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 군주론 나의 고전 읽기 23
조한욱 지음, 니콜로 마키아벨리 원작 / 미래엔아이세움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바라보는 시선은

공화국이 무너지고 메디치 정권이 다시 들어설 때, 

공직에서 파직된 그가 다시 써주십사 아부하는 책이라고 평가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정말 그가 그랬을까.. 하는 의구심에서 시작되는 책,

그래서 제목도 또한 <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 군주론>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이 책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한 내용을 담기에 앞서서

이 책이 쓰여진 시대적 배경, 그의 기존 입장에 대해서 연계를 하며

책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또한 그 배경과 더불어 또 다른 관련 고전들을 소개해주기에

넓은 통찰력을 가져다주는 책이랍니다.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이르르며

이탈리아 피렌체에서는 사람 중심의 시각이 중심을 이룹니다.

같은 주제를 그리더라도 그 분위기가 사뭇 다른 그림이 나오고 있죠.

신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르네상스가 펼쳐지며, 메디치가에서는 예술과 과학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또한 민중들에게도 지지를 받고 있었습니다.

중간에 공화정제로 다른 권력이 중심이 되었지만 피렌체를 다스리던 권력은 결국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다시 메디치가 피렌체를 강한 도시로 만드는 기반 세력으로 군주제가 이루어지죠.


공화정에서 공직에 있던 마키아벨리가 메디치 가의 집권 후, 파면이 되며

그 기간중 군주론을 집필합니다. <로마사 논고>집필하는 중 약 두 달간 부랴부랴 <군주론>을 집필하죠.

<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에 따르면 아부하고자 쓴 책은 아니라하지만

사실 시기상으로는 그럴 오해가 있을만 하기는 합니다.






마키아벨리는 공화국을 옹호하는 인문학자였습니다.

그렇기에 <군주론>의 제작의도가 시기상으로 오해를 받았습니다

<군주론>과 <로마사 논고> 사이의 벌어진 틈, 과연 마키아벨리는 어떤 사상을 지지하고 있었던 걸까요?


여러 학자들에 따르면,


* 군주론은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에서 일종의 일탈이다.

* 일견 군주에 대한 조언서로 보이지만, 실상은 군주가 통치에 사용하는 온갖 종류의 무자비한 행태의 위선과 기만의 술책을 폭로해 공화주의적 자유의 관념을 옹호하고 있다.

* 군주론에서 옹호하는 군주정은 공화정으로 이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다.

* 군주를 기만하기 위해 군주론을 썼다는 것이다. 즉, 군주 로렌초의 몰락을 재촉하고 피렌체 공화정의 부활을 꾀하기 위해 기만적인 조언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p. 46~47




이러한 분석을 보고나니, 마키아벨리가 참 무서운 사람일세 하고 생각이 드네요.

특히 마지막, 기만하기 위해 썼다는 의도라면, 로렌초 데 메디치의 판단이 대단했다 싶기도 합니다.

마키아벨리를 재등용하지 않았으니 말이죠.






그 집필 의도가 어떠했던 건 간에,

군주론에서는 유효한 조언들이 함께 합니다.

군주론의 집필 의도가 공화정을 꾀했다는 의도에 대해서는 사실 동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마키아벨리는 국가를 강하게 만들고자 하는 최상위의 목표 하에 군주론을 작성하고 있으니 말이죠.

용병이나, 지원병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자국 군대가 중요하다는 주장.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 역사의 선례를 이용하여

용병이나 지원병에 의한 폐해들을 고합니다.


이탈리아에는 뛰어난 역량의 인재들이 많음에도,

도시간 전쟁이라던가 혹은 외세에 의한 전쟁에서 고전을 면치 않았던 이유가

바로 이렇게 독립된 '강함'이 없었다는 것이죠.

그리하여 믿을 수 있는 자국 군대를 양성하기를 무엇보다 중요시 하였습니다.


그 주장 중, 지원병에 대해서 보면서는 우리 역사에서도 선례가 있었기에

마키아벨리의 의도가 어땠던 건 간에, 군주론에서의 주장은 유효한 이야기였다 깊이 공감합니다.

외세에 의한 지원병에 기대어 전쟁에서 승리한다고 하더라도,

그 지원병의 국가는 자국에 분명 영향권을 두고자 한다는 것이죠.

우리의 역사에서도 그러한 예들이 심심치 않게 보아왔기 때문에,

역사에서 보듯, 강병은 독립국가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강한 군주가 중요하다는 입장에서 쓰여진 군주론은

사실 도시국가들의 전쟁이 빈번하여 단결된 힘을 필요로 하던 현실적인 배경에서 필요한 조치였다 싶습니다.

마키아벨리는 강한 군주가 그렇다면, 어떻게 경멸과 증오를 피할 수 있을까 하는 법, 명성을 얻는 방법 등

현실적인 조언까지 세세하게 논하고 있습니다.



<군주론>의 집필 시기가 어찌보면 등용을 위한 목표였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듯, 그가 진정으로 원한 것은 이탈리아의 강한 힘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공화정을 꾀하든 군주정에 등용이 되려 했던간에

그는 역사를 토대로 강한 이탈리아를 이루기 위해 어떠한 리더가 필요한지에 대해

그리고 이탈리아를 어떻게 끌어가야하는지에 대해 논하는 '애국주의'의 입장이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 군주론> 책에는 이렇게 군주론에 대한 해석과 더불어

그 시기의 다른 고전들을 포함한 르네상스에 관한 넓은 이야기를 함께 싣고 있습니다.

피렌체의 특히 반짝이던 시기, 르네상스에 대해 많은 것을 느껴볼 수 있고

더불어 군주론에 대해 통상적인 비판에서 벗어나볼 수 있도록 다른 시각으로 읽어볼 수 있는 재미있는 고전,

<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 군주론>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