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차이나 리포트 - 중국을 통해 미래를 보다
성공경제연구소.SBS CNBC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역사에서는 번성하던 대륙, 중국.

근대에서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자본주의 시대에서 기를 펴지 못하던 중국이

얼마전부터는 그 위상이 사뭇 달라졌지요.

그 동안 세계의 공장이었던 저임금 국가는, 이제 그 힘이 상당히 달라졌습니다.

2020 차이나 리포트는, 달라진 위상의 대륙 중국에 대해서

그 방향이 어떠한지, 우리는 어떻게 이 환경에서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해줍니다.

중국을 바라보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읽어볼 수 있기에,

그리하여 컨퍼런스에 참석한 기분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배울 수 있는 책입니다.







덩샤오핑의 올드노멀에서 시진핑의 뉴노멀화 정책으로 변동,

제조업 기반의 고성장을 목표치로 잡던 중국은,

내수중심의 안정적인 성장률을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일단 인구로 인한 내수시장이 거대하다보니

이제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성장동력을 옮겨가고 있지요.

또한 자본수출에 관하여서도 새로운 판을 짜고 있습니다.

또한 예전 실크로드를 생각하며, 세계 전체를 시장으로 생각하고 있기도 합니다.


중국경제의 뉴노멀화로 인해, 

한국이 중간재, 자본재 수출을 하던 노선에도 타격이 오게 됩니다.

하지만 부정적 영향만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중국경제의 새로운 정책이 긍정적 영향도 있을 것이니,

이에 대비하여 유동적인 움직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이 책 내, 모든 전문가들의 주장입니다.






우리나라는 내수시장이 워낙작은 편이라, 수출에 관해서 상당히 신경써야 하는 경제입니다.

그리하여 이렇게 거대한 중국시장이 달라진다 하면, 우리도 또한 지금의 상황을 차분히 판단해야 하겠습니다.

여러 전문가들의 이야기가 쏟아지지만,

그 중에서 우리 역사를 보며, 그 속에서 교훈을 삼아 생각해보아야 한다는 주장은 또한 더 와닿는 주장이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G2 체제에서 대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는 것.

후금과 명 사이에서 그러했고,

미국과 일본 사이에서 그러했고,

지금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또한 어려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후금과 명 사이에서 심지어 명나라 인사가

성리학에 맹목적인 관료들을 보며, 청을 배제하면 안된다는 안타까움을 넌지시 주기도 했을 정도로

우리는 자신의 생각 박스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느라

의사결정의 실수를 저지르고, 나라에 해가 되기도 한다는 포인트를 이야기해줍니다.







신창타이 시대 중국 경제.

중국은 이제 '중국몽'을 위해 경제기조를 바꾸고 있습니다.



중국이라는 나라가 세계의 공장을 자처했을 때는

그리 기술력이 강하지도, 경쟁력이 무서울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자본이 모여있다 하더라도 별 것 아닐 지 모른다는 생각도 했습니다만,

하지만 그렇게 열심히 모아둔 자본으로 중국은 기술력있는 기업을 사들이고 있습니다.

세계 굴지의 회사들을 자본으로 사들이는 것은 분명 대단한 위치를 잡을 기회이다 싶습니다.


중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예전 짝퉁이나 만드는 나라로 생각하면 안되겠습니다.

소비자들이 필요이상의 기술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실리적으로 물건을 택하고 있다는 것을,

샤오미나 하이얼 등의 경쟁력있는 전자제품들을 보며, 중국은 이제 경제표준이 되어가려한다는 것을,

인구를 두고 내수시장이 든든하고,

또한 해외경험을 통한 엘리트들이 모여들어 경쟁력있는 인력이 힘을 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책 속에서는, 중국과 연이 닿은 전문가들이

중국에 대한 여러가지 분석들을 정리해주어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분석을 이용하여 기회를 찾는 것은 이제 우리의 몫이겠지요.

내수에 의지하기 어려운 경제인들은 중국의 경제기조를 두렵게만 떨고 있을 것이 아니라,

이러한 분석들, 또한 그들이 이야기하듯 중국 전문가가 늘어야 한다는 방향제시들을 통해

경제인들도 나라의 정책도 큰 목적을 두고 방법을 모색해보면 좋겠습니다.







물론 중국이 우리경제와 경쟁의 관계가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만,

그렇지만 이들이 토론에서 밝히듯,

중국에 대한 관점을 제로섬의 경쟁 대상이라던가, 위협대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배울 것은 배우고 공유할 것은 공유하면서

신뢰의 경제 파트너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중국은 중국만의 역량이,

그리고 우리는 우리만의 역량이 있으리 싶습니다.

물론 우리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정치적인 입장으로 인하여 움직임이 쉽지는 않겠지만,

이웃나라로서 함께 하면서의 실리를 생각해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