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박도봉의 현장 인문학
김종록.박도봉 지음 / 김영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머뭇 거리지 마라.

현장으로 가라.

거기 답이 있다

살아있는 현장의 경영을 하는 박도봉CEO.

책 속 이론이 아닌, 업종의 실무를 제대로 배우고

그 단단함으로 사회에 자리를 잡는 회사.

김종록 문화국가연구소장이 박도봉CEO와의 인터뷰를 담은 책인터라,

책 자체의 구성도 술술 읽혀가게 됨은 물론이고,

현장에서 답을 얻으며 제대로 운영하는 진정성을 읽어가며,

대한민국에서의 창업, 노동 등의 경제상황에서 어떻게 나아가야할 것인지에 대해

차분히 생각하게 되는 기회이기도 했습니다.

물려받은 기업체가 아닌, 일궈 키워진 기업체.

그래서 더 애착을 가지고, 땀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








선뜻 나서기가 두려워서 그렇지 현장에는 길이 많습니다.

돈도 많고 진국인 사람도 많아요. 

땀은 정직하니까 가짜보다 진짜가 많을 수 밖에요.




그는 정직한 땀을 강조하는 땀혈통론자 CEO.

상고를 다니는 동안 상장기업을 세우겠다 하는 꿈을 키웠고,

회사를 세우자 하면 진정한 기술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여

공장으로 뛰어든 제대로 된 '인물'이다 싶습니다.

열심히 보다는 '제대로'를 주장하는 원칙주의자.

사회 속에서 이윤을 내는 기업은 영업과정에서도, 그리고

그 이윤을 받은 후로도 사회와 함께 하는 것이 당연하다 믿습니다.

인터뷰를 하는 김소장은 인터뷰 과정에서 

박도봉CEO와의 대화에 인문학을 더해 정리해주기도 합니다.


책 구성이 인터뷰를 담아두었기 때문에,

그래서 인문학의 이론이 현장에서도 반영되고 있음을

독자는 그리하여 알게 되지요.







박도봉CEO는 창업 성공신화를 보여주는 인물입니다.

제목처럼, 창업은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일이지요.

재직기간 동안, 기술을 배우고 영업을 배우고

그리고 이어 R&D를 통해 미래에 도약하자고 주장하나,

현장에서 그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다보니

미래를 바라보니 창업의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결심합니다.


그리고 처음에 '장안종합열처리회사'를 설립할 때,

사무실, 공장을 따로 두지 않고

재직기간동안 신뢰를 쌓았던 공장들을 이용하게 되죠.

창업의 스타일 또한 혁신적이고,

게다가 재직한 회사에 의리를 생각하며

새로운 방향으로 업을 정합니다.

제대로 다져온 자신감의 행보이다 싶어,

내 배만 부르려는 기업가가 아니라,

'세계'를 창조하는 사명감을 철학으로 가졌다 싶으니,

넉넉해지는 마음으로 경영서에서 감동을 받게 됩니다.








문을 닫느니 마느니 하던 차에

1999년 연매출 증가율이 60퍼센트가 다 됐어요.

말 그대로 반전이었지요.


현장에서 배워 기술력을 갖추고,

지금 당장만이 아니라 미래를 바라보며 R&D에 힘썼습니다.

호황일때 현재를 즐기는 것이 아닌,

앞을 바라보는 중소기업.

선진 시장들을 둘러봤고,

M&A로 회사를 인수하면서 노조의 불신에

중국 공장을 탐방 시켜주며, 사장으로서의 소신을 설득시켰습니다.

선진 시장을 따라가는 것이 아닌,

배우고 그를 통해 더 도약하고자 미래를 준비하니,

비록 외부상황으로 휘청할 뻔 했다가도

앞을 바라보고 나만의 분야를 다져가니

위기가 오히려 기회로 다가올 수 있었습니다.


위기가 기회로 다가오려면,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달콤한 현실에 안주하여 하던대로가 아닌,

앞서 바라보고 준비를 해야하지요.

물론, 성공시키겠다 하는 집념과 리더십이 함께 하기에 가능했습니다.

또한 창업이래 직원에 대한 자세 또한 '같이 간다'는 정신이 있었기에

믿음을 받았고, 함께 회사를 다져갈 수 있었겠지요.







장안종합열처리회사는 이제 알루코그룹이 되었습니다.

한국 뿐 아니라, 미국, 베트남에도 지사가 있지요.


<비행기로 7시간이면 모두 우리 경제영토>

미국은 큰 땅인터라 비행기로 몇시간 걸려도 문제없어 합니다.

그러하니, 비행기로 7시간 걸리는 곳이라 하면 경제영토로 생각해도 문제없지요.

그는 시장을 넓히기 위해서 적정한 공장의 터전을, 그 또한 미래를 바라보며 선정합니다.

그리고 베트남에서의 김소장과 현장에서 인터뷰에서

현지인들을 이해하고 그들과 어떻게 융합되는지도 알려줍니다.

거창하게 '소통'이라는 단어도 필요없습니다.

상대방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그리고 회사의 분위기에 융화되도록 하지요.

상황이 그러하다면, 그 상황에 맞춰 일을 진행시키고,

진심을 다하니, 그 모습에 함께 하게 됩니다.



우리가 살아보면 다름은 항상 있고

어려움도 일어나곤 합니다만,

그때에 맞춰 진심을 다해 방법을 찾아본다면,

낙담하고 비관적일 필요만은 없겠지요.







그의 회사에는 대학을 졸업해야하는 학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회사 재직 중 대학을 나온 이들이 늘어나기는 하지만,

그는 학력이 인재를 말해주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본인부터도 답을 현장에서 찾았기 떄문이지요.

현장과 이론이 물론 함께 어울어지며 성장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만,

타인의 논문이 회사를 좌지우지하게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제대로 하겠다는 기술력이 자신감이 되고

불량품 하나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신뢰에 대해 배신하지 않는 정도경영을 통해

직원에 대해서도, 산업에 대해서도, 

그리고 사회에 대해서도 신의를 다하고 있어보입니다.


말로, 머리로 하는 인문학이 아닌

현장에 피어있는 인문학.

결국 학문도 사람에 대한 이야기이기에

김종록 소장의 질문과 덧붙임이 함께 하는

박도봉CEO의 인생 이야기가

철학자들의 아이디어와 다르지 않았다 싶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