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데이비드 소로 - 생태문학의 고전 <월든>을 쓴 자연시인, 개정판 두레아이들 인물 읽기 3
엘리자베스 링 지음, 강미경 옮김 / 두레아이들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헨리 데이비드 소로
그는 생태문학의 고전 <월든>을 쓴 자연시인입니다.
월든은 어른들에게는 알려져 있는 고전이지만,
아이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책이기는 하지요.





<월든>은 월든 호수 옆 숲 속에서 오두막을 짓고
자급자족 생활을 했던 소로 자신의 이야기를 기록한 책이다.
이 책과 더불어 소로의 다른 작품들은
사람들에게 자연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심어 주었다.

아침독서 추천도서로서 두레아이들 인물 읽기 책,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월든이라는 고전이 익숙치 않은 아이들에게
월든이 쓰여지는 배경과 소로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되어
고전에 대한 시작점으로 특히 좋은 책이겠다 싶습니다.

소로는 생전에는 주목받지 못하다가, 사후에 명성을 쌓았죠.
그는 명예를 위해서가 아니라, 자기 나름의 삶을 살며
사색하는 시인이었기에 작품의 인기에 마음을 두지는 않았어요.


 



소로는 형 존과 사이가 좋았습니다.
사교적인 존과 조용한 소로. 
둘은 모두 결혼을 하지 않았고, 뜻을 실천하는 인물들이었죠.
학교 시스템이 아이들에게 강압적인 것에 반대하여
콩코드에 직접 학교를 열고 자연을 
배움터로 놀이터로 활용했답니다.






소로는 검소한 사람이었습니다.
스스로 과한 낭비를 지양하고 절약했지요.
그는 이렇게 검소하게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것을 행복하게 여겼습니다.

<월든>에서 그는, 나중에 죽음이 찾아올 때, 
겪어보지 못한 삶이 있는지, 배우지 못한 삶이 있었던지
알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소로는 자연속의 은둔자는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자연에서 올곧음을 세워
바름을 실천하는 사람이었다 싶어요.

'개인과 정부의 관계에 대하여'라는 강연을 합니다.
물론 원칙적으로 법은 지켜야 하지만, 
그 법이 의미하는 것이 인간적 양심에 반하지 않도록
세상을 깨우고자 합니다.

세금의 용도가 어찌되느냐를 따져보며
약자 인권을 침해하고 혹은 
비평화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그는 판단없이 따라가는 시민이 되기를 거부한 것이었지요.




" 내 삶은 내가 쓰고자 하는 시였다!"

그는 시로 그의 삶을 담았다기 보다,
생각에서 삶을 실천하였기에
생태문학을 우리에게 남겨주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삶 자체가 시였던 소로.


그러고보면, 소로는 행복한 사람이었지요.

 

얽매이는 것이 없이 소신껏 살 수 있었기에 말이죠.
게다가 후세들이 보기에 그는 뜻을 세워 바른 삶을 살았으니
멋진 삶이었다 싶습니다.

 




"사람들이 찬양하고 성공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삶은
다만 한 종류의 삶에 지나지 않는다.
왜 우리는 다른 여러 종류의 삶을 희생하면서까지
하나의 삶을 과대평가하는 것일까?"


사람마다 행복을 느끼는 관점도 강도도 다르겠건만
우리는 미래에 사회적인 성공을 위해
지금은 지나치게 희생하기를 강요받고 강요하기도 하죠.
소로는 그런 틀 안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자연 속 동물,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말이죠.


두레아이들 출판사에서 서적을 제공받아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