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의 뇌로 산다 - 세상을 깊이 있고 유용하게 살아가기 위한 과학적 사고의 힘
완웨이강 지음, 강은혜 옮김 / 더숲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제목만으로는 딱딱할까봐 조금은 걱정했던 책.

<이공계의 뇌로 산다>는 물리학 연구원의 저서입니다.

"더 나은 삶을 살고 싶은 이들을 위한 유용한 책" 답게,

이공계라는 단어를 가져왔지만, 은근 자기계발서의 면보가 보이는 책이기도 합니다.

왠간한 자기계발서를 물리치는 합리성을 가졌다는 것이 이 책의 큰 장점입니다.







'이공계'의 시각에서 볼 때, 

'인문계'의 들끓는 감성이 조금 불합리해보이는 건 사실이겠습니다.

감성과 이성은 인간이 가진 특성이기는 합니다.


감성에 집중하다보면, 한편으로는 두리뭉술해지는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내 느낌이 그러하다는 주관성에 빠져, 내 생각을 상식이라고 믿어버리기도 합니다.

심지어 '방송'에 대해서 객관성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이 또한 시청자를 생각할 때, 객관성이나 중립적인 시각보다는 오히려 편향성이 볼 거리를 줄 것이라는 목적이 드리워져있기도 하니,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말'로 하는 인문계에서는 합리성이 덜해보이는 것 같기는 합니다.



저자의 주장들이 여러모로 유용하게 비판적인 시각을 깨워주기는 합니다.

그 중, 가장 인상적인 주장은 사안들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모두 파악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우리의 편향적인 생각들을 주의하며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각각 주어진 기회와 시간이 정해져있고, 에너지 또한 그러하니,

한번에 여러가지를 할 수 없다는 절대적인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과학적인 자기계발과 자기계발적인 과학


더불어, 이 책이 자기계발서 느낌이 들게 되는 것은,

'의지력'에 대해서 주장을 하기를, 이 또한 포도당을 소모하는 일이기 때문에,

교육이나 훈련이 아닌, 생리적인 기능으로 증명해주었습니다.


따라서 의지력을 모든 순간 불태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집중할 곳을 찾아야 하고,

또한 의지력을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목표를 짧게 짧게 잡아서 연장시켜주어야 한다는 것.

그에 관한 과학적인 설명에 상당히 감명깊었다 싶습니다.

무작정 열심히, 시간을 들이면 성과가 좋다는 맹신을 버리고,

전략적으로 효율적인 시간을 투자하도록 일깨워줍니다.


감동적인 문체로 감성에 호소하는 그 어떤 자기계발서보다도

더 설득력있고, 나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설명들이었습니다.







'이공계의 뇌'라는 제목의 설명에서의 기대와 달리

저자의 이야기는 오히려 그 반대의 방향으로 지혜를 깨우쳐주는 듯 싶습니다.

이공계라 하면, 복잡한 모형으로 모든 것이 수치로 설명이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저자에 따르면 과학은 오히려 '절대적인 진리'를 가정하지 않고 있다는 것.

커다란 자연현상에서 변수를 어떻게 잡느냐, 모형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증명이나 결론이 달라지곤 하니,

그리하여 가정이 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복잡한 예측을 맹신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점이 '이공계의 뇌'의 핵심이 아닌가 싶습니다.

연구하고 공부하다보면, 오히려 큰 우주가 있음을 알고, 끊임없이 공부해야 한다는 결론을 알아낼 뿐,

그리하여 누군가가 기존 모형의 오류를 찾는다 하면 과감히 다시 연구하게 된다는 것.

어찌보면 명확한 어조로 강조할 것 같지만, 오히려 겸손한 관점으로 학문에 임한다 싶습니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결론은 우리에게 심적으로는 편할지 모르겠습니다만,

안타깝게도 상황들은 불확실성으로 둘러쌓여있고, 우연과 임의성, 예측하지 못한 오류 등의 영향이 큽니다.

이공계의 뇌로 산다는 것은, 미래의 결정이나 상황을 받아들일 때,

불확실함을 염두해두고 이성적인 판단으로 결정해나가야한다는 점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