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노 공부법 - 한 문제를 이해하면 백 문제가 ‘와르르’ 풀리는 가장 단순한 공부 원리
권종철 지음 / 다산에듀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래도 육아를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 저로서는,

공부법이라던가 육아라던가.. 그 주제가 가장 눈에 들어오곤 합니다.



도미노 공부법!

하나만 건드리면 좌르르 해결하며 앞으로나간다는 이 시원한 느낌!

'도미노'가 참 단순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가지듯,

이 책을 보며 공부법이라는 것의 줄기를 가져가며 시원스럽게 공부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책장을 넘깁니다.






제목을 보고 예상하셨듯,

공부의 도미노 효과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 첫 번째 도미노를 찾아야 한다

* 도미노를 놓는 순서가 정확해야 한다


이 책이 공부의 효율성에 관해 이야기하듯,

책의 구성 또한 어떠한 이야기를 하는지 앞부분에서 이야기해주면서

책 읽는 초점을 잡고 들어가준답니다. 


그렇다면 첫번째 도미노란 어떤 것인가?

뒷부분에서 이에 대해 상당히 자세하게 사고의 흐름을 보여줍니다만

죄송하게도 딱 한 문장으로는 정리를 하지는 못하겠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해 뽑아내서 그 첫 도미노를 찾는다는 것.


그리고 두번째 문제인, 도미노를 놓는 순서가 정확해야 한다는 것.

이는 공부의 효율성으로 와닿아봅니다.





공부는 얕은 공부와 깊은 공부가 있으니

중학교때까지는 어떻게 어떻게 학원을 다니며 선행학습이라던가 문제집으로 공부의 방법을 주되게 잡는데

이러한 얕은 공부로는 고등학교에서 공부다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합니다.



'먼저 안다고 깊이 아는 것이 아니다'

출발점이 앞서고 기초 체력이 뛰어나다면 이론적으로는 경쟁력이 더 강해진다고 생각하게 되지만,

현실은 그렇다 하면 공부의 동기가 절실하지 않게 되어 집중력이 약화된다는 것.


저자는 학교는 공부하는 곳이라는 것.

선생님에 집중하여 그 시간에 수업 내용을 집중하고 받아들이라는 점도 강조합니다.

학원 스케줄에 따라 학원에서 진도를 나가고 학교는 시간떼우기로 있다보면 시험이 아닐때는 괜찮지만,

시험이 되고보면 학원에서 중심으로 하는 과목들을 빼고는 그 준비의 시간이 만만치 않아지고

더불어 학원에서는 중심으로 하는 과목을 또 훑어준다며 또 다른 시간을 빼나갈 것이라

그로인해 타 과목의 공부들에 어려움이 더해진다는 것이죠.



<집중력, 이해력, 응용력> 을 갖추면 깊은 공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큰 원리는 프레임을 파악하는 문제집 중심 공부로는 깊은 공부를 할 수 없겠죠.

응용력 부분 정도가 도움이 될 수 있겠다 싶습니다.










깊은 공부에 대해서 세 가지 요소를 이야기하기를,


* 나를 진단하고

* 생각의 흐름에 집중하고

* 성공의 경험을 축적하라는 것



내 이해도, 집중력, 응용력을 진단하여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채워나갈 것인지 판단합니다.

그리고 생각의 흐름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공부를 하는데 

이는 교과서와 선생님 수업시간을 활용해서 줄기를 잡아야 하겠습니다.

더불어 성공의 경험은 공부하고자 하는 동기들을 강하게 만들어주니, 

작은 것부터 성공해나가며 나를 믿을 수 있는 경험치들을 만들어주어야겠습니다.






진단 - 반성 - 해법 - 실천

네 스텝으로 도미노 공부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책은 공부법에 대한 개념적인 책이면서 동시에 실천까지도 과목별로 소개를 해주는데

실천 부분에 이르러서는 과목 자체에 대한 성질 이해를 도와주고 그리하여 어떤 시각으로 공부에 임해야 하는지도 가이드를 주고 있기에,

그래서 학부모 뿐 아니라 중학생 이상의 학생들도 읽어봄직한 책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두깨도 내용도 부담스럽지 않은 책이라, 책 자체도 효율적이다 싶습니다.

저자 본인도 최상위권 공부를 했고

그 성과의 배경이 부끄럽지 않게 책을 개념적이면서도 활용도가 있음직한 유효한 공부법 이론들을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죠.

어짜피 해야 하는 공부, 공부법이라는 목적 아래 '공부'라는 추상적인 대상을 분석적으로 알아보았다 싶어 흥미로운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