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어떻게 철학이 되는가 - 더 자유롭고 지혜로운 삶을 위한 철학의 지혜
천자잉 지음, 박주은 옮김 / 블루엘리펀트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더 자유롭고 지혜로운 삶을 위한 철학의 지혜>

삶은 어떻게 철학이 되는가

​                       


중국의 유명한 철학자에게서 듣는

철학에 관한 철학.


철학이 어떻게 삶이 되느냐가 아닌

삶이 어떻게 철학이 되느냐에 관해

막힘없이 읽어볼 수 있는 철학책입니다.

더 자유롭고 지혜로운 삶을 위해

철학의 지혜를 살펴보는데

이 책은 철학을 가르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우리가 삶에서 지혜롭게 하고자 하는

보편타당한 대전제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철학의 최종 목표는,
구체적인 소이연을 탐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이 세계의 
심층적 원리에 다다르는 데 있다.


그가 생각하기에 철학은 아이디어적인 것이 아닌
세계의 원리를 알고자 하는 모든 연구들입니다.
그리하여 미시적인 눈으로 분석을 하는
지엽적인 범위가 아닌
우리의 세계 전체를 알아내고자
연구하는 목표를 가졌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공간들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대해, 발생하는 사건들에 대해
그 모든것들을 탐구하는 영역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큰 줄기를 찾아내는 것이
철학의 목표라 생각하니
거시적인 관장에
철학이 더 가깝게 느껴지게 됩니다.




허위에 찬 관념적 행동

천자잉의 책 전반에서 
그가 매력적인 철학자라는 것을 알게 되는데
그건 바로 실용적인 수긍하기 좋은 사고를
풀어내고 있기에 그러했습니다.

공허하고 추상적인
관념일 뿐인 생각들.
실제로 우리가 행동할 때는
생각만큼 이성적으로만 행동하지 않다는
행위자의 특성을 고려치 않고
주장을 위한 주장을 하는 관념들은
허위라고 이야기합니다.



사실과 가치라는 것에 대한 
그의 관점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세계와 가치 세계가 마치 따로 있는 것처럼 이야기들 하지만
우리는 감정적인 것이 사실과 항상 결부되어 행동하게 됩니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기 때문에
알게 모르게 사실에 감정은 얽혀있기 마련이죠.

그리하여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특정 목적을 위해서는 얽혀진 감정을 
사실에서 떼어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쉽지는 않겠지만, 목적에 따라서 
분리는 필요하다는 것이죠.





그는 종교에 대해서도 생각하기를,
보편적 인성 윤리는 항상 대전제로 자리잡아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종교의 정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교만의 특수성이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하곤하지만
사실은 특수성이 있다면 생각에 따라 충돌도 있을 수 있는 것이죠.
특수성은 보편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종교의 정의에서 그 종교를 탈락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그는 흑백논리적인 논리를 위한 논리를 반대하듯
종교에 대해서도 인간세상이 보편타당한 윤리적이어야 한다는 것.
또한 서양 동양에 대한 단순한 문화비교에 대해서의 반대.

그의 그러한 정신은
결국 인간이 세상에서 평화로이 살기위한 합리성이다 싶었습니다.
우정만으로도 외롭지 않다고 외치는 것처럼
결국은 이해하고 아껴주는 보편적인 가치들,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 철학의 목적이듯,
결국 우리 함께 잘 살아보자 하는
기본적인 자세들에서
우리는 삶에서 지혜를 얻는 
철학으로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