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의 교실 - 고대에서 현대까지 한 권으로 배우는
스즈키 히로키 지음, 김대일 옮김 / 다산북스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경영학에서 '전략'과목은

경영학이라는 실용적 학문 중에서도 

특히 더 실용적이다 생각이 듭니다.

마케팅, 재무, 인사관리.. 이 모든 것들을 총체적으로 가지면서

동시에 시대 변화를 아울러야 하는터라

경영학과 수업을 들으면 후반 학년에 집중이 되어 있곤 합니다.

학부에서 수업을 듣다보면, 지금에 더욱 집중을 해서

예전에는 어땠을까를 돌아볼 시간적 여유가 적었다 싶습니다.

(게다가 실용적이라서 케이스로 공부를 더 하곤하죠)



소비자로서 혹은 산업 현장에서 경제에 기여하다보면

'경영전략'이라는 분야는 교양으로 알고싶어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 호기심을 <고대에서 현대>까지 중요점들을 알려주는 책.

전략의 교실을 읽어봅니다.









시대순이 아닌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하며

고대, 현대를 아우르며 알려주고 있습니다.


제 1장, 승패를 가르는 리더십 전략


손자병법의 손무에서부터 시작합니다.

학교를 떠나 사회로 나가면, 제대로 경쟁이 시작되는데

총만 들지 않았지, 전쟁이다 싶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전략. 생각해보면 전략이라는 것이 그렇게 최신의 아이디어는 아니죠.

살고 죽고가 명확한 전쟁이 일어나던 시기부터

무작정이 아닌 머리를 써야 하는 전략이 필요했으니.



이 책을 통 털어,

손무의 두 가지 전략이 가장 상위 명제여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1) 경쟁을 할 때에는 적이 힘들어지는 곳을 공격한다

2) 상대방의 강점이 발현될 수 없는 곳에서 승부한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공격을 취해야 하고,

그러려면 나의 뛰어난 강점을 활약해야 할 것입니다.






저자는 전략에 대해서 나열만 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인의 생각을 담아 플러스 알파를 전해주고 있지요.


전쟁의 역사로부터 탄생한 냉철한 원리원칙!

그 중 첫 번째, 목적은 승리이지 전투가 아니다


센 것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살아남아야 하는 것. 이기는 것. 이것이 목적인 터이죠.

그것도 장기적으로 말이죠. 

기업은 연속적으로 경영을 함을 목표로 하니,

그 중간의 과정들을 영리하게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기업은 혼자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이죠.

알렉산더 대왕의 리더십은

부하에게 지속적으로 도전을 시키는 강한 리더십이었습니다.

현대에도 직원들이 모두 활성화가 된다는 점은

살아있는 기업이 커가는 원동력일 것입니다.



리더십과 관련하여 군주론 이야기도 나오지만

군주론은 과감히 패스하고 싶습니다.

물론.. 현실적으로는 참 와닿고,

보스의 입장들에서는 마키아벨리를 신봉하고 싶겠지만 말이죠.

(다 깔고 위로 올라선다는 점은 제 취향은 아니네요)

한가지,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는 점만 

마키아벨리의 정신을 따라야 한다 싶습니다.

혼란을 일으키지 않으려면 목표점을 잡아 방향을 알려준다는 것은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대 경영관리는 고대보다 더더욱이 복잡해졌습니다.

산업혁명때야 하라는대로 하는 기계적인 환경이었고

공장에서 찍어내서 팔면 되는 환경이었다면

이제는 생산이라는 것의 정의도 사뭇 달라지고

또한 소비자의 입김도 강하고, 기업들 각각 역량도 강해졌죠.

진부한 표현으로 '무한경쟁'의 시대인 것입니다.



이러한 현대 경영 환경에서,

세계적인경영 전략가 '게리 하멜'교수는

경영관리 혁신의 3가지 목표를 말해줍니다.


1) 규모의 크기와 상관없이

전략의 변경 속도를 매우 빠르게 가져가는 것

2) 혁신을 모든 사원의 일상적인 업무로 삼는 것

3) 사원에게 동기를 불어넣고, 최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매력적인 노동환경을 구축하는 것



결국 속도인 것.

전에는 탑다운으로 기업 정신을 가르쳤다면

이제는 혁신 정신이 기업 구성원 속속이 퍼져서

반짝반짝 빛나야하는 것이로구나 싶어집니다.









패러다임. 룰과 규칙으로 정해져서

뇌가 편안히 적응하고 게을러지고 싶건만,

요즘은 그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하는 그런 시대죠.

경영환경이 그러하니 말이죠.

불쑥불쑥 경쟁자들이 나타나고, 기술은 더더욱이 발전하고.

그리하여 기업들은 패러다임에 관해서도 전략의 방향을 생각해주어야 하는데

전환이라는 뜻이 그러하듯,

패러다임을 바꾸는 주체자는 길들여진 사람이 아니라 합니다.


1) 신입

2) 다른 분야에서 온 경험이 풍부한 사람

3) 단독 행동을 하는 사람

4) 모든 것에 관심이 있는 사람



그러하니 이제는 길들여진 순한 성향이 아닌

다름을 이야기하고 역발상이 가능하고

그리고 통합적인 사고, 융합적인 사고가 가능한 사람이 필요합니다.

아마, 그래서 요즘 교육의 추세도 이렇게 나아가고 있는 것이겠죠?






이 책에서 눈여겨 보게 되는 부분은

가장 마지막 챕터쪽이었습니다.

현대, 특히 아주 최근에 가까운 이야기들이 가득해서 말이죠.


플랫폼 리더십


각각 업체들을 모아서

서로 경쟁을 이루며 발전하는 형태가 이뤄지는 플랫폼,

생산자들만이 모이는 것이 아닌

개개인이 경쟁자가 되어 붐을 일으키는 플랫폼.


한 편으로 인간의 경쟁심을 자극하니

채근하는 환경 싫어하는 저로서는 조금 괴씸타 느낌도 없잖아 있지만

인간본성을 참 잘 파악하고 생겨난 모델인터라

얄밉긴 해도 영리한 전략이구나 싶어집니다.




꽤 많은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맥락을 주제를 잡아 고대에서 현대까지를 소개하고

또한 소개에 덧하여 저자의 이야기,

사례들을 알려주고 있어서

책을 잡아볼 때는 이 책은 교양책이다 싶지만

다 읽어본 후에도 다시 펴봐야겠다는 의무감을 느끼는

보이는 두깨를 넘어 내용이 충실하고 묵직하다 생각해봅니다.

책의 구성이 보기 좋게 만들어진 터라

심적 부담 없이 머리를 채워볼 수 있었던 책이네요.





다산북스 출판사로부터 서적을 제공받아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