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버스 융합과학 4 : 생태계 - 학교 공부 꽉 잡는 공부툰, 소년 한국 좋은 어린이 책 스토리버스 융합과학 4
유기영 외 지음, 이재열 감수 / 스토리버스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스토리버스 융합과학4. 생태계>편에서는 지구 안의 생물들과 관련한 내용을 알아본답니다.

8가지 스토리로 학교 공부 꽉 잡는 공부툰, 과학 학습만화!






유기적으로 이어진 생태계, 공생과 기생 등

지구 상의 생물들 자체와 더불어 생태계 전체를 바라보는데

융합과학 포인트의 과학 학습만화이다보니,

교과연계로도 과학 뿐 아니라 사회라던가 체육까지도 포괄되어 생각해보게 됩니다.






아이에게 이 책에서 가장 기억해야 하는 내용은 무엇이냐 하니,

아이는.. 멸종 동물들 페이지를 펴들어주더라구요~!


남획, 욕심에서 필요이상으로 벌어지는 동물 사냥들.

인간들로 인해 생태계에서 멸종 동물들이 생기게 되었죠.







'지구정복 대소동'편에서는 섬에서 새를 잡아먹게 되면서

그 새를 잡아먹기를 계속 이어지니 새들이 멸종하게 되고

대신 포획자인 새가 없어지면서 거미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나게 된 점을 이야기한답니다.






과학+사회 융합으로 '괌'이라는 나라가 서태평양에 있구나 알면서

세계지도를 꺼내들고 이야기를 해야겠다 생각이 들던 설명 페이지.

만화 속 사건은 서태평양의 아름다운 섬, 괌에서 정말 일어났던 일이라고 해요.


원인의 발단이 인간이 아니었기는 합니다만,

괌 생태계에 외래종이 뿌려지며 숲의 동물을 멸종시키기게 되었다 하네요.






과학 학습만화, 내용 전개 후에는

자세한 설명들도 이어지는데요.

지구 상 엄청난 생물의 수! 

생물의 종 수만 1백 5십만 정도라니, 알고 있었나요?

아이도 이렇게 대략적인 큰 수를 처음 접하고는 신기해 하며 저를 불러세우더라구요.

저도 '종'수만도 이렇게 어마어마한 숫자일 줄은 처음 알았네요.


하지만 위의 사건처럼 생태계에 외래종이나 혹은 인간들에 의해

멸종되어 수가 줄면 어쩌죠...?

아직까지는 새로 발견되는 생물 종이 많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인위적인 일들로 멸종되지 않도록 잘 보존해야겠어요.





생태계의 공간, 자연.

물도 있고 육지도 있고.. 그런데 특수한 곳이 또 있어요. 바로 습지!

강과 연못, 저수지 등으로 둘러싸인 땅을 습지라고 해요.


습지는 강으로부터 받아들인 물을 저장하여 가뭄이 되면 공급하는 저수지 역할 뿐 아니라,

습지에는 여러종류의 동식물들이 살고 있어서 '생태계의 보물 창고'라고 불릴 정도로 동식물에게 풍부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늪은 습지의 가장 마지막 단계라는 사실!

높은 산소가 부족해 죽은 생물도 잘 썩지 않고요.

이런 현상이 진행되면서 언젠가 초원이 된다는 사실!

아이도 이번 스토리버스 보면서 처음 알았다고 해요!!


아무튼, 이렇게 강에서 습지로 또 초원으로

자연이 순환한다는 것도, 참 신기하지요.




 



생태계는 '자연스럽게' 둔다면 '자연스레' 순환하고 있지요.

그런데, 원래 토종이 아닌 외부에서 들어오는 동식물이 생태계의 교란을 가지고 오고 있어요.

자생종들을 닥치는대로 잡아먹어서 멸종을 시키고 있으니,

먹이사슬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던 생태계에 이런 외부 생물로 인해서

한 생물종이 멸종하면 또 다른 부작용들이 생길 터이니..

사람들의 움직임들도 조심하며 살아야겠다 의무감을 가지게 됩니다.





더불어 밀렵꾼과의 전쟁을 선포!

인도 지역에서는 돈이 되겠다 하여 귀한 동물들을 무분별하게 잡게 되니,

자연에 못할 짓을 해서 이 또한 인간에게 다시 돌아오게 될 문제가 될 수 있어요.

그리하여 인도에서는 밀렵꾼에 대해 처벌을 강화한다고 해요!!



<생태계>라는 것이 과학에서 바라보게 되는 영역이기도 하지만,

생태계 보존이라는 점을 강조하기에 도덕적인 안목도

어떤 지역에서 일어나는지 알게 되니 사회/지리적인 안목도 함께 자극해보며

교과연계 과학을 더 탄탄히 다져가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