현실에서 이제

머리에서 피가 나는 아빠를 돌봐야 하거든요.








그리고 할아버지는 할머니와 대화를 해요.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이니만큼..

행복한 추억이었던 할머니,

몸이 먼저 머리보다 작동을 멈춘 할머니를 기억하죠.

손자, 노아도 할머니를 기억합니다.

비록 기억을 잃어가는 할머니는 아니었지만

그래서 매일 작별인사를 싫어하고

웃으며 다음을 생각하는 할머니.


"저는 작별인사를 잘 못해요"


하지만 할아버지는, 할머니와 이러저러 달라요.

작별인사를 연습하면 된다고 하시니 말이죠.

그리고, 몸보다 기억이 먼저 떠나신 분인터라,

그리고 서서히 멀어지고 있음을 아는 터라,

노아의 손을 꼭 잡고, 잃어버리고 싶어하지 않죠.

혹시 기억을 못하면 어쩌지 걱정하는 할아버지에게

노아는 든든해요.

다시 친해지면 된다고, 웃음을 준답니다.









"고집스러운 양반 같으니라고.

아들이 끔찍하게 좋아하는 걸 물어보는데

너무 늦은 게 어디 있어요?"



할아버지가 기억을 잃어가면서,

과거에 대한 아쉬움을 제대로 마무리하고 싶었나봐요.

아들 테드는 기타를 좋아했어요.

하지만 할아버지는 테드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죠.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이 된다 하면,

조금씩 헤어짐이 시작된다 하면,

지금은 늦은 게 아니겠죠.







이번 프레드릭 배크만 소설은, 설명이 자세하지 않아요.

그간의 장편소설들과 느낌이 다릅니다.

독자는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그래서 할아버지의 상황이 더 느껴지고 있지요.


삶의 어느 한 순간이 끊임없이 재생되고,

현재가 녹아내리며, 완전히 놓아버릴 떄까지...

기억을 잃어가는 노인과 헤어짐을 배워가는 손자의

세상에서 가장 느린 작별 인사.


하지만, 그렇게 또 이어가겠죠.

집까지 가는 길이 점점 멀어지게 되는 위치에 있더라도

사랑을 기억하게 되는 소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