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색칠 - 명화에 숨은 감정 읽기
김유진 그림, 지경화 글 / 상상의집 / 2015년 1월
평점 :
마음색칠- 명화에 숨은 감정 읽기
처음에 이 책을 생각할 때는
명화들을 단순히 설명하는 책으로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다 읽고 나서
이 책은 기대하는 기본적인 역할들 외에도
그 이상의 느낌을 주는 책이더랍니다.
잘 짜여진, 책.
읽어봅니다.
감정의 형태와 색깔을 찾는 연습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아트 테라피
이 책의 기본 가정이
스스로의 감정을 정확히 알고 극복하는 일.
감정을 솔직하게 받아들임에서 생각이 시작되어
그 감정들을 다스리고자 그림을 바라봅니다.
상처를 가진 본인을 직접 들여다보는 것도 방법 중 하나지만
명화를 보며 그 명화의 의미를 생각해보고
내 감정을 돌아보는 돌아서 생각해보는 방식,
한편으로는 그런 어려운 감정은 다른이들도 있다고
공감으로 치료해주는 방식이겠구나 생각해봅니다.
책은, 각 감정에 맞는 명화들을 골라
명화의 설명과 함께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게 됩니다.
각 챕터가 나뉘어 있기를
연지라는 아이에게 이야기를 하는 방식입니다.
시작은 엄마가 연지에게 슬픈 감정을 치유해주고자
그림여행을 떠나기 시작합니다.
엄마가 연지에게
바스티앵 르파주의 <10월의 감자 수확>
기쁨을 이야기하며 10월의 감자 수확을 함께 합니다.
그림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기쁨에는 두 종류가 있다는 이야기와 함께
이 사람의 감정은 어떨까.. 연지도 그 경험이 있었지..
그렇게 연지에게도 타인의 감정에
공감해보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로이 리히텔슈타인 - 익사하는 여자
배신감에 대한 그림은
로이 리히텔슈타인의 그림이 함께 합니다.
엄마는 연지와 함께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며
그 감정은.. 하고 감정을 소개합니다.
그리고 배신감이란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감정이란다" 설명해주죠.
이 책은 결국 그림을 보며 그에 맞는 감정에 대해
정의를 내려보며 이럴 수 있지.. 하고 감정을 안아봅니다.
그랜트 우드 <아메리칸 고딕>
그림만 봐서도 엄격해보이죠.
보라가 연지언니에게 해주는 이야기를 보면
보라네 아빠가 연지언니를 혼냈나 봅니다.
보라네 아빠는 엄격하기는 하지만,
사실은 마음이 따뜻한 어른이이시죠.
보라네 아빠에게 혼난 연지에게 <아메리칸 고딕> 그림을 이야기합니다.
보라는 그 속에서 아빠의 모습을 발견하겠다 하며,
엄격한 얼굴로 갈퀴를 들고 있는 모습,
그런데 그 갈퀴는 얇고 힘없고 약하게 보이니..
외모와 달리 그들처럼 연지네 아빠도 여린 마음을 가졌다고 말이죠.
연지가 동생 연수에게
처음 책을 읽어보기 시작할 때는,
연지가 일상적인 일로 기분이 좋지 않은 아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읽어보며,
연지는 동생 연수를 잃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연지는 큰 사건으로 마음의 상처가 클 수 밖에 없었던 것이죠.
"날 달라지게 만든 건, 그림들이었어.
엄마와 함께 여행하는 동안 정말 수많은 그림들을 봤거든"
연지는 엄마에게서 할아버지에게서
그리고 연수의 친구 보라에게서 편지를 받으며
명화에 감정들을 대입시키고 힐링 과정을 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에는
동생 연수가 연지에게 편지를 씁니다.
이 책은 미술치료라는 하나의 목적만이 아닌
커다란 상황의 이야기 구성 속에서
감정을 이야기하고 있는
또 다른 독서의 흥미로움을 주는 책입니다.
성모 마리아.
감싸주는 포근한 이미지의 성녀로 알려져있는데,
특히 라파엘로의 마리아는 신이나 성녀가 아닌
우리 엄마같은 그런 가까운 존재로 그려져있지요.
포근한.
연수는 연지에게
산치오 라파엘로 <초원의 성모> 그림을 보여주며
언니 연지에게도 엄마처럼 포근함을 느꼈기에
연수는 그런 기억을 가지고 있기에 행복하다고.
엄마도 언니도 포근했기에 말이죠.
언니가 연수를 잃고 슬픈 감정속에 있기에
연수는 언니를 다시 다독여줍니다.
언니의 꿈속에서 포근한 들판을 펼쳐 놓을게.
그곳에서 언니의 마음도 편히 쉬었으면 좋겠어.
동생 연수를 잃은 연지라는 아이,
그 상처로 깊은 슬픔속에 빠진 아이에게
마음색칠은 명화를 통해 감정을 이야기하고
또한 위로도 받으며 힐링하는 과정을 담아두었습니다.
독자로서는
책을 통해 여러가지 감정을 알게 되고
또한 연지의 감정을 함께 생각해보는
여러모로 책에 빠져볼 수 밖에 없었던 시간이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