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의 시대 - 세상이 수상해지면 출몰하는 오래된 미디어
마츠다 미사 지음, 이수형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세상이 수상해지면 출몰하는 오래된 미디어, 소문
책 자체가 참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SNS라는 인터넷을 통한 미디어 '도구'를 누리지만,
사실 예전에는 입에서 입으로,
아는 이들을 통해 전파되며 소문이 전해졌지요.


'소문'이라는 자체가 사실여부가 그리 중요하지 않곤 합니다.
물론 하나도 아니다 할 수는 없겠지만,
그 진위여부를 떠나,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면?
바로, 소문에 휘둘리는 우리의 모습입니다.







"소문이란 극히 일부의 속기 쉬운 사람에게만 확산되지 않는다.
많은 이들이 사실 여부를 자기 나름대로 확신한 것이지,
근거 없는 말을 그대로 전한 게 아니다.
오히려 '사실'로 여겼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도 전한 이야기가,
결과적으로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알게 되어 '소문'으로 규정짓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소문은 유언비어, 가십, 풍평, 도시전설 등 여러 형태가 있습니다.
이들 모두 정보로서의 확실성이 부족하지만,
소문이 전해질 때는, 전하는 사람은 그 내용이 사실이라 생각합니다.
악의가 있어서 전하는 이가 물론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대부분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소문을 전하지요.
그러니, 소문을 전파했다고 하여 무조건 악의적이다 할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관점을 바꾸고 소문이 전파되는 이유를 생각해보는 편이 좋겠습니다.


어찌하여 소문이 돌게 되느냐.
소문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생각해봅시다.







'어리석은 자들이 사실무근의 소문에 현혹되어서' ?
일본 내, 특정 소문을 예로 들면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보니
소문에 휩싸여서 나라가 들썩거리게 되는데는 단지 개인적인 문제만은 아니다 싶었습니다.
어리석은 자들이기에 현혹되어 움직인다기보다,
사회적인 상황과 '손해를 보면 어쩌나'하는 심리가 결합되고,
가까운 사람에 의한 믿을만한 근거라는 생각으로 전파되다보니,
그럴듯하다 생각하고 휩싸이게 되는 것이지요.


책에서는 이러한 소문들로 인하여,
사회적인 비용을 언급하기도 합니다.
소문으로 인해 사람들이 불안해지고,
이 소문들이 사실이라는 믿음으로 신고가 들어가면, 정부는 이쪽으로 인력이 파견되어야 하고
그리하여 쓸데없는 처리비용(움직임)과 더불어 원래 해결해야하는 쪽 해결이 안됨으로인한
사회적인 손실이 생기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올포트와 포스트맨은 <소문의 심리학>에서 '소문의 공식'을 규정하기를
R ~ i x a
소문의 강도와 유포량 R(Rumor)은
문제의 중요성 I (importance)와 논제에 관한 증거의 애매함 a (ambiguity)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그러므로, 문제가 중요하지 않다거나 (=0) 논제에 관한 증거가 애매하지 않을경우(=0)
소문의 강도는 0이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중요하지만 불확실한 성질의 소문이 더 강도높게 퍼져나간다는 것.

그런데, 이 소문은 전해지면서 그 내용이 변화하며 퍼져나갑니다.
점점 그럴싸하게 변모되어 가지요. 증거가 애매하니 더더욱 그렇겠습니다.
목격된 정보는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평균화, 강조, 동화 경향을 띈다고.
세부내용은 빠지고 단순화되며, 남겨진 부분이 강조되고, 관심과 선입견 등으로
정보내용이 전달하는 사람에 따라 변화합니다.







공식채널로 명확히 대처방안이 알려지게 된다면,
오히려 사실무근 소문으로 들썩이지 않을텐데 말입니다.
즉, 공식 채널에서의 불투명한 움직임이 소문확산의 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소문의 본질은 '책임을 지지 않아도 좋은 커뮤니케이션'인터라,
언론을 통제하기 때문에 소문이 돌기도 하지만,
소문이라는 것 자체가 심리적인 문제를 담고 있기 때문에
어떤 미디어로 움직이느냐만을 중점으로 두어야 할 문제는 아니다싶습니다.
전해지는 채널에서 소문의 근거는 증거가 아닌 
'전문성'이나 '신뢰성'과 같은 심리적인 변수로 소문을 더 사실처럼 생각하게 되니 말이지요.

소문은 인터넷이 만들어지기 전부터 사회적인 영향력이 있었고,
지금은 인터넷, SNS를 통하여 속도는 더욱 빨라졌습니다.
하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인터넷이라는 도구로 기록이 남게 되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책임감'을 더 물을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전파속도는 과거보다 광속으로 빨라졌지만, 기록으로 인한 책임을 물을 수 있으니 말이죠.







소문의 확산은 다분히 심리적인 면이 강합니다.
중요하다, 애매하다 등의 느낌은 심리적인 성질의 것이지요.
사회적 위기상황에서 생명이나 장래에 대한 전망 등의 중요한 것들이
애매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할 때,
그렇다면 우리는 이들에 대한 내성을 띄고 사안을 비판적으로 판단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하다더라... 하는 카더라 통신이 아닌, 애매함인지 아닌지를 걸러낼 눈이 필요하다는 것이지요.
물론, 책에서는 이에 대한 명확한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습니다.
더불어, 선결조건은 정부나 공식 미디어의
충분하고 명확한 정보제공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우리는 정보자체에 대한 진실성을 체크하는 내재적체크와
외적인 정보에서 근거를 발견하는 외제적체크를 통한
정보에 대한 비판력으로 애매한 정보인 소문에 대해 비판적인 수용자가 되어야겠습니다.
더불어, 충분하고 명확한 정보제공의 공신력있는 미디어도 기대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