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선비, 암행어사 되다 - 옛날 법과 제도로 배우는 우리 역사 ㅣ 처음읽는 역사동화 6
세계로.황문숙 지음, 최현묵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5년 5월
평점 :
처음 읽는 역사동화 6.이선비, 암행어사 되다
이선비 시리즈가 벌써 6권이네요.
아이는 이번에 처음 읽어보았는데, 동글동글한 캐릭터의 이야기가 재밌더라구요.
이번에는 이선비가 암행어사가 되어 조선시대 법과 제도를 알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암... 암행어사유?"
"쉿! 조용히 해라! 이는 누구에게도 발설하면 안 되느니라! 알겠느냐?"
이선비는 왕의 명령에 따라 조용히 암행어사로 임명이 됩니다.
암행어사로 명을 받으면, 그 길로 바로 떠나야한다고 해요.
도착지까지 필요한 물품들이 지급되어 있는데,
넉넉한 양은 아니라서 가다가 하루밤 신세를 지어야 하기도 하고
구걸을 해야할 수도 있고요. 몸이 분명 힘들지만, 그래도 벼슬을 가졌다면
정의를 위한 명예로운 일이기 때문에 암행어사가 된다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가지죠.
역사 속 암행어사는 박문수, 정약용, 김정희 등이 있었다고 해요.
어사 박문수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정약용이나 김정희도 암행어사를 지냈다고 하니 위인들이 또 다르게 보이더랍니다.
조선은 중앙집권체제이기는 했지만, 각 지역에서 행정을 모두 상세히 알기는 어려웠기에
암행어사를 통해 정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게 되는데요.
물론 관리들의 비리를 파헤치고 벌을 내리기도 하지만 그 외에도 잘하고 있는 관리들에게는 상을 내리도록 하는 역할이나
소송 사건 처리 및 죄수 실태 점검, 효자와 효녀를 찾아내고 지방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 등의 역할도 암행어사의 임무였어요.
평안도로 가는 중, 빈 집인 줄 알고 하루 밤 지내려던 이선비와 돌쇠.
그런데 아이들이 빈 집에서 덜덜 떨고 있었더랍니다.
"무서운 아저씨들이 와서 무쇠솥이랑 수저, 그릇을 다 가져갔어요.
세금 대신이라면서요. ..."
그런데 집안에 있던 가재도구며 개, 강아지까지도 모두 몰수해 갔다고 해요.
세금을 거두는 것도 정도껏 해야지...
한편, 평안도로 가는 도중 시장에서 이선비는 떡도둑으로 몰리기도 했지요.
어떻게 해결은 되었는데, 동생을 위해 떡을 훔친 아이가 와서 사과를 하며
암행어사 마패를 보았다고, 자기 아버지의 억울한 사연을 털어놓으며
제발 사또의 횡포를 알아차려달라고 합니다.
사또는 평안도의 어려운 사정에 대해 조정에서 내린 구휼미를 빼돌리고
그 사건을 호방이 눈치채고 관찰사에 신고를 하자
오히려 관찰사를 매수하여 호방에게 죄를 뒤집어 씌웠지요.
아이의 아버지인 호방은 참형에 처해지고 어머니도 충격으로 돌아가십니다.
그런데 아이는 그 증거를 기록해두어 이것은 이선비에게 확실한 증거로 확보가 되었지요.
"너는 높은 이율로 돈을 빌려준 사대부와 결탁하여 돈을 갚지 못하는 백성을 무서운 형별로 다스렸다!
심지어 규격보다 훨씬 크고 단단한 형구를 사용해 매를 견디지 못한 백성이
스스로 재산을 포기하고 노비가 되게끔 하였다!"
이선비는 암행어사로 사또의 죄를 낱낱이 밝혀냅니다.
임금님께 받은 유척으로 조사해보니 사또는 사사로운 이익때문에
백성들에게 고통을 안겨주고 재산을 갈취하고 있었던 것이죠!
조선시대 형별 제도에는 대형, 장형, 도형, 유형, 사형의 5형이 있었는데
너무 엄하게 다스리지 말라는 것이 원칙이었습니다.
매를 맞았다 하더라도 그 매가 잘못했다는 것을 알만큼이어야 하는데
그 매를 변형시켜서 고문수준이 되서는 안되는 것이었죠.
형벌에도 엄격한 원칙이 있었다고 해요.
심지어 조선시대에도 말이죠!!!!!
이 책이 주는 즐거움~!
암행어사가 관료의 비리만 찾아내는 것이 아니고
백성을 이롭게 하고자 직접 노동에 참여하는 사또도 함께 한다는 사실!
사실, 전래동화에서 아쉬운 점이
관료는 무조건 나쁘다 하는 인식이 박힐까봐 부모로서는 좀 아쉽거든요.
그런데 이 역사동화서는 제대로 일하는 관료에 대해서도 다뤄진다는 사실이 사뭇 기뻤습니다.
우리사회에도 뉴스에서는 잘못된 일들이 많이 나오지만
분명 제대로 역할을 하는 이들이 더 많으리 희망을 가지고 있네요.
"이런 사또가 있다니!"
우리 시대에도 이렇게 감탄할 수 있는
'진심으로' 발로 뛰는 리더들 소식을 기대해보게도 됩니다.
역사동화, 초등 아이들 눈높이로 재미있게 읽어보며
조선시대 법과 제도를 알게 되었네요.
암행어사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어 특히 유익했던 시간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